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음

From Hidden Wiki
(Redirected from 거센소리)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1 有氣音 / Aspirated consonant}}}

* 상위 문서 : 언어 관련 정보

[include(틀:자음 분류)] [목차]

개요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다. 대기음(帶氣音)이라고도 하며,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특히 거센소리라고 한다.

한국어에서 , , , 에 대해 , , , 이 거센 소리이다. 손을 입 앞에 대거나 종이를 입 앞에 대고 발음해 보면 이를 느낄 수 있다. 국제 음성 기호로 유기음은 ʰ로 표기한다. ㄱ, ㄷ, ㅂ를 /k/, /t/, /p/로 표기하므로 ㅋ, ㅌ, ㅍ은 /kʰ/, /tʰ/, /pʰ/로 표기한다.

한국어를 비롯해서 중국어, 힌두어, 아이슬란드어, 태국어, 고대 그리스어,크메르어, 압하지야어, 조지아어/t//tʰ/를 다른 음소로 구분한다. 알레만 독일어에서도 /p t k//pʰ tʰ kʰ/가 구분되는데, 후자는 보통 자음군으로 분류된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앞이 유기음화한 닿소리 /ʰp ʰt ʰk/가 있다.

유기음만 존재하는 언어로는 영어, 독일어 등이 있다. 영어와 독일어에는 유기음과 유성음만 존재.


파열음에 기식(/h/ 비슷한 소리)이 따라붙는 발음. 한국어에서는 거센소리 혹은 격음(激音)이라고도 부른다.

파일:voice onset time 2015-11-22.png

발음기호로는 \[pʰ\]처럼 h를 윗첨자로 붙인 형태로 나타낸다.

|| 초성예사소리(약한유기음) || 된소리(무기음) || 거센소리(강한유기음) || || ㄱ || ㄲ || ㅋ(ㄱ+ㅎ) || || ㄷ || ㄸ || ㅌ(ㄷ+ㅎ) || || ㅂ || ㅃ || ㅍ(ㅂ+ㅎ) || || ㅅ || ㅆ || (없음)[* 긴장도 낮은 ㅆ의 거센소리가 ㅅ이라는 견해도 있다.][* ㅅ의 예사소리가 과거에 있었던 자모인 라는 견해도 있다. 근데 반치음이 예사소리라는 말에는 어폐가 있는게 애초에 순수 한국어에서의 반치음은 어두에서 나타나지도 않았고 울림소리 사이에서만 나타났다. 또 반치음은 훈민정음에서 불청불탁에 속했는데 이는 현대에 유성음이라 불린다. 불청불탁에 속하는 자음군은 ㄴ, ㄹ, ㅁ, ㅇ, 옛이응, 반치음으로 이것들은 각각 치경 비음, 유성 치경 탄음/설측 접근음, 양순 비음, 모음, 연구개 비음, 유성 치경 마찰음 즉, 모두 유성음에 속한다.] || || ㅈ || ㅉ || ㅊ(ㅈ+ㅎ) ||

한국어 외에는 주로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들(표준중국어 포함)과 태국어를 비롯한 대륙부[* 도서부 동남아시아어들(마인어, 필리핀어 등)은 그냥 유성-무성 구분만 있다.] 동남아시아 언어들, 인도에서 쓰이는 언어들(타밀어 제외), 동부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 등에서 발견된다. 이중 힌디어구자라트어같은 인도문화권 언어들의 경우 유성유기음([bʱ, gʱ, dʱ, ʤʱ])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Gandhi이다.

고대에는 그리스어에도 유기파열음이 존재했다고 하지만 코이네 시대 이후로 θ, φ, χ는 모두 마찰음으로 바뀌었다. 'phone'처럼 영어 등에서 철자는 ph로 쓰는데 정작 발음이 /f/로 나는 단어들은 대부분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봐도 된다.

|| ||문자||기식 ^^h^^||성문의 긴장도||조음기관의 긴장도||악센트|| ||이탈리아, 슬라브어의 무성음||k, t, p 등||없음||높음||낮음||낮음|| ||영어, 독일어의 어두 무성음||kʰ, tʰ, pʰ, t͡ʃʰ 등||강함||없음||높음||높음|| ||영어, 독일어의 어중 무성음||kʰ, tʰ, pʰ, t͡ʃʰ 등||중간[* 영국식 한정. 미국식 영어에서는 모음 뿐만이 아니라 자음마저 강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의 자음이 기식을 약하게 뿜는 무기음이 되고 t의 경우는 한국어의 ㄹ발음으로 변한다.]||없음||높음||높음|| ||유성음||g, d, b 등||없음||있음||낮음||낮음||

영어, 독일어를 위시한 게르만어파 언어들 대부분은[* 네덜란드어는 예외적으로 게르만어파에 속함에도 무기음으로 소리난다.] 무성파열음이 강세가 있는 단어나 문장 처음에서 이 소리로 나는 경우가 흔하다. 단, [sp]처럼 s가 뒤따라올때는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이는 다른 무성마찰음이 뒤따라오거나 강세가 없는 단어 중간에서 발음할때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언어 전문가가 아닌 일반적인 화자들은 한국인들이 유성음-무성음 구별을 못하듯 이 차이를 구별 못하는 경우가 많다지만 덴마크어아이슬란드어, 스위스식 독일어의 경우 동양권 언어들처럼 유기음-무기음으로 강음(fortis)-약음(lenis)[* p, k, t를 강음, b, g, d를 약음으로 분류한다.] 구별을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sp가 sb처럼 소리난다는 의식은 하는 편.

사실 순수하게 무성음-유성음 대립을 하는 언어들 중에서 무성파열음 기본값이 유기음인 언어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유럽의 게르만어파 언어들을 제외하면 터키어페르시아어, 서부 아르메니아어[*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달리 무성유기음-유성음 대립만 존재한다.] 정도이다.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비롯한 몇몇 언어들은 'Preaspiration'이라는 개념도 존재한다. 쉽게 말하면 "ㅎ뜨, ㅎ끄, ㅎ쁘"처럼 나는 소리인데 당연히 표기도 유기음과 정반대이다 (/ʰp, ʰt, ʰk, ʰc/ 등)

분류:음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