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음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유성음(有聲音, 문화어: 청소리, 청있는소리,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다. 울림소리라고도 한다.

허파에서 나온 호기가 후두(울대)를 통과할 때 2개의 성대를 접근시키면 성대가 주기적으로 울려 소위 목소리(음성)가 난다. 모음은 보통 유성음이고 자음 가운데 [b], [v], [d], [z], [g], [m], [n], [l], [r] 등은 유성음이다.

자음 체계에서 성대 울림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진 언어가 많다. 그러나 한국어중국어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로 뜻을 구별하는 언어가 아니다.


개요

{{{+1 / Voiced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울림소리, 탁음(濁音)이라고도 한다. 성대의 진동이 확연하게 느껴지는 소리이며, 성대가 닫힌 상태에서 조음하는 것을 뜻한다.[* 한국어 자모에서는 ㄴ, ㄹ, ㅁ, ㅇ과 모든 모음이 포함된다. 그래서 ㄴ, ㄹ, ㅁ, ㅇ이 아닌 자음도 무조건 모음과 같이 발음하기 때문에 성대가 울린다.]

주로 서양 언어에서 성대의 떨림 여부로 의미를 구별한다. 다만,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발음법이 따로 제시되지 않는 이상 모음 뒤의 받침이 아닌 자음이나 받침 뒤 자음이 ㅇ, 파열음이 아닌 받침 다음의 자음인 경우에 발현된다.]나 중국어[* 단, 일부 방언의 성모 중 sh(/ʂ/)와 r(/ʐ/)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경성(轻声)일때는 유성음화된다.] 등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으로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가 아니다 보니 그 차이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어두 유성파열음 자체가 한국인에게 매우 어려운 발음인데, '(으)가', '(으)바'처럼 짧은 '으'가 앞에 붙는 느낌이라고 생각해야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다.

다만 서양 언어들에서도 덴마크어아이슬란드어 같은 예외가 있고 독일어에서도 [사투리들은 무기음-유기음 대립인 경우가 많다]. 한술 더 떠서 스위스 독일어는 유기음도 유성음도 없고 [겹자음 여부만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덴마크인, 아이슬란드인, 남독일인이라면 한국어의 ㄱ, ㄷ, ㅂ를 들어도 다른 서구인들과 달리 g, d, b로 받아 적을수도 있다.

서구 언어학에서는 무성무기음이면서 유성음의 자질을 일부 가졌다고 여겨지는 음운을 [[1]] 부른다.

상세하게 분류하면 여러 단계로 나뉜다. voiceless (full airstreams) 무성음으로 숨을 완전히 흘러 보내는 소리 [tʰ] strong aspirated 강한 기음으로 숨을 완전히 흘려 보내는 소리, 강기음. 한국어의 거센소리 [t'] moderate, mild aspirated 약한 기음으로 숨을 흘려 보내는 소리, 약기음, 일본어의 무성음 [t˭] tenuis 기음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소리, 무기음, 로망스어에서의 k, t, p 무성음, 한국어의 된소리 voiced 성대를 울리는 소리 [d̤] 또는 [dʱ] breathy voice <음성 등이> 기음(氣音)이 지나치게 섞인 유성음, 유성유기음 [d̥] slack voice 느슨한(loose); 약한(weak), 연약한(soft) 소리. 한국어의 어두 예사소리.[* 한국어의 예사소리는 사실상 위의 약기음이랑 별차이는 없지만 성대가 아주 약간 더 울린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일본어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일본어의 무성음을 예사소리와 다르게 인식한다. 대표적으로 소위 통용 표기 지지자들이 그렇다.] [d] modal voice (maximum vibration) 최대의 진동 소리 [d̬] stiff voice 거센,격렬한 소리 [d̰] creaky voice 끽끽 대는 소리 [ʔ͡t] glottal closure (blocked airstream) 성문 안에 갇힌 소리

/ʡ/의 경우는 무성음도 되고 유성음도 된다. ~~그러므로 무성음 항목에서도 볼 수 있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흡착음과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내기 힘든 무성음과는 달리, 거의 모든 조음 방법으로 낼 수 있는 소리이다. 특히 탄음은 유일하게 무성음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마찰접근음(반찰음)이라는 특수한 조음 방법이 있는데, 마찰음이면서 접근음이다. 양순음, 치음, 구개수음, 인두음, 후두개음, 성문음에서만 발현된다.

유성음을 표기하는 IPA 기호

비음

{{{#!html /m/(양순음), /ɱ/(순치음), /n̪/(치음), /n/(치경음), /n̠/(후치경음), /ȵ/(치경구개음), /ɳ/(권설음), /ɲ/(경구개음), /ŋ/(연구개음), /ɴ/(구개수음) }}}

파열음

{{{#!html /b/(양순음), /ɡb/(양순연구개음), /b̪/(순치음), /d̪/(치음), /d/(치경음), /ȡ/(치경구개음), /ɖ/(권설음), /ɟ/(경구개음), /ɡ/(연구개음), /ɢ/(구개수음), /ʡ/(후두개음) }}}

파찰음

{{{#!html /b̪v/(순치음), /dz/(치경음), /dɮ/(설측치경음), /ʤ/(후치경음), /ʥ/(치경구개음), /ɖʐ/(권설음), /ɟʝ/(경구개음), /gɣ/(연구개음) }}}

마찰음

{{{#!html /v/(순치음), /z/(치경음), /ɮ/(설측치경음), /ʒ/(후치경음), /ʑ/(치경구개음), /ʐ/(권설음), /ʝ/(경구개음), /ɣ/(연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

마찰접근음

{{{#!html /β/(양순음), /ð/(치음), /ʁ/(구개수음), /ʕ/(인두음), /ʢ/(후두개음), /ɦ/(성문음) }}}

접근음

{{{#!html /ʋ/(순치음), /ɹ/(치경음), /l/(설측치경음), /ȴ/(치경구개음), /ɻ/(권설음), /ɭ/(설측권설음), /j/(경구개음), /ʎ/(설측경구개음), /ɰ/(연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

전동음

{{{#!html /ʙ/(양순음), /r/(치경음), /ɽr/(권설음), /ʀ/(구개수음), /я/(후두개음) }}}

탄음

{{{#!html /ⱱ̟/(양순음), /ⱱ/(순치음), /ɾ/(치경음), /ɺ/(설측치경음), /ɽ/(권설음), //(설측권설음), /ʎ̯/(설측경구개음), /ʟ̆/(설측연구개음), /ɢ̆/(구개수음) }}}

분류:음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