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소리

From Hidden Wiki
(Redirected from 음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개요

낱소리 또는 음소(phoneme, 音素)는 소리내는 언어의 낱말을 구분시켜주는 이론적인 낱낱의 소리이다. 즉, 한 낱말에서 음소가 바뀌면 그 낱말 자체가 다른 뜻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음소 하나로 구분되는 두 낱말을 최소 대립쌍(minimal pair)이라 한다.


언어의 소리 체계 내에서 다른 소리와 구별되어 대립적 기능을 하는, 언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물', '불', '풀', '뿔'은 초성 ㅁ, ㅂ, ㅍ, ㅃ 에 의해 의미가 구별되기 때문에, /ㅁ/, /ㅂ/, /ㅍ/, /ㅃ/은 한국어에서 각자 다른 음소이다.

한편 '물'과 '불'처럼 하나의 소리만이 다르고 다른 분절음이 모두 같은데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들의 쌍을 '최소대립쌍'이라고 한다. 따라서 최소대립쌍을 성립하게 하는 두 개의 소리는 별개의 음소라고 부를 수 있다. 국어학에서는 '음소'와 '운소(韻素, 초분절 음소)'를 합쳐서 '음운(音韻)'이라고도 부르며, 음운론(音韻論, Phonology)의 주요 주제다.

음운의 종류

분절 음운

자음, 모음, 반모음이 여기에 속한다.

'음소'는 보통 음운과 같은 뜻으로 쓰지만 세분화하여 분절 음운만을 음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분절(초분절) 음운

소리를 나누는 단위가 아니지만 역시 음소와 같이 말의 뜻을 구분해주는 기능을 한다.

분절 음운만을 음소라고 부를 때 비분절 음운은 운소라고 부른다. 초분절 음소라고도 부른다.

예: 또는 장단음 구분, 중국어 등 일부 언어의 어휘에 존재하는 성조, 영어의 강세, 대부분의 언어에 존재하는 억양

음성과 음소

언어학에서 음성(phone)과 음소(phoneme)는 명확하게 다른 개념이다. 음성은 물리적인 소리인 반면, 음소는 화자(와 청자)가 인식하는, 지식으로서의 소리이다. 따라서, 하나의 음소가 두 개 이상의 음성으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두 가지 다른 음성이 어떤 언어에서는 하나의 음소인 반면 어떤 언어에서는 두 개의 음소인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어영어파열음(k, t, p)을 들 수 있다. 가령 한국인에게 '비빔밥'의 발음을 표기하라고 하면 보통 한국인은 /비빔빱/으로 표현하며, '비'와 '빔'과 '빱'의 ㅂ을 동일한 ㅂ으로 생각한다.[* 비빔ㅏㅂ의 의 발음은 경음, 즉 된소리라고 따로 분류하기도 하며 표기는 [ˀp\] 혹은 [p͈\]로 한다.] 그러나 '비빔밥'의 실제 음성 표기는 [pi.bim.p͈a]으로, '비'의 ㅂ은 무성음, '빔'의 ㅂ은 유성음, '빱'의 ㅂ은 무성불파음으로, 셋은 전부 다른 소리이다. 즉 한국어에서 음소 /p/는 [p], [b], [p̚]로 실현될 수 있다. 한편 한국인은 'ㅂ'과 'ㅍ'을 다른 소리라고 인식하며, 이는 한국어에 /p/과 /pʰ/라는 별개의 음소가 있음을 뜻한다. 또 영어 화자에게, spy(/spai/), pie(/pai/), 그리고 apt(/æpt/)의 p는 똑같은 'p'로 들린다. 그러나 실제로는 spy([sai])의 p는 무기음, pie([ai])의 p는 유기음, 그리고 apt([ætʰ])의 p는 불파음으로, 셋은 전부 다른 소리이다. 즉 영어에서 음소 /p/는 [p], [pʰ], [p̚]로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영어 화자는 'b'와 'p'를 다른 소리라고 인식하며, 이는 영어에 /p/와 /b/라는 별개의 음소가 있음을 뜻한다.


위의 예를 표로 정리하면

|| 음성 || 음소(한) || 음소(영) ||

|| [b] ||<|3> /p/ || /b/ ||

|| [p] ||<|4> /p/ ||

|| [p̚] ||

|| [pʰ] || /pʰ/ ||

|| [p͈] || /p͈/ ||

가 된다. 즉, 한국어에는 '유기음-무기음'의 대립은 존재하지만 '유성음-무성음'의 대립은 존재하지 않고, 영어에는 '유성음-무성음'의 대립은 존재하지만 '유기음-무기음'의 대립은 존재하지 않는다. 같은 음성인데도 불구하고 언어에 따라 인식되는 체계가 다른 것이다. 참고로 한국어에서 [p]와 [b]와 [p̚], 영어에서의 [p]와 [pʰ]와 [p̚]는 각각 한국어와 영어의 음소 /p/의 변이음(allophone)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의 대립은 저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평음/ㅂ/-격음/ㅍ/-경음/ㅃ/의 삼지적 상관속을 이룬다. 영어는 무성음/p/-유성음/b/로 이지적 상관속을 구성한다. (인도의 어떤 언어는 사지적 상관속이라 카더라.) 즉 한국어 화자라면 ㅂ-ㅍ-ㅃ를 구분하여 들을 수 있으므로 뜻이 구별되지만(불-풀-뿔) 영어권 화자가 들으면 단순한 /pul/의 연속일 뿐이다. (영어권 화자가 부산을 푸산이라고 발음하거나 한국인이 아메리깐빠이라고 이야기해도 영화 제목을 알아듣는 영어권 화자들을 보면 서로의 대립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사전에서 발음을 표기할 때는 / /나 [ ] 중 아무거나 쓰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언어학에서 음소는 / /로, 음성은 [ ]로 표현한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이 한국인에게 바보'의 비읍은 서로 소리가 다른데 왜 똑같이 적는 거야?'라고 물었을 때, 아마 음소에 대해 따로 공부하지 않은 한국어 화자는 대부분 '이 놈이 지금 무슨 소릴 하고 있는 거야?' 하는 반응을 보일 것이다. 여기서 두 비읍의 다른 소리를 캐치해낸 외국인이 들은 것은 음성이고, 한국인이 오랫동안 같은 소리라고 믿고 있던 비읍의 표기가 음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