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음성 기호

From Hidden Wiki
(Redirected from 국제음성기호)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필독 사항 유닠스 계열 저작물, 성인물, 도박 웹 써버 보안 프로그래밍 그래핔 파싱
필독 사항 고스트BSD 표면 웹 싸이트 제작 리눅스 마스터 파이썬 트킨터 뷰티펄 숲
수학 아이투피 마약, 아청물, 해킹 웹 싸이트 보안 웹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게임 제작
통계학 뮤와이어 다크넽 싸이트 제작 정보 보안 기사 쟁고우 팬더즈 파이게임

개요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IPA

기호별 소리 들어보기(위키백과)[* 목록의 기호 옆의 스피커 박스를 클릭하면 각 기호의 소리들을 들을 수 있다.]


https://ko.wiktionary.org/wiki/%EC%9C%84%ED%82%A4%EB%82%B1%EB%A7%90%EC%82%AC%EC%A0%84:IPA_%EB%B0%9C%EC%9D%8C_%EB%93%A3%EA%B8%B0

기호별 소리 들어보기(위키낱말사전)~~위보다 이쪽이 더 듣기 편하다~~


>ku̞k̚.ˀt͡ɕe.ɯ̞m.sʰʌŋ.ɡi.ɦo̞, aɪ.pʰi.eɪ >(국제음성기호, IPA)

>nɐ.mu̞.ɥi.kʰi‖jʌ.ɾʌ.bu̞.ɲ̟i|kɐ.ˀku.ʌ|nɐ.ɡɐ.nɯ̞n|tɕ͡i.ɕʰi.ɡe|nɐ.mu[* 2015년 5월까지 이 문서의 1~2 문단 전체가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따라 위 예문과 같이 IPA로 쓰여 있었다. https://namu.wiki/w/국제음성기호?rev=134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전 세계 언어의 다종다양한 소리를 두루 포괄할 수 있도록 국제음성학회(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에서 창안한, 소리를 문자로 표기하는 일관된 방식으로서의 기호 체계(혹은 그 기호).[* IPA Handbook.]

이 기호 체계를 처음 제정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바로 영어대 모음 추이(Great Vowel Shift)로 일어난 난해한 철자법 때문이다. 영어 교사이자 프랑스어 교사였던 프랑스 베르사유 출신의 폴 파시(Paul Édouard Passy)가 영어에서의 철자와 발음 간 혼란스러운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1888년에 발표한 이후로 여러 번 개정을 거쳤다. 현재 최신판은 2015년 수정판. [파일].[* 사실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건 없다. IPA는 킬 총회(Kiel Convention) 때 그 틀이 잡힌 이후 큰 변화 없이 사용되고 있다. 1989년판 > 2006년판(순치 탄음 기호 추가) > 2015년판(글꼴 변경)]

대모음 추이, 대모음추이


가장 기본적인 기호들은 분절음을 나타내는 기호들이며, 이 외에도 미묘한 발음차를 구별하거나 성조 등의 초분절요소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하는 보조 기호들도 있다. 보조기호들의 상당수가 1990년대 이후에 만들어졌다.


발음 기호, 발음기호

용도

대부분의 경우 음성학이나 음운론에서 쓰이며, 우리 주위에서는 주로 사전, 특히 영어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전 표기 용도 외에 정확한 발음 구사를 위해 가수배우들이 쓰는 경우가 있다. [링크]를 보면 외국인 가수를 위해 한국어의 로마자 및 IPA 표기법을 일러 두었다. 다만 일반적인 표기와는 약간 다른 방식을 적용한 듯.

변형

표제어 옆에 실제 음성을 표기하는 데 국제음성기호와는 다른 자기 나름의 기호를 지정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특히 영어권 사전(특히 미국에서 출판된 영영사전) 및 저학년용 교과서의 경우가 심한데 'pronunciation'의 발음을 국제음성기호에 맞게 [prəˌnʌnsiˈeɪʃ(ə)n]으로 표기하는 게 아니라 [pruh-nuhn-see-ey-shuhn\], [prəˌnənsēˈāSHən\]과 같이 표기하는 식이다. 그야말로 대문자, 소문자, 대시(-)등 온갖 기호가 총출동하며 아예 자기들만의 기준을 범례로 표시한 경우도 자주 있다. 한국어권에서는 아예 '한글'로 적어 놓은 사전도 적지 않다.

한국어권의 영어 사전에서는 옛날에 영어 표기의 편리성을 위해 쓰던 구식 발음 기호 관습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롱맨, 옥스퍼드 등 영국 출판사들이 펴낸 영어학습자용 사전은 엄밀한 표기 방식(e.g. enthusiastic[ɪnˌθjuːziˈæstɪk])으로 전환했지만 한국 영어 사전(e.g. enthusiastic[inθjùːziǽstik])은 아직 그러지 않은 것. 완전히 잘못된 방식은 아니니 이하 표기 정도만 바꿔서 생각하면 된다.

|| || 표준 || 비표준 || 비고 || || 제1악센트 || (해당 음절 앞에) ˈ || (해당 음절 내 핵모음 위에) ◌́ || || || 제2악센트 || (해당 음절 앞에) ˌ || (해당 음절 내 핵모음 위에) ◌̀ || || || /ɪ/ || [ɪ] || [i] ||<|2> [* 비표준 방식에서는 전설 비원순 고모음, 후설 원순 고모음 내에서 음장 대립만 있다고 보나(/iː, i/, /uː, u/)[br]표준 방식에서는 음장 대립에 따라 혀의 고저 위치까지 미세하게 변한다고 본다(/iː, ɪ/, /uː, ʊ/).] || || /ʊ/ || [ʊ] || [u] || || 영식: /ɒ/[br]미식: /ɑː/ || 영식: [ɒ][br]미식: [ɑː] || 영식: [ɔ][br]미식: [ɑ] || || || 영식: /əʊ/[br]미식: /oʊ/ || 영식: [əʊ][br]미식: [oʊ] || (영미식 구별 없이) [ou] || || || 영식: /ɪə/[br]미식: /ɪ/ || 영식: [ɪə][br]미식: [ɪ] || (영미식 구별 없이) [iə] || [* 미식 영어에서는 이중 모음 /ɪə/에서 [ə\]가 약화되어 사실상 /ɪ/가 된다. e.g. year[jɪə(ɹ) / jɪɹ\]] || || 영식: /eə/[br]미식: /e/ || 영식: [eə][br]미식: [e] || (영미식 구별 없이) [ɛə] || [* 미식 영어에서는 이중 모음 /eə/에서 [ə\]가 약화되어 사실상 /e/가 된다. e.g. air[eə(ɹ) / eɹ\]] ||

한편 Rhotic sound 계열의 경우 시중 사전에서는 그렇게 정밀하게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영한사전에서는 영어의 r를 [r]로 표시하지만, IPA에서 [r]는 치경 전동음(스페인어의 rr)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영어의 r는 실제로는 접근음이기 때문에 원칙을 따른다면 [ɹ]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유성 구개수 마찰음([ʁ], 프랑스어의 r), 치경 탄음([ɾ], 한국어의 (어두, 모음 사이의) ㄹ)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는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IPA의 사용을 최소화해서 독자의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기호들 가운데 키보드로 입력하기 어려운 게 많기 때문에 ASCII 이내의 문자로 표기하기 위해 X-SAMPA라는 것이 있다.[[1]] 예컨대 에시(ʃ)는 대문자 S로 적는 식.

한계

*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변이음들을 완벽하게 표기하는 데에는 당연히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기호라는 것 자체가 갖는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말소리의 연속적인 값(예: 개구도, 성대의 긴장 정도, 기식이 유지되는 시간 등등)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단지 '있다/없다'나 대략적인 값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예사소리 '가'에서는 기식으로 인한 성대 진동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 VOT)이 30ms(밀리세컨드, 1/1000초) 정도이고, 일본어 청음 'か'에서는 70ms 정도, 한국어 거센소리 '카'에서는 100ms 정도이다.[* Chin-Wu Kim(1965)에 의하면 된소리에서의 VOT가 12ms로 제일 짧고, 예사소리, 거센소리에서의 VOT는 35ms, 93ms라고 한다.] ~~가카~~ 그리고 발음할 때의 성대의 긴장 정도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국제음성기호는 이런 미세한 연속적인 값들은 표시해 주지는 못하고 단지 기식이 있다/없다 정도로만 구분해 준다. 따라서 기식의 유무가 아닌 상대적 차이와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ㄱ/ㅋ의 구분을, 국제음성기호는 그렇게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표시해 주지 못한다. 국제음성기호가 표시해 주는 것은 어디까지나 근삿값. 
 * 사실 모든 언어의 모든 변이음을 다 완벽하게 구분해서 표기하려면 엄청난 수의 기호가 필요한데 그 정도의 기호를 다 갖추어서 사용하게 되면 일상적인 용도는 물론이고 학술적인 용도에서도 실용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 정도의 정확성이 필요하다면 차라리 음파의 그래프를 보는 편이 낫다.] 그래도 IPA에서 사용하는 기호들은 특정한 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변이음들은 충분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다.
* 철자와 다른, 올바른 음운과 음성을 익힐 수 있게끔 만들어진 게 국제음성기호지만, 역설적이게도 음성학이나 음운론을 전공하지 않은 이들은 국제음성기호 자체가 낯설 수 있다. 차라리 여러 문자와 언어별 발음을 익혀서 문자별 표기법으로 발음을 어림잡는 것이 더 받아들이기 쉬울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기호

※ '유니코드'는 해당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16진수 코드 값을 뜻한다. [[2]]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각각의 기호의 발음이 궁금하다면 음성의 하위 문서에서 해당 기호가 표시하는 음성을 찾아 보자.

공식적인 IPA는 Times New Roman, Arial, 바탕, 함초롬바탕 등에서 지원하지만, 일부 미공인 기호의 경우는 유니코드가 깨져 보이지 않을 수가 있다. 이 경우 특수한 글꼴을 따로 깔아야 한다. Gentium Plus, Quivira, Doulos SIL 등의 무료 폰트를 깔면 이런 것까지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인터넷상에서 깨지는 글자를 워드 프로세서로 옮길 때, 아래아한글의 경우 옛한글과 IPA 부분이 충돌하는 문제가 있으니 만약 확인할 거면 워드로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자음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101 || 무성 양순 파열음 || p || 0070 || || 102 || 유성 양순 파열음 || b || 0062 || || || 양순 충격음 || ʬ || 02AC || || 103 || 무성 치(치경) 파열음 || t || 0074 || || 104 || 유성 치(치경) 파열음 || d || 0064 || || 105 || 무성 권설 파열음 || ʈ || 0288 || || 106 || 유성 권설 파열음 || ɖ || 0256 || || 107 || 무성 경구개 파열음 || c || 0063 || || 108 || 유성 경구개 파열음 || ɟ || 025F || || 109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k || 006B || || 110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ɡ[* 'g' 중에서 아래 꼬리가 한 번만 돌아간 자형이다. 210번 및 여기를 참조.] || 0261 || || 111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q || 0071 || || 112 || 유성 구개수 파열음 || ɢ || 0262 || || 113 || 성문 파열음 || ʔ || 0294 || || 114 || 유성 양순 비음 || m || 006D || || 115 || 유성 순치 비음 || ɱ || 0271 || || 116 || 유성 치(치경) 비음 || n || 006E || || 117 || 유성 권설 비음 || ɳ || 0273 || || 118 || 유성 경구개 비음 || ɲ || 0272 || || 119 || 유성 연구개 비음 || ŋ || 014B || || 120 || 유성 구개수 비음 || ɴ || 0274 || || 121 || 유성 양순 전동음 || ʙ || 0299 || || 122 || 유성 치(치경) 전동음 || r || 0072 || || 123 || 유성 구개수 전동음 || ʀ || 0280 || || 124 || 유성 치(치경) 탄음 || ɾ || 027E || || 125 || 유성 권설 탄음 || ɽ || 027D || || 126 || 무성 양순 마찰음 || ɸ || 0278 || || 127 || 유성 양순 마찰음 || β || 03B2 || || 128 || 무성 순치 마찰음 || f || 0066 || || 129 || 유성 순치 마찰음 || v || 0076 || || 130 || 무성 치 마찰음 || θ || 03B8 || || 131 || 유성 치 마찰음 || ð || 00F0 || || || 치 충격음 || ʭ || 02AD || || 132 || 무성 치경 마찰음 || s || 0073 || || 133 || 유성 치경 마찰음 || z || 007A || || 134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ʃ || 0283 || || 135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ʒ || 0292 || || 136 || 무성 권설 마찰음 || ʂ || 0282 || || 137 || 유성 권설 마찰음 || ʐ || 0290 || || 138 || 무성 경구개 마찰음 || ç || 00E7 || || 139 || 유성 경구개 마찰음 || ʝ || 029D || || 140 || 무성 연구개 마찰음 || x || 0078 || || 141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ɣ || 0263 || || 142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χ || 03C7 || || 143 || 유성 구개수 마찰음 || ʁ || 0281 || || 144 || 무성 후두 마찰음 || ħ || 0127 || || 145 || 유성 인두 마찰음(접근음) || ʕ || 0295 || || 146 || 무성 성문 마찰음 || h || 0068 || || 147 || 유성 성문 마찰음 || ɦ || 0266 || || 148 || 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ɬ || 026C || || 149 || 유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ɮ || 026E || || 150 || 유성 순치 접근음 || ʋ || 028B || || 151 || 유성 치(치경) 접근음 || ɹ || 0279 || || 152 || 유성 권설 접근음 || ɻ || 027B || || 153 || 유성 경구개 접근음 || j || 006A || || 154 || 유성 연구개 접근음 || ɰ || 0270 || || 155 || 유성 치(치경) 설측 접근음 || l || 006C || || 156 || 유성 권설 설측 접근음 || ɭ || 026D || || 157 || 유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ʎ || 028E || || 158 || 유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 ʟ || 029F || || 159 || 무성 양순 내파음 || ƥ || 01A5 || || 160 || 유성 양순 내파음 || ɓ || 0253 || || 162 || 유성 치(치경) 내파음 || ɗ || 0257 || || 164 || 유성 경구개 내파음 || ʄ || 0284 || || 166 || 유성 연구개 내파음 || ɠ || 0260 || || 168 || 유성 구개수 내파음 || ʛ || 029B || || 169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ʍ || 028D || || 170 ||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w || 0077 || || 171 ||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ɥ || 0265 || || 172 || 유성 후두개 마찰음 || ʜ || 029C || || 173 || 후두개 파열음 || ʡ || 02A1 || || 174 || 유성 후두개 마찰음(접근음) || ʢ || 02A2 || || 175 || 무성 후치경(연구개) 마찰음 || ɧ || 0267 || || 176 || 양순 흡착음 || ʘ || 0298 || || 177 || 치 흡착음 || ǀ || 01C0 || || 178 || 치경 흡착음 || ! || 01C3 || || 179 || 경구개 치경 흡착음 || ǂ || 01C2 || || 180 || 치경 설측 흡착음 || ǁ || 01C1 || || 181 || 유성 치경 설측 탄음 || ɺ || 027A || || 182 || 무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 ɕ || 0255 || || 183 || 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 ʑ || 0291 || || 184 || 유성 순치 탄음 || ⱱ || 2C71 || || 209 || 연구개 치(치경) 설측 접근음 || ɫ || 026B || || 210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g[* 글꼴에 따라 한 번만 돌아간 자형과 두 번 돌아간 자형 모두를 나타낸다. 110번 및 여기를 참조.] || 0067 || || 211[* 103+132] || 무성 치경 파찰음 || ʦ || 02A6 || || 212[* 104+133] || 유성 치경 파찰음 || ʣ || 02A3 || || 213[* 103+134]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ʧ || 02A7 || || 214[* 104+135]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ʤ || 02A4 || || 215[* 103+182] || 무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 || ʨ || 02A8 || || 216[* 104+183] || 유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 || ʥ || 02A5 || || 217 || 무성 치 마찰음 을 수반하는 개방 || ᶿ || 1DBF || || 218 || 중단 중설모음을 수반하는 개방 || ᵊ || 1D4A || || 292 || 무성 연구개 마찰음을 수반하는 개방 || ˣ || 02E3 || ※ 211번부터 216번까지의 파찰음은 원래 독립된 번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는 두 음성이 결합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모음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301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i || 0069 || || 302 ||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 e || 0065 || || 303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ɛ || 025B || || 304 || 전설 비원순 저모음 || a || 0061 || || 305 || 후설 비원순 저모음 || ɑ || 0251 || || 306 || 후설 원순 중저모음 || ɔ || 0254 || || 307 || 후설 원순 중고모음 || o || 006F || || 308 || 후설 원순 고모음 || u || 0075 || || 309 || 전설 원순 고모음 || y || 0079 || || 310 || 전설 원순 중고모음 || ø || 00F8 || || 311 || 전설 원순 중저모음 || œ || 0153 || || 312 || 전설 원순 저모음 || ɶ || 0276 || || 313 || 후설 원순 저모음 || ɒ || 0252 || || 314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 ʌ || 028C || || 315 || 후설 비원순 중고모음 || ɤ || 0264 || || 316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ɯ || 026F || || 317 || 중설 비원순 고모음 || ɨ || 0268 || || 318 || 중설 원순 고모음 || ʉ || 0289 || || 319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ɪ || 026A || || 320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 ʏ || 028F || || 321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ʊ || 028A || || 322 || 중단 중설모음 || ə || 0259 || || 323 || 중설 원순 중고모음 || ɵ || 0275 || || 324 || 중설 근저모음 || ɐ || 0250 || || 325 || 전설 비원순 근저모음 || æ || 00E6 || || 326 ||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 ɜ || 025C || || 327[* 322+419] || 치조 접근 수반 중단 중설모음 || ɚ || 025A || || 395 || 중설 원순 중저모음 || ɞ || 025E || || 397 || 중설 비원순 중고모음 || ɘ || 0258 ||

보조기호, 초분절기호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401 || 방출음 || ʼ || 02BC || || 402A || 무성음 || ̥ || 0325 || || 402B || 무성음 || ̊ || 030A || || 403 || 유성음 || ̬ || 032C || || 404 || 유기음 || ʰ || 02B0 || || 405 || 무기음 || ˭ || 0324 || || 406 || creaky voice || ̰ || 0330 || || 407 || 설순음 || ̼ || 033C || || 408 || 치음 || ̪ || 032A || || 409 || 설첨음 || ̺ || 033A || || 410 || 설단음 || ̻ || 033B || || 411 || 원순화 || ̹ || 0339 || || 412 || 비원순화 || ̜ || 031C || || 413 || 전설화 || ̟ || 031F || || 414 || 후설화 || ̠ || 0320 || || 415 || 중설화 || ̈ || 0308 || || 416 || 중단 중설화 || ̽ || 033D || || 417 || 설근 전진 || ̘ || 0318 || || 418 || 설근 후퇴 || ̙ || 0319 || || 419 || 치경 접근음화 || ˞ || 02DE || || 420 || 원순화 || ʷ || 02B7 || || 421 || 경구개화 || ʲ || 02B2 || || 422 || 연구개화 || ˠ || 02E0 || || 423 || 후두음화 || ˤ || 02E4 || || 424 || 비음화 || ̃ || 0303 || || 425 || 비음 방출 || ⁿ || 207F || || 426 || 설측음 방출 || ˡ || 02E1 || || 427 || 불파음화 || ̚ || 031A || || 428 || 연구개화, 후두음화 || ̴ || 0334 || || 429 || 상승조 || ̝ || 031D/02D4 || || 430 || 하강조 || ̞ || 031E/02D5 || || 431 || 음절문자화 || ̩ || 0329 || || 432 || 비음절문자화 || ̯ || 032F || || 433 || 파찰음화, 이중조음 || ͡ || 0361 ||

초분절요소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501 || 제1강세 || ˈ || 02C8 || || 502 || 제2강세 || ˌ || 02CC || || 503 || 장음 || ː || 02D0 || || 504 || 반장음 || ˑ || 02D1 || || 505 || 초단음 || ̆ || 0306 || || 506 || 음절 구분점 || . || 002E || || 507 || 작은 그룹(foot) || | || 007C || || 508 || 큰 그룹(억양) || ‖ || 2016 || || 509 || 연음 || ‿ || 203F || || 510 || 전체적 상승 || ↗ || 2197 || || 511 || 전체적 하강 || ↘ || 2198 ||

성조 기호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512 || 아주 높고 평탄한 음 || ̋ || 030B || || 513 || 높고 평탄한 음 || ́ || 0301 || || 514 || 평탄한 음 || ̄ || 0304 || || 515 || 낮고 평탄한 음 || ̀ || 0300 || || 516 || 아주 낮고 평탄한 음 || ̏ || 030F || || 517 || 저음부 || ↓ || 2193 || || 518 || 고음부 || ↑ || 2191 || || 519 || 아주 높고 평탄한 음 || ˥ || 02E5 || || 520 || 높고 평탄한 음 || ˦ || 02E6 || || 521 || 평탄한 음 || ˧ || 02F7 || || 522 || 낮고 평탄한 음 || ˨ || 02E8 || || 523 || 아주 낮고 평탄한 음 || ˩ || 02E9 || || 524 || 상승곡선 || ̌ || 030C || || 525 || 하강곡선 || ̂ || 0302 || || 526 || 높은 상승곡선 || ᷄ || 1DC4 || || 527 || 낮은 상승곡선 || ᷅ || 1DC5 || || 528 || 상승하강곡선 || ᷈ || 1DC8 || || 529 || 상승곡선 || ˩˥ || 02E9+02E5 || || 530 || 하강곡선 || ˥˩ || 02E5+02E9 || || 531 || 높은 상승곡선 || ˦˥ || ------ || || 532 || 낮은 상승곡선 || ˩˨ || ------ || || 533 || 상승하강곡선 || ˧˦˧ || ------ ||

괄호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901 || 음성표기의 시작 || [ || 005B || || 902 || 음성표기의 끝 || ] || 005D || || 903 || 음소표기의 시작과 끝 || / || 002F || || 904 || 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시작 || ( || 0028 || || 905 || 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끝 || ) || 0029 || || 906 || 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시작 || (( || 0028+0028 || || 907 || 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끝 || )) || 0029+0029 || || 908 || 운율표기의 시작 || { || 007B || || 909 || 운율표기의 끝 || } || 007D ||

폐지된 기호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폐지 내역 || || 161 || 무성 치(치경) 내파음 || ƭ || 01AD || 1993년에 폐지 || || 163 || 무성 경구개 내파음 || ƈ || 0188 || 1993년에 폐지 || || 165 || 무성 연구개 내파음 || ƙ || 0199 || 1993년에 폐지 || || 167 || 무성 구개수 내파음 || ʠ || 02A0 || 1993년에 폐지 || || 201 || 치 흡착음 || ʇ || 0287 || 1989년에 177번으로 대체 || || 202 || 후치경 흡착음 || ʗ || 0297 || 1989년에 178번으로 대체 || || 203 || 치경 설측 흡착음 || ʖ || 0296 || 1989년에 180번으로 대체 || || 204 || 경구개화 무성 치경 마찰음 || ʆ || 0286 || 1989년에 폐지 || || 205 || 경구개화 유성 치경 마찰음 || ʓ || 0293 || 1989년에 폐지 || || 206 || || ɼ || 027C || 1989년에 폐지 || || 207 || || ˢ || 02E2 || 1989년에 폐지 || || 208 || 경구개화 t || ƫ || 01AB || 1989년에 폐지 || || 290 || 유성 치경 파찰음 || ƻ || 01BB || 1976년에 폐지 || || 291 || 연구개 흡착음 || ʞ || 029E || 조음이 불가능하다는 게 밝혀져 1970년에 폐지 || || 293 || 성절 비음 || ƞ || 019E || 1976년에 폐지 || || 396 || 중설 원순 근저모음 || ʚ || 029A || 1996년에 395번으로 대체 || || 398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ɷ || 0277 || 1989년에 321번으로 대체 || || 399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ɩ || 0269 || 1989년에 319번으로 대체 || || 489 || 권설 접근음화 || ̢ || 0322 || 1989년에 419번으로 대체 || || 492 || 약한 유기음 || ʻ || 02BB || 1979년에 폐지 || || 493 || 경구개화,중설화 || ̇ || 0307 || 1979년에 폐지 || || 494 || 후설화의 변종 || ˗ || 02D7 || 1989년에 414번 또는 418번으로 대체 || || 495 || 전설화의 변종 || ˖ || 02D6 || 1989년에 413번 또는 417번으로 대체 || || 497 || 고모음화의 변종,마찰음 || ̣ || 0323 || 1989년에 429번으로 대체 || || 498 || 경구개화 || ̡ || 0321 || 1989년에 421번으로 대체 || || 499 || 원순화 || ̫ || 032B || 1989년에 420번으로 대체 || || 596 || 하강상승조 || ˇ || 02C7 || 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4번 참조 || || 597 || 상승하강조 || ˆ || 02C6 || 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5번 참조 || || 598 || 낮은 하강조 || ˎ || 02CE || 1989년에 폐지 || || 599 || 낮은 상승조 || ˏ || 02CF || 1989년에 폐지 ||

IPA 미공인 기호

||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 219 || 유성 권설 내파음 || || || || 294 || 무성 치(치경) 설측 파찰음 || ƛ || 019B || || 295 || 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λ || 03BB || || 296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ž || 017E || || 297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š || 0161 || || 298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ǰ || 01F0 || || 299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č || 010D || || 394 || || ı || 0131 || || 490 || 개방·파열 || || || || 491 || 쉼표 || , || 002C || || 496 || 전설 원순 고모음화,경구개화 || ʸ || 02B8 || || 595 || 긴 하강조,전설화,경구개화 || ̑ || 0311 ||

참고: 296, 297, 298, 299번은 특히 미국 언어학자들이 관습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