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2 mm 총알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 무기 관련 정보
 * 각종 탄약, 포탄 구경일람

[목차]

총알

야드파운드법으로는 0.30"로 똑 떨어진다. 그래서 미국 등지에선 30 구경(30 캘리버)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총알하면 바로 떠오를 정도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1, 2차 세계대전 동안 주력소총탄으로 사용되었고, 현대전에도 사용 중이다. 5.56 mm탄의 등장으로 개인화기용 소총탄으론 사용이 많이 줄었으나 각종 저격총과 기관총탄으로는 아직도 적절히 사용되고 있고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계기로 소총탄으로의 사용도 다시 늘어가는 추세다.

권총탄인 토카레프, 돌격소총탄인 M43, 개발 당시 PDW의 성능을 요구받은 .30 카빈탄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탄도 곡선이 다른 탄들에 비해 평활하다. 관통력도 뛰어나 2번의 경우 도입 당시 미국에서 행해진 테스트에서 800 m 떨어진 M1 철모를 깨끗하게 관통했다고 한다. 이론 상으로는 2 km 밖에서도 인마 살상이 가능하다. 그래서 저격용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고, 지금도 많이 쓰이지만 방탄 장비등의 발달과,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저격 거리가 늘어난 점 때문에 .338 Lapua Magnum 등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러시아의 AK-47 소총이 탄피의 길이가 거의 절반이라서 반동이 훨씬 낮은 7.62×39 mm탄을 사용하고 있어, 7.62×51 mm NATO와 혼동하기도 한다. 또한 주로 독일에서 사용한 7.92 mm(7.92×57 mm Mauser, 7.92×33 mm Kurz)와 혼동하기도 한다.

7.62×58 mm .30-40 크라그

미군이 제식으로 사용한 최초의 연발총인 크라그-요르겐센 소총의 전용탄으로 스프링필드 M1873의 .45-70탄의 후계이다. 사실상 미군 최초의 30구경탄으로 1892년에 디자인되었으며, 미군이 채택한 최초의 무연화약탄약이다. 이 탄약은 미국-스페인 전쟁 까지 표준으로 사용되어 M1873도 이 탄을 사용하도록 M1892로 개량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탄약은 크라그-요르겐센 소총의 전용탄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미군이 사용한 개틀링건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운드팁에 림드 탄약이다. 후에 스피처 형태도 만들어졌다.

7.62×65 mm .30-03 스프링필드

.30-40 크라그 탄은 괜찮은 물건이었다. 하지만 소총의 한계로 미군은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되었다. 특히 산 후안 고지 전투에서는 15배에 달하는 병력차에도 불구하고 스페인군 전 병력의 두배에 가까운 사상자를 내는 추태를 보였다. 미군은 원인이 소총에 있다고 파악하고 당시 스페인군이 사용한 스페니시 마우저 를 베끼다시피 하여 스프링필드 M1903을 만들었다. 탄약 또한 7x57mm 마우저탄을 참고하여 개량하였다. 이 탄이 미군 최초의 무연화약탄이라는 말이 있는데 실제 무연화약은 .30-40 크라그에서 먼저 사용했다 한다. 탄두는 여전히 라운드팁이었고, 탄피는 림드에서 림리스 형태로 변경되어 작동성을 향상시켰다.

과도하게 무거운 탄두(220 gr, 14g)와 공기역학적으로 형편없는 형상 때문에 제작 당시 부터 문제가 많이 있었다. 과도하게 무거운 탄두를 밀어내기 위해 과도한 양의 화약이 필요이상으로 높은 총강압력과 열을 발생시켜 총열을 갉아먹었다. 또한 뒤이어 같은해인 1903년 제작된 끝이 뾰죡한 형태인 독일의 7.94x57mm 마우저의 등장으로 1년도 안되어 구닥다리 탄약이 되어 버렸다. 따라서 미군은 .30-03에 사용된 문제의 화약을 개량하고, 경량의 뾰죡한 탄두를 적용한 .30-06 스프링필드 탄약을 제작하였다.

7.62×63 mm .30-06 스프링필드

width=500

Thirty-Aught-Six / Thirty-Oh-Six 미국이 양 세계대전에서 주력으로 사용한 소총탄. 뒤의 06은 제식 채택된 연도인 1906년을 가리킨다. M1903 스프링필드와 함께 제식으로 사용된 것으로 유명하다. 1903년에 채택된 총의 총알이 1906년에 채택되었다니 뭔가 이상할 법도 한데, 원래 M1903의 총알은 .30-03이라는 총알이었다. 그런데 .30-03이 장거리 탄도 문제로 인해 3년만에 .30-06으로 대체되었고, 결국 .30-06이 M1903의 총알로 유명해지게 되었다. 그 시절 군용 소총탄답게 강력한 대인저지력과 관통력, 사정거리, 명중률을 가지고 있으나 그만큼 반동이 너무나 커서 자동총기에 쓰기에는 매우 불편했다. 결국 돌격소총 발명 이후에는 일선에서 물러났다. 이 소총탄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총기로 스프링필드 M1903, M1 개런드, M1917, M1918 그리고 M1919 등이 있다.

북미 지역에 오랫동안 애용되었기에 퇴역한 이후에도 민수용으로도 인지도가 좋으며 아직도 수렵용으로 인지도가 높다. 300윈체스터 메그넘 수준으로 아주 반동이 강한것도 아니면서 .308WIN(7.62×51mm 미국 민수용시장내 명칭)보다 약간더 높은 원거리사격능력을 가지기에 아직도 쓰는사람이 많다. 특히 4000J이 넘어가는 강력한 위력 덕분에 곰을 상대하는데 쓰이는 가장 대중적인 소총탄 중 하나이다.

7.62×51 mm NATO (.308 윈체스터)

width=500

||모델명||탄두질량(g)||총구속도(m/s)||운동에너지(J)||특징|| ||M59 ball||9.7||845||3470||with pointed FMJ bullet|| ||M80 ball||9.5||850||3380||with pointed FMJ bullet|| ||M118 ball||11.15||815||3695||with pointed boat-tailed FMJ bullet, for sniper rifles||

||모델명||특징|| ||M59||보통탄(BALL)|| ||M60||고압탄(High Pressure Test)|| ||M61||철갑탄(Armor Piercing)|| ||M62||예광탄(TRACER)|| ||M63||모의탄(DUMMY)|| ||M64||총류탄 발사용 공포탄|| ||M80||보통탄(BALL)|| ||M80A1||보통탄(BALL)|| ||M82||공포탄(BLANK)|| ||M118||매치탄[* 저격에 적합하게 명중률을 높인탄]|| ||M160||파쇄성탄자(Frangible)|| ||M172||모의탄(DUMMY)|| ||M276||예광탄(TRACER)|| ||M852||매치탄|| ||M948||분리철갑탄(Saboted Light Armor Penetrator)|| ||M959||분리철갑예광탄(Saboted Light Armor Penetrator Tracer)|| ||M973||훈련용 보통탄|| ||M974||훈련용 예광탄|| ||M993||텅스텐 철갑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0-06탄(7.62×63 mm)을 기초로 개량된 탄으로 NATO 표준 탄약이다. 민수 버전은 308 구경 윈체스터(Winchester)로 NATO가 정식 채용하기 2년 전에 미리 공개되었다.

사실 훗날 M14 소총이 될 물건에 30-06 탄을 쓸려니 자동사격시의 강한 반동 때문에 제어가 어려워 반동을 줄이는 겸 탄피길이를 파격적으로 줄이려고 만든것이 7.62×49mm 탄이었는데, 이것을 소폭 강화시켜서 만든 것이 7.62×51 mm다. 30-06탄(7.62×63 mm)보다 탄피의 길이가 거의 6분의 1이나 줄어들었지만,(탄피가 짧아질수록 노리쇠왕복거리가 줄어드니 급탄부의 설계를 좀더 여유롭게 할수 있었다) 더 강력한 장약을 사용하여 운동에너지는 10%정도 줄어드는데 그쳤다. 30-06 탄과 비교하면 약간의 위력과 탄도를 희생한 대신 반동이 약간 줄어들고 탄의 길이가 짧아져서 휴대성이 조금 높아졌다.

제식 탄약으로 선정된 덕분에 M14 소총, FN FALNATO 국가들에서 쓰이는 제식 소총/기관총의 탄약 자리를 독점했으나, 실전투입 결과 자동사격의 명중률이 심각하게 떨어졌다. 30-06탄에서 위력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반동이 세서 자동사격, 하다못해 반자동으로 속사만 하는데도 명중률이 떨어졌던 것이다. 거기다가 냉전기에 극단적으로 교전거리가 짧아지는 정글 환경의 베트남전과 시가전 등에서 근거리 교전 능력에 관한 의문점이 제기되어 5.56 mm 탄종과 혼용되다가 결국 5.56mm를 쓰는 M16 소총에게 자리를 내주고는 M14 소총와 함께 자동소총용 탄약으로서는 잠정 퇴출되었다. 다만 여전히 위력과 사거리는 월등하기에 GPMG, 저격 소총의 실탄으로는 애용되고 있다.

2010년대 들어서 오히려 5.56 mm NATO탄의 일발 대인저지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떠오르자 기존 5.56 mm탄 전용 총기들을 7.62 mm탄을 쓸수 있게 만들어서 내놓은 물건들도 꽤 되는 편. 저격총의 표준적인 탄약으로 쓰일정도로 사거리 또한 5.56 mm에 비할바 없이 길기 때문에 교전거리가 긴 아프가니스탄 같은 전장에서는 5.56 mm보다 호평받는다. 터키군도 차기 제식소총 MKEK MPT에 사용할 탄약을 7.62 NATO 탄으로 유지하였다. 다만 이는 교전거리가 길수밖에 없는 아프가니스탄이나 터키의 지형적 특성에 의한 특수한 경우이고 아직까지 서방 돌격소총 사용탄종은 5.56 mm가 꽉 잡고있다. 7.62 mm의 긴 사거리와 위력이 5.56 mm의 저반동과 높은 탄약휴대량을 벌충할 만큼의 장점이 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쏘는 족족 다 맞아 원샷원킬이 나온다면 모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전쟁터에서는 막 갈기기 십상이고, 그럴바에야 소구경 탄약이 더 유리하다는 것.

그런데 2017년 미 육군이 차기 주력 돌격소총용 탄약으로 7.62 mm NATO의 부활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1]][* 탁 트인 중동 전장에서 5.56 mm로는 사거리가 부족하다고 한다. 6.5 mm짜리 신형 탄약 도입을 희망하고 있으나 종전에 쓰인 적 없는 전혀 새로운 탄약이라 2020년에나 시험될 예정이므로 채택될 때까지 임시방편으로 기존 7.62 mm짜리를 쓰는 소총을 도입하려는 것.] 2017년 8월 잠정 전투소총 계획(Interim Combat Service Rifle)으로 사업이 시작되었으나 한달만에 결국 사업이 취소되었다.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한데, 첫째는 돈, 둘째는 무게다. 탄환이 무거워서 많이 휴대하지 못하니 보급 주기를 단축시켜야 하는데 지금 미국이 수행하는 작전들에는 이게 좀 많이 곤란하다. 탄약을 운반하고 휴대하는 장병들의 피로는 덤. 또한 7.62 mm가 퇴출된 대표적인 이유인 '연사나 속사시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고질적인 문제가 전혀 개선된 점 없이 다시 돌아오는 셈이므로 이에 대한 부담감도 한 몫 했을것이다. 최근에 떠오르는 차세대 돌격소총용 탄으로는 6.5 mm와 6.8 mm SPC II가 있는데, 반동은 5.56 mm 수준이면서 위력과 사거리는 7.62 mm와 겨뤄볼만 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실탄을 사용한 총기들 중 대표적인 총기로는 M60, FN MAG(M240) 등의 다목적 기관총과 울궈먹기의 대가 M14, 레밍턴 암즈M700, FN사의 SCAR-HFN FAL, H&K사의 G3, H&K HK417, S&T 모티브K12기관총과 K14 저격소총, 호와 공업64식 소총62식 기관총 등이 있다. 일본 64식 소총의 경우 한때 반동감소를 위해서 탄약으로 장약량을 줄인 약장탄을 사용했으나 차후 개량하여 표준탄약을 사용하고 있다.

[군용으론 쓰이지 않지만 고폭소이탄 같은 특수탄종도 존재한다.]

미국내 민수용 총기시장에선 .308 Winchester로 통한다. 그렇지만 사실 7.62×51 mm NATO와 .308 윈체스터 민수용 탄은 규격이 약간 다르다. 이는 군이 7.62 mm NATO탄을 규격화 하기 전에 이미 .308 윈체스터 탄이 민수용으로 나오면서, 서로 탄피 두격과 약실 압력이 미묘하게 다르게 정해버렸기 때문이다. [[2]] 사실 위력으로 말하면 민수용 .308이 조금 더 센 편이다.

요즘 나오는 7.62 mm NATO탄 총기는 대부분 .308 윈체스터를 소화하도록 디자인 되어 있지만, 구식 군용 7.62 mm 총기에서는 그러하지 못했다. 그래서 좀 오래된 7.62 mm 총을 샀다면 불용 군수품 7.62 mm 나토탄을 쓰도록 권장된다. 구식 총에 민수용 .308 넣으면 보통 탄피가 변형되고 가스압이 탄피 쪽으로 새서 탄피에 흔적이 남으며, 심하면 탄피가 찢어지고 약실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한두 발 쓰는 거면 별 문제 없이 넘어갈 수 있지만 수천발 넘게 쏘면 확실히 탈이 난다.

전쟁영화 풀 메탈 재킷을 보면, 교관 하트먼 상사갈굼으로 결국 맛이 간 뚱보 고문관사고를 칠 때, "…Seven-six-two millimeters… Full-metal-jacket…!" 이라는 대사에서 이 총탄이 언급하는데 당시 들고 있던 미군의 제식소총인 M14의 제원의 일부을 읊은 것.

헤일로 시리즈에선 개발후 600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현역이며 제식소총인인 MA5 돌격소총의 탄약으로 사용되고있다(…). 물론 재질은 게임내 등장하는 티타늄A로 만들어서 훨씬 좋지만…

7.62×54 mm R

width=500

||모델명||탄두질량(g)||총구속도(m/s)||운동에너지(J)||특징|| ||M1891||13.7||610||2550||with round-nose FMJ bullet|| ||L||9.7||860||3587||with pointed FMJ bullet (M1930 light ball)|| ||D||11.9||795||3760||with pointed boat-tailed FMJ bullet (heavy ball)|| ||B30||11||815||3650||with armor piercing bullet|| ||7N1||9.56||820||3214||with pointed boat-tailed FMJ bullet, for sniper rifles||

러시아가 1890년대부터 지금까지 사용해오고 있는 총탄으로 본래 러시아 제국 시절의 제식 소총 모신나강용 총알이었다. 위력은 스프링필드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탄피의 뒤가 돌출되어 나온 림 방식 탄피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원래 볼트액션 소총들의 차개에 걸리기 위한 부분인데, 미국, 독일 등에선 살짝 홈을 파 단차를 없앴으나 당시 러시아는 공업기술 부족으로 이렇게 쓸 수 밖에 없었다.]

이 방식은 대용량 탄창을 쓰는 자동 화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시모노프의 AVS-36 소총을 들 수 있겠다. 무리하게 림탄을 기준으로 자동화기를 개발하다보니 당연히 내부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었던 데다가, 자동사격시의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설계조차 없었다. 연사력도 상당한데(분당 800발) 무게는 BAR의 절반수준이었으니… 게다가 격발후 탄피가 약실에서 제법 오랜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기 때문에 격발불량이 자주 발생했다고 한다. 그러나 소련에선 데그탸료프 보병기관총이나 PKM, 항공기용 ShKAS등의 기관총이나 Dragunov, SV-98등의 저격 소총에까지 사용했다. 소련판 미니건 GShG-7.62에 까지 사용하기도 했다.

이 구세대 탄약 때문에 자동화기 설계가 상당히 어려워지자 데그탸료프는 독특한 방식의 원반 탄창을 사용하기도 했다.

단, 탄약의 위력만큼은 보장된다고 한다. 애초에 러시아의 평지에서 만나는 동물들은 웬만해서 이나 늑대등의 매우 강력한 야생동물들을 고려하면... 라푸아를 포함한 각종 탄약 회사들의 기술자들은 현재까지도 쓸만큼 이 탄약이 제 할일은 충실히 한다는 평가를 내렸다고…

7.62×39 mm M43

width=500

* 러시아제

||모델명||탄두질량(g)||총구속도(m/s)||운동에너지(J)||특징|| ||57N231||7.9||718||2,036||표준 FMJ탄.|| ||57N231P||7.57||718||1,951||예광탄.|| ||57N231PM1||7.55||718||1,946||개량형 예광탄. 발사후 50~120m쯤 날아간 뒤에 예광제가 인화한다.|| ||57N231U||12.55||293||562||아음속탄. AK-47에서 PBS-1소음기와 함께 쓰인다.|| ||57X231||-||-||-||공포탄.|| ||7N23||8||735||2,130||철갑탄. 1990년대에 개발되었다.|| ||BZ||-||-||-||철갑소이탄. 탄자 앞부분에 소이제가 충진되어 있다.|| ||Blended Metal Technology||7.3g||945||3240||||

* 중국제: 대체적으로 M43탄을 기반으로 생산성을 중시한 개량을 거친 게 특징.

||모델명||탄두질량(g)||총구속도(m/s)||운동에너지(J)||특징|| ||Type 56 ball||-||-||-||탄자내부에 납과 함께 연철탄심을 같이 사용하지만 연철이라서 장갑 관통효과는 낮은 편. 덕분에 철갑탄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Type 56 tracer||-||-||-||예광탄.|| ||Type 56 incendiary||-||-||-||소이탄.|| ||Type 56 incendiary tracer||-||-||-||소이예광탄.||

* 유고슬라비아제: 탄자형상이 변경된 게 특징. 텀블링이 쉽도록 개량한것으로 판단되지만 장거리에서 탄속저하가 원본보다 큰 편이다.

width=640 왼쪽 끝이 M43. 오른쪽에서 세번째가 M67이다. ||모델명||탄두질량(g)||총구속도(m/s)||운동에너지(J)||특징|| ||M67||-||-||-||위의 사진 참고.|| ||M76||1.7||700||-||송탄통 사용식의 Sub Caliber탄. 알루미늄 탄자를 사용하며, 100m 정도까지는 그럭저럭 명중률이 나온다. 즉, 연습용 탄.|| ||M78||-||-||-||예광탄.|| ||M82||-||-||-||철갑예광소이탄.|| ||M83||-||-||-||철갑소이탄. M82와 동일하지만 예광제는 들어 있지 않다||

소련이 1943년에 개발해 1949년에 제식 채용.[* M43은 1943년에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본래는 반자동 소총 SKSRPD를 위하여 개발되었으나, 자동소총인 AK-47과 그 후속 개량형인 AKM이 사용하는 탄으로 더 유명하다. 디자인은 3번의 탄피 길이를 절반으로 줄이고 탄피의 림을 림리스로 만들고 탄두 중량을 약 8g 줄인 것. 기존 소총탄을 개인화기로 자동사격할 경우 반동과 진동으로 제대로 쏠 수가 없기 때문에, 탄피 길이를 줄이고 화약을 적게 넣어 반동을 적당한 수준으로 줄였다.

위력은 기존의 7.62×54R보다 약하지만 그만큼 반동이 줄었고 길이도 조금 줄어들고 급탄 신뢰성이 상승했다. 당장 PK기관총과 SVD를 만들때 7.62×54R의 림이 얼마나 빡씨게 했는지를 생각하자. 덤으로 부피가 줄어든만큼 7.62mm치고는 많은 탄을 휴대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AK-74의 탄이 5.56 mm와 비슷한 소구경 고속탄인 5.45 mm M74로 바뀌면서 소련 등지에서는 주력 자리에서 퇴출되었지만 AK-47이 워낙 많이 ~~살포되었기에~~ 보급되었기에 아직도 많은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일명 세계에서 가장 널리 퍼진 소총탄 혹은 빈자들의 소총탄. 특히 중동/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의 각종 분쟁 지역에서는 정말 지겹도록 볼 수 있는 탄종이다. 핀란드산 Rk 95, 미국산 SR-47 등에서도 이 탄종이 사용되었는데, 미국산의 경우에는 중동에 전쟁하러 나가는 일이 하도 많다 보니(…). 적의 탄약을 노획해서 쓸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제작되었다.[* 실제로도 현지 미군 전투 병력이나 PMC 등이 탄약 문제 때문에 적의 AK를 노획해서 쓰는 일이 적지 않았고, 이들은 이 소총탄이 매우 쓸 만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미국에서는 자국의 7.62와 구분하기 위해 7.62mm Russian이라고도 부른다. 다 같은 7.62mm 구경이라는 점 때문에 가끔 군부대 자료에도 7.62mm NATO 탄으로 오역하곤 하는 탄종. 참고로 7.62 mm Soviet 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 총탄이다. 7.62×54mmR와 헷갈리지 말자.헷갈린다면 두 탄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를 기억하면 된다. 러시아 제국에서 만들어졌으니까 7.62mm Russian, 이건 소련에서 만들어졌으니 7.62mm Soviet.

5.56mm, 5.45mm 등 소구경 고속탄의 시대가 오면서 구식화되었다고 여겨졌으나, 2000년대 테러와의 전쟁 시대를 겪으면서 5.56mm NATO같은 소구경 고속탄은 상황에 따라 지근거리 과관통[* 주로 텅스텐 등 고경도 탄심과 청동 등 고인성 갑피를 쓰는 철갑탄 사용시 이 문제가 생긴다.]과 충격력 전달 미비로 인한 저지력 부족 문제를 겪었고,[* 이전 서술에선 장거리에서의 위력 부족 문제라 적고 있었다. 물론 5.56mm 탄약이 장거리 교전에서 한계를 내보인 점은 맞지만, 그 대체재가 M43이 될 수는 절대 없다. 총구 속도, 탄자의 공기 저항 면적 모두 5.56mm가 M43보다 우월하며 결국 탄도의 낙차 등 장거리 사격에서 중요한 부분은 전부 5.56 NATO가 M43보다 우월하다. 구형 M193 탄약의 경우 400m 이상에서 탄도가 급격히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M43과 비슷하거나 소폭 우위. 서방측 군대에서 보병 간 장거리 교전에 대응한 방법은 M43 재평가가 아니라 7.62 NATO 등 더 강한 탄약을 쓰는 DMR이나 전투 소총, 저격 소총과 각종 광학 조준경을 조합해 단발 정밀 사격하게끔 훈련시키기, GPMG/유탄 발사기/무반동포 등 공용 화기 활용하기, M855A1 등 신형 5.56 mm 탄약 보급하기, 가볍고 쓰기 편하다고 5.56 mm 탄약의 정규 총열 길이인 16~20인치를 무시하고 M4 카빈의 14.5인치 등 자꾸만 짧아지던 일선 소총수의 총열 길이를 16인치 이상으로 도로 늘리기 정도다. 특히 네 번째 요인의 경우 M16A2의 20인치 총열에서 쏜 SS 109탄은 적어도 600 m까진 충분히 만족할 만한 탄도 특성과 관통력을 보이나, 14.5인치 총열의 M4로 오면 400 m 이하로 토막나 M193탄 쏘는 M16A1의 450 m만도 못한 유효 사거리로 회귀한다. M16A4에 스코프만 올린 지정 사수들이 간혹 보이는 이유나, 미 해병대가 M16은 길고 거치적거리는 걸 알면서도 끝까지 M4에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다가 16인치 총열의 M27로 갈아타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7.62 mm NATO는 위력과 사거리는 아주 좋으나 부피와 무게, 결정적으로 연사하면 반동 제어가 무지하게 힘든 문제가 있어 7.62×39가 가장 실전에서 적절한 탄약이라는 견해도 높아지고 있다.[* 소구경 고속탄은 작은 탄자 중량 대신 높은 탄속을 이용해 위력을 높이므로, 탄자를 가속시킬 거리가 부족한 짧은 총열과 궁합이 잘 안맞는 경향이 있다. 10~11인치의 매우 짧은 총열에서 쏜 SS 109는 운동에너지가 .30 카빈탄 이하로 나오기도 할 정도니... 반면 CQB 등 지근거리 전투에 대응해 단축 소총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니 비교적 짧은 총열과 호응이 좋은 M43과 같은 탄약의 인기도 덩달아 유지되는 것이다.] 러시아 특수부대도 5.45 mm 사용 AK74 계열을 사용하면서도 7.62 mm 사용 AKM 계열을 퇴출시키지 않고 같이 사용하고 오히려 수출형 AK 시리즈들 중 하나인 7.62×39 mm 카빈도 사용하며, 2017년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특수부대 중 하나인 프랑스 GIGN이 5.56 mm를 사용하는 기존 주력소총 HK416을 체코제 브렌2 카빈 7.62×39 mm 사용 버전으로 교체할 계획을 발표했다.

군용으로도 신규 채택하는 경우는 적어도 나름의 인기가 있지만, 북미 등지에서 민수용으로 더 큰 인기가 있다. 코요테, 멧돼지 등 중소형 유해 조수 사냥용으로 비슷한 위력의 탄약들(5.56 mm, M43, .30 카빈 등) 중 강한 저지력을 갖고 있고 5.56에 비해 떨어지는 중장거리 위력은 애초 사냥에서 400 m 이상 중장거리 표적을 쏘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안 된다. 사냥에선 보통 평범한 기량의 사수가 가늠자-가늠쇠를 이용해 사람 크기 표적의 육안 조준이 가능한 300 m 이내에서(군대 사격장의 멀가중에서 멀이 250 m인 이유다.) 사격이 이뤄진다. 여기에 구 동구권 국가들의 재고 무기 떨이/민수 시장 진출로 SKS, 반자동 AK 등 M43탄을 쓰는 총기와 그 탄약을 동급의 다른 총기와 탄약에 비해 싼 값에 어디서나 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은 덤. 아프리카 등지에선 가장 구하기 쉬운 총과 탄약이 이거다 보니 자동차와 AK, RPD, RPK 등 자동화기를 쓰는 밀렵꾼(내지 민병대)들이 코끼리, 코뿔소 등 대형 동물이나 사자 등 맹수들(밀렵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남기려는 경우도 많지만 인간과 동물의 생활 터전이 겹치게 되면서 경작지, 주거지 등의 안전을 위해 쏴 죽이는 경우도 많다.)도 '죽을 때까지 퍼 부어서' 잡곤 한다고 한다. M43의 위력이 이런 동물들을 한 방에 즉각 제압하기엔 모자라지만 그래봐야 살과 뼈로 이루어졌으니 M43 정도 되는 총알을 몇발 이상 얻어 맞다보면 과다 출혈, 복합 골절, 쇼크, (확률적으로)급소 명중 등 사망에 이르기 충분한 중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아프리카인들이 AK로 맹수들을 잡는 실제 상황에서는 자동사격으로 대놓고 갈기는 경우도 많은판이라 수십발을 얻어맞을테니 어떤 생물이던 도저히 당해낼수가 없는 판.

탄피의 테이퍼각이 큰 편이라 탄창의 형태가 크게 휘어져 있다.

동구권에서 많이 이용되는 탄약이라 나라마다 이런저런 변형이 많은 편이다.

단점은 운동에너지에 비해 탄두가 크고 무겁다보니 탄도가 그리 좋지 않다. 5.56mm와 비교해도 장거리 사격에는 많이 불리한 편. 당장 유효사거리부터가 5.56mm는 600m도 나오는데, 7.62x39mm는 저격총 수준 총열길이는 되어야 그 유효사거리를 충족한다. 이런 유효사거리가 나오는 이유는 탄두가 무거운데 운동에너지는 적어서, 소구경 고속탄에 비하면 7.62x39mm는 총알이 포물선을 심하게 그리기 때문이다. 이 ~~욕나오는~~ 포물선 때문에 많은 슈터들이 5.56x45mm 쓰다가 7.62x39mm쓰면 탄도가 더럽다고 불평하곤 한다. 5.56mm에 익숙한 서방세계에서 7.62x39mm 퍼포먼스의 총탄이 군용으로 대중화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최근에는 서방 세계뿐만 아니라 중동처럼 7.62x39mm만 주구장창 써온 지역까지 5.56x45mm 총기를 대량으로 사용하는지라 오히려 7.62x39mm는 중동의 주요 전장에서조차도 축출되는 추세이다. 2차 리비아 내전, 이라크 내전 등 최근 벌어지는 중동의 전쟁에서 이런 경향이 극명히 보인다. 아무리 강력한 공격이라도 맞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말처럼, 위력은 강력하나 명중률이 고속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게 7.62x39mm의 최대 단점이다.

7.62×35 mm .300BLK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ive_bullets.jpg

오른쪽 두번째는 5.56 mm 맨 오른쪽은 M-43

.300 AAC Blackout.[* 7.62x35mm]은 7.62×39 mm - 9×39 mm의 관계와 비슷한, 일종의 5.56 mm 넥업탄약이다. 개발 목적은 기존의 5.56 mm 사용 총기의 부품을 대부분 공유하면서 소음감소 및 M-43급으로 저지력증대와 더불어, 군에서의 채용이라는 꿈을 위해 AAC사에서 개발한 탄약이다.--또또, 5.56 mm로는 저지력이 부족하다는 사악한 현상이........--

개발 목적에 따라, 소음기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인 초소음을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기본 사양의 경우 220 gr(그레인)의 아음속탄이나 리로드 탄약, 생산회사 따라, 143 gr(그레인)탄약 같은 초음속탄도 존재한다.[* 아음속탄들 중 일부는 애초에 탄두를 뾰족하게 만들지 않는 것도 존재하나, 대다수의 아음속탄은 탄두중량을 늘리고 장약량을 줄여 탄속을 느리게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또한 상기에 적어두었듯이, 7.62 mm탄두 급의 탄두 중량을 통한 대인 저지력을 노리는 경우도 있어 소음이 발생할 망정 탄속과 유효 사거리, 범용성을 얻겠다는 고객들도 있어서 생산되는 것이 초음속탄이다. 아음속탄은 그 태생적 한계로 인해 "절대" 만능이 아니다!]

이 탄환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은 5.56×45 mm기반의 총기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으로, 탄피지름 및 탄약전체길이가 5.56 mm와 동일하다. 때문에, 기존 AR-15에서 .300BLK를 쓰기위해 바꿔야 할 부품은 총열 단 하나밖에 없으며[* AR-15가 다른 탄종을 쓰기위해 바꿔야하는 부품이 총열 이외에 탄창과 노리쇠, 탄종에 따라 노리쇠뭉치나 탄창내부에 어댑터를 달아줘야하는 경우가 있다는것을 생각해보면 (9 mm를 호환하는 콜트 9 mm SMG.22 LR 컨버젼킷 같은 경우에는 블로우백으로 작동하는 특성상 별도로 바꿔야 할 부품들이 생각보다 많다. [[3]]) 이러한 특징을 보았을때 .300BLK은 정말로 극단적으로 호환성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물건이다.] 그 극한의 호환성은 기존 STANAG형 탄창에서의 급탄신뢰성을 위해 탄피와 탄피림의 지름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의) 탄자마저 철저하게 5.56탄의 사이즈안에 들어가도록 설계되어있다.[* 다만 일반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른탄종을 쓰기위한 노력이 (작업실에서 하나하나 총열을 분해결합하는 수고를 하지않는한) 다른탄종의 상부리시버를 갈아치우는 정도에서 탄창이랑 노리쇠뭉치만 기존것을 쓰는정도수준이라 큰 매리트는 없지만 기존의 5.56 mm소총을 쓰는 군의 입장에서는 .300BLK탄약으로 사용탄을 갈아치울때 교체할 부품이 단 1종이라는것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다만 탄도와 전반적 위력이 초음속탄 기준으로 M43탄과 유사하거나 살짝 나은 수준이라 400 m 이상 중장거리 교전시 5.56 mm보다 불리하므로, 아음속탄을 주로 쓰는 특수전 부대 소음 총기 사수용(이 경우 소음 성능이 필요할 땐 아음속탄으로 쏘고, 일반적 전투 상황에선 탄약만 바꿔 초음속탄을 쏘면 되니까 소음총 사수가 중거리 대응용 소총을 한자루 더 갖고 다니거나 중거리 교전시 전력에서 제외되는 불편을 던다.)이나 최근 근거리 대인 저지력 문제로 M43탄을 도입한 프랑스 대테러부대 같은 경우라면 몰라도 정규군에서의 제식 소총탄 채용 가능성은 없다. 기존 탄약 재고 물량을 갈아치우는 막대한 예산 문제를 생각시 더더욱!] STANAG 탄창을 그대로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비슷한 이유로 .50 Beowulf도 총열 하나만 바꿔서 STANAG 탄창에 삽탄해서 그대로 호환할 수 있다.] 그리고 5.56 mm약실에 .300BLK를 장전시 그냥 들어간다.[* 파일:external/blog.westernpowders.com/300-ACC-Blackout72.jpg] 단, 이상태로 격발시엔 약실에 탄자가 막히면서 압력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그대로 폭발한다.

300.BLK 탄을 사용하는 SIG MCX델타포스에 납품되었다고 한다.

7.62×67 mm .300 Winchester Magnum

width=40% 사진의 중간 탄약. 왼쪽은 .338 Winchester Magnum, 오른쪽이 .375 H&H Magnum

탄속은 910 m/s. 주로 저격용으로 이용되는 7.62×51 mm NATO탄 사용총기의 경우 간단한 개량으로 이 탄약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군에서는 기존 7.62x51 mm NATO탄의 후달리는 장거리 공격력을 커버하기 위해 이 탄약을 매치그레이드급으로 개량해서 MK.248 MOD.1이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사용 총기

* AR-30
* AWM
 * G22(AWM-F)
* M86
* 모델 700 일부 기종
 * XM24A1
 * M2010 ESR
 * Mk.13 SWS
* Orsis T-5000
* TRG-41
* WA2000

7.62×33 mm .30 Carbine

width=550

7.62×33 mm. 운동에너지 1,300 J 정도로 5.56 mm [* 참고로 이 탄종의 운동에너지는 1755J ] 이나 .44 매그넘에 비하면 아주 약간 약한 수준의,권총탄과 소총탄의 경계에 걸쳐있다. 생긴것도 라운드노즈에 스트레이트탄피라서 딱 서부시대 리볼버에 쓰이던 탄처럼 생겼다.[* AutoMag III, 레이징 30C 등 실제로 사용가능한 권총도 있다.] 주로 M1 카빈에 사용되는 탄.

7.63×25 mm 마우저

독일제 권총탄으로, 이 탄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마우저 C96이 있다. .357 매그넘 탄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권총탄 중에서 가장 빠른 탄속을 지니고 있었으며, 추후 소련이 독일제 권총들을 수입하면서 이 탄을 참고하여 7.62×25mm 토카레프를 도입하게 된다. 물론 토카레프탄이 도입된 이후엔 .357 매그넘탄 이전에 토카레프탄이 가장 빠른 탄속을 지니게 되었다.

7.62×25 mm 토카레프

width=500 7.62×25mm Tokarev[* 사진의 권총은 CZ 52이다. 그 유명한 체코 조병창이 설계해 만든것으로, 많은 문제점과 열악한 안전성을 가진 소련제 TT 권총보다 훨씬 가벼우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내구성이 튼튼해서 대량생산이 가능했고, 오염에도 매우 강해 TT보다 훨씬 진보적인 권총이다.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있다.]

러시아제 권총탄으로 2차대전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사실 이 탄환은 이름은 조금 다르지만 원래 독일제인 7.63 mm 마우저 탄의 러시아 생산형으로, 제정 러시아가 마우저의 권총탄을 사용하는 권총들을 수입하면서 도입되었다. 실제로 이 두 탄환을 사용하는 총은 아무 문제 없이 탄환을 바꿔 쓸 수 있고, 이 탄환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총으로는 이른바 TT 권총PPSh-41가 유명하다.

나강 리볼버의 7.62 mm탄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나강 1895 리볼버는 7.62×38 mm R를 쓴다.

그리고 이 토카레프는 권총탄 주제에 탄피가 일반적인 원통형이 아닌 소총탄과 닮은 병목형이며, 다른 권총탄에 비해 구경은 작아 대인저지력이 약간 부족하다고 하지만 9 mm와 큰 차이가 없다. 그리고 초구탄속이 빨라 의외로 방탄복에 대한 관통력이 다른 권총탄에 비해 약간 높다.

그 외의 7.62 mm 탄

* 7.62×53mmR: 핀란드제 소총탄. 러시아의 7.62×54 mm R를 참고하였으며, 상호 호환이 가능하긴 하지만 총기에 무리를 줄 수 있다.
* 7.62×45 mm: 체코슬로바키아제 Vz.52에 사용된다. 7.62×39 mm M43을 기반으로 개량한 물건이며, 길어진 탄피길이만큼 운동에너지와 탄속은 상승했지만 그렇게 얻어진 이득보다 보급계에 가해지는 단점이 더 컸고, 체코슬로바키아가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가입하면서 사장되었다.
* 7.62×38 mm R: 나강 1895 리볼버에서 사용되었던 탄약. 탄피가 탄자 부분까지 감싸는 특이한 구조다. 위력 자체는 9mm 파라벨럼보다 낮은편.
* 7.62×37 mm: .300 Whisper탄. (.300BLK처럼) 221 레밍턴/223 레밍턴의 탄피를 토대로 만든 아음속 탄이며 대표적으로 SL9SD에 호환한다.
* 7.62×28 mm: 5.45×39 mm 탄의 탄피를 반으로 줄이고 탄두는 7.62mm 급으로 넥업한 아음속 탄으로 소음은 적었지만 관통능력이 약해서 도입이 취소되고 9X39 mm로 전환된다.
* 7.62×42 mm SP-4: 스패츠나츠의 총열이 장착된 서바이벌나이프 NRS-2에 사용되는 탄환이다.

게임 이름

Brigade E5: New Jagged Union의 후속작인 게임 "7.62 mm". 대략 시나리오는 거액의 자금을 들고 남미 지역으로 먹튀한 러시아인 사업가를 추적하기 위해 용병을 파견한다는 것인데…진행이 재기드 얼라이언스 2와 상당히 흡사하다. 게임의 주무대인 algeira는 반군과 정부군이 서로 대립하고 있으며 플레이어가 개입할 수 있다. 이는 JA2에서도 마찬가지. 주인공이 얼마나 활약하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바뀌는것도 같은 점 중의 하나다. 해외포럼에선 이런 이유로 재기드 얼라이언스의 후속작으로 쳐주는 사람들이 꽤있다.

제목은 7.62이지만 7.62 탄 총기들만 나오는게 아니라 별의별 총기들도 많이 나오며, 총기 개조(주로 악세서리 부착이지만)가 가능하다거나 하는 시스템들은 거의 전작을 그대로 계승했다.

게임 자체는 전작처럼 레인보우 식스 방식의 게임이다. 단 FPS가 아니라 TPS 이지만… 좋은 평 못듣고 사장된 전작인 브리게이드 E5보단 낫지만 이쪽도 여전히 좋은 평은 못듣고 있다. 요구 사양 답지 않은 그래픽이라든지.

2015년부터 이 게임을 스팀에서 사면 7.62 hard life라는 유저 대규모 확장팩이 같이 추가되는데, 거의 엑스컴: 롱 워모드급으로 게임을 바꿔주기 때문에 요즘은 커뮤니티에서 본편보다 더 많이 하는걸 볼 수 있다. 다만 러시아산 모드라 그런지 무진장 어렵다. 왠만큼 게임에 숙달된 사람도 어렵다고 느낄정도. 총기류와 악세사리 종류도 100개 가까이 추가 되었는데 웃긴건 여기에다가 총을 자그마치 800종이나 더 추가해주는 GEG라는 모드가 있다. 총기,광학장비,엑세서리 하나하나 풀3D모델인건 덤

일단 본편부터 하고싶은 위키러들이 있다면 스팀 게임 속성의 베타 탭에 있는 blue sun 모드를 적용하고 하는걸 추천한다. 수많은 버그와 오류를잡는 동시에 난이도도 괜찮아지고 컨텐츠도 많이 늘어나서 게임이 꽤나 할만해진다!

mercapocalypse라는 blue sun 추가 모드가 있다. 용병과 무기가 추가되며 새로운 퀘스트라인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