한글 전용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include(틀:한자)] [목차]

개요

한국어를 적을 때 한자라틴 문자 및 기타 외국 문자 등을 일체 혼용하지 않고 오직 한글만을 쓰는 것을 말한다.

한글전용의 역사는 의외로 길다. 세종훈민정음을 창제한 이후에도 중앙정부와 각종 장계 등의 공문에서는 한문, 지방의 관리들 사이에선 이두가 쓰였다. 그러나 소설과 같이 한문을 배울 수 없는 서민들이 주 독자층인 문학 작품이나, 여자를 상대로 보내는 사적 편지들은 한글로만 쓰곤 했다. 홍길동전, 전우치전, 박씨전 등이 한글로만 쓰여 있는 대표적인 한글 소설들이다. 그러다가 구한말에 이르러 민족적인 이유와 편의상의 문제 등으로 한글을 공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는 방안이 본격적으로 대두되어 당시의 신문에선 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는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였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글 사용은 위축되지만 광복이 되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정부는 1948년 10월 9일 다음과 같이 법률을 제정한다. ||한글전용에관한법률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보다시피, 조문이 달랑 한 조였다. 제명과 본문 역시 한글로만 되어 있다.[[1]] ]|| 그리고 2005년 국어기본법이 제정되며 '한글전용에관한법률'은 폐지되고, 해당 규정은 국어기본법으로 이전되며 약간의 보완을 거쳤다. ||국어기본법 제14조(공문서의 작성) ① 공공기관등의[* 구법(2009. 3. 18. 법률 제94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서는 "공공기관의"라고만 표현하였다. 현행법의 "공공기관등"이란 국가, 지방자치단체, 특수법인까지 포함한다.]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한자 또는 다른 외국 글자를 쓸 수 있다. ② 공공기관등이 작성하는 공문서의 한글 사용에 관하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공문서의 작성과 한글 사용) 법 제14조제1항 단서에 따라 공공기관의 공문서를 작성할 때 괄호 안에 한자나 외국 글자를 쓸 수 있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2. 어렵거나 낯선 전문어 또는 신조어(新造語)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완벽하게 한글 전용이라기 보다는 한자병기를 일정 부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법령은 사적인 문서의 한글 전용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현재 한국에서는 한글전용과 한자병용이 혼용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한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한자문화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문 중엔 중앙일보, 한겨레 정도가 한글전용을 한다. 이들은 다른 신문들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자인 , 과 같은 한자들도 모두 , 과 같이 한글로 적는다. 한자를 쓰는 경우는 일본이나 중국인 인명인 경우 괄호 안에 적는 것이 거의 전부일 정도. 당연히 중앙일보가 운영하는 방송국 JTBC도 한글로만 적는다.

근래에는 국한문혼용체보다 한영혼용체가 더 자주 나타난다. 보그체와는 달리 주로 학술적인 서적에서 자주 나타난다. 한자는 아니더라도 오늘날 라틴 문자를 혼용한 서적은 제법 흔하게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전문 서적 같은 경우 영어로 된 용어들이 많은 특성상 라틴 문자 혼용을 안 할래야 안 할 수가 없다.

북한의 경우에는 1946년까지는 세로쓰기국한문혼용체를 썼지만 1948년가로쓰기로 바꾸고 한글전용으로 갔다. 다만 1968년부터 한국, 중국, 일본에서 한자를 쓰니 중고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을 하라고 의무화하였다. 배우기는 하는데 정작 자신들은 거의 안 쓴다.

한글전용을 반대하는 측과 한글전용을 지지하는 측 사이에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오랜기간동안 한글전용 정책은 논란이 되어 왔고, 2016년엔 급기야 한글 전용 정책이 헌법에 어긋나는가의 여부가 헌법재판소에서 가려지게 되었다(2012헌마854). [[2]] 그 결과 같은 해 11월 24일에 재판관 전원일치로 합헌 결정이 나왔다. [[3]] 헌재의 결정내용은 구체적으로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항(즉 기본적으로 한글전용을 하고 필요에 따라 한자나 외국 글자를 병용하는 것)에 대한 헌법소원에서 위 규정이 행복추구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 것이다.

관련 문서

* 한글
* 한국어
* 국한문혼용체
* 국한문병용체
* 한영혼용체

분류: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