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파르딤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include(틀:유대인의 주요 집단)] 영어: Sephardim[* 세파르드 유대인이라는 뜻이다. 예후딤(유대인)처럼 그 자체가 ~인의 뜻을 갖고 있으므로 세파르딤 유대인과 같은 표기는 동어반복이 된다.], Sephardi Jews 히브리어: סְפָרַדִּים, יְהוּדֵי סְפָרַד‎ 아랍어: يهود سفارديون 스페인어: Sefardi, Judios Sefardis(후디오스 세파르디스)

[목차]

개요

세파르딤(세파르드 유대인)은 디아스포라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한 유대인들의 후손을 가르킨다. 아슈케나짐, 미즈라힘과 함께 유대인 혈통의 주류를 이룬다.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인구가 220만 명, 이스라엘내 인구는 140만명 정도이다.

프랑스에 있는 유대인들은 대부분 세파르딤이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추방당한 후 알제리에 살던 세파르딤들이 다시 프랑스로 이주한 것. 아슈케나즈 유대인들과는 유대교 의례가 다르며, 의례 방법이 상동한 미즈라힘들이 세파르딤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하지만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세파르딤과 미즈라힘도 서로 구별[* 출신 지역이 아랍어권이면 미즈라힘, 아랍어권이 아니면 세파르딤으로 분류하는 추세이다.]하고 있다.

역사

중세 초 유대인들이 처한 상황은 끔찍했다. 로마 제국의 기독교 공인 이후에도 팔레스티나 속주와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근근히 생명을 유지해오던 유대인들은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유대인 탄압으로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추방을 당하는 위기를 겪게 된다. 한 술 더떠서 비잔틴 제국이 사산조 페르시아 그리고 이슬람 칼리프조와 전쟁을 벌이는 와중에 많은 유대인들이 전쟁에 엮여서 목숨을 잃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인 유대인들은 도대체 어디로 도망가야 하냐 발을 동동 구르게 되었다.

8세기 경 이베리아 반도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무슬림에 의해 정복되면서, 고립된 지역의 무슬림 지주들이 기독교인 농민들 위에 군림하는 사회 구조가 형성이 되었다.[* 후우마이야 왕조 참조] 이 상황에서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기독교도 농민 통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유대인들의 이민을 적극 권장했는데, 유대인들은 무슬림 지주와 기독교도 농민 사이에서 마름 역할을 하였다. 이를 기회로 비잔틴 제국 영토에 있던 유대인들 상당수는 스페인으로 이주하였다. [* 같은 시기 비잔틴 제국 영토에서 오늘날의 벨기에,네덜란드 인근으로 피난간 유대인들은 아쉬케나짐 유대인의 기원 중 하나가 되었다.]

중세 이베리아 반도에는 무슬림 군인과 지주, 기독교인 농민, 그리고 ~~무슬림 지주 앞잡이 노릇을 하는~~유대인 마름과 상공업자들이 공존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페인 안달루시아에 정착한 그리고 라디노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 세파르드 유대인의 기원이 되었다. 후우마이야 왕조의 주요 도시마다 유대인 공동체가 자리잡아 상공업을 발전시키면서 코르도바, 세비야, 톨레도 같은 도시들이 중세 초 유럽 유수의 대도시가 되면서 후우마이야 왕조의 번영에 크게 기여하였다.

스페인의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을 무어인의 앞잡이라며 생각하며 싫어했었다. 시대가 지나면서 분열되고 약화된 스페인의 이슬람 타이파 국가들은 힘이 약해지고 쪼개지며 점점 기독교 세력에게 밀려났다. 기독교인들이 레콩키스타를 통해서 무슬림 영토를 정복할 때마다 유대인들이 약탈당하고 살육당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레콩키스타가 계속 진행되면서 무어인들의 영토가 줄어드는 만큼 세파르드 유대인들의 입지마저 약해졌다. 레콘키스타들에게 정복된 도시에서는 마스지드와 시나고그가 폐허가 된 채로 버려지거나, 성당으로 개축되기 일쑤였다. 위기의식을 느낀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들은 북아프리카에서 알모하드 왕조(알 무와히드 왕조; الموَحدون)를 끌어들이기도 하고 나중에는 무라비트 왕조가 이베리아 반도로 들어와서 레콘키스타를 저지하려 했으나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과격한 이슬람 신앙을 가지고 있던 알 무와히드 왕조와 알 무라비툰 왕조는 자신들의 기독교도와 유대교도 신민들에게도 엄격한 이슬람 율법을 강요하였고,[* 이슬람 황금기를 공유했던 후우마이야 왕조는 타종교에 대해서는 세금만 잘내면 된다는 전제 하에 관대했었다.] 기독교도 신민들은 더욱 더 적극적으로 레콘키스타와 협력하고 유대인들은 차라리 이집트 아이유브 왕조로 피난을 가는 상황도 벌어졌다.

1492년 나스르 왕조그라나다마저 정복당하고 레콘키스타가 완료된 이후, 스페인에서는 레콘키스타를 마무리짓는다는 미명 하에 유대인들에게 더욱 가혹한 탄압을 가했다. 많은 세파르드 유대인들은 반강제로 기독교로 개종을 당한 후에도 분이 안 풀린다는 이유만으로 살해당했다.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조차도 "혈통이 안좋다." "너 무늬만 기독교지?"하면서 괴롭히는 현상이 심해지자 기독교로 개종했었던 유대인들 중 상당수가 이베리아 반도를 떠나, 네덜란드나 프랑스, 이탈리아를 통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일대로 이주했다. 처음부터 개종을 거부했던 사람들은 대게 북아프리카 일대의 무슬림 국가로 추방당했고 오스만 제국에 정착하게 된 사람들도 적지는 않았다. 레콘키스타 이후의 세파르드 유대인들의 처우는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들의 처지보다 훨씬 더 안좋았는데, 무슬림들은 항복 과정에서 항복 조건을 거래를 하면서 어느 정도 선에서 안전을 지키는게 가능했지만, 유대인들은 항복 조건 협상에서 제외되어 있던데다가, 유대인들의 재산을 노리고 성직자들이 반유대주의를 부채질하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이다.

도시 상공업 인구와 전문직 대부분을 차지했던 유대인들을 꾸준히 인종청소하면서 스페인의 여러 도시는 인구가 급감하였고 공업 기반이 극도로 취약해졌다. 스페인은 나중에 아즈텍과 잉카를 정복하며 식민화하며 많은 귀금속을 스페인 본국으로 거둬들였지만, 본국의 산업 기반이 취약한 나머지 식민지에서 유입된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이웃 국가들로부터 사치품들을 비싸게 구입하는데 자본을 낭비해버리고 만다.

스페인의 세파르드 유대인들이 처참한 상황에 처했던 것과는 다르게, 포르투갈의 유대인들은 눈치껏 대거 브라질 식민지로 이주해서 특권층이 되어 잘먹고 잘 살았다고 한다. 당시 신대륙에서는 포르투갈인 인력이 너무 부족했기 때문에[* 한때는 인도양 전역을 장악했던 포르투갈의 대항해시대 전성기의 종말도 인적 자원의 고갈로 인한 것이었다. 포르투갈 자체부터가 인구가 별로 많지 않은 나라이기도 했고...] 종교재판으로 이들을 숙청하기 힘든 상황이었다.처음에는 유대교 신앙을 숨기며 기독교를 믿는 척 했던 이들이지만, 나중에는 그냥 기독교인으로 동화했다고...

이베리아 반도를 떠나 오스만 투르크에 정착했던 세파르드 유대인 수도 적지 않았다. 오스만 제국의 유대인들은 주로 의사나 통역으로 활약했다. 유대인들이 오스만 제국에서 의사로 활약했던 이유가 걸작인데, 몽골의 침략 이후 이슬람 세계가 수구화되면서 무슬림이 이슬람 율법 대신에 의학을 공부하는 것은 신앙심이 부족한 것이다.라는 모함이 흔했기 때문이다.(...)[* 이븐시나지혜의 집등의 항목을 보다시피 그냥 개소리이다. ~~문제는 이딴 개소리가 그 당시에는 진지하게 받아들여졌다는 것.~~] 같은 맥락에서 무슬림이 여러가지 언어를 공부하는 것은 몰래 불신앙을 숨기고 있는 것이다.라는 모함이 흔했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통역일을 맡기가 쉬웠다.(...)[*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을 신앙심이 부족한 사람으로 의심하는 현상은 이븐 할둔의 역사 서설에서도 지적된 바이며, 아랍어 이외에 다른 언어를 배우는 것은 위선이라는 말은 이븐 타이미야가 실제로 했던 주장이다.]

오스만 투르크 제국 쇠퇴기에 소수 민족들(아르메니아인,쿠르드인,아시리아인,베두윈)을 상대로 인종 청소가 벌어지던 순간에도, 유대인들은 통역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았기에 무사할 수 있었다. 오히려 오스만 제국의 봉신국이었던 바르바리 토후국에 정착했던 유대인들은 프랑스가 알제리를 침략하자 바르바리 토후국에서 별다른 탄압을 받지 않았음에도 프랑스의 식민지배에 적극 부역하였고, 이들 중 상당수가 프랑스로 건너가 프랑스의 세파르드 유대인의 기원을 이루었다. 한 때 오스만 투르크의 영토였던 그리스,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등에 거주하던 세파르드 유대인들은 2차대전 와중에 홀로코스트에 휘말리기도 했다. 유대인 인종청소에 협조하는 현지인들이 적었던 덕분에[* 중부유럽과 동유럽에서는 도시에 빈민으로 유입된 농민과 중소지주층을 중심으로 민족주의와 결합한 반유대주의가 횡행했었다. 하지만 세파르드 유대인들이 거주했던 남동 유럽 국가들은 도시화율이 낮았기 때문에 반유대주의가 약했던 것] 이곳 유대인 공동체들은 전멸당하지 않고 살아남았다.

현재 프랑스 유대인의 상당수, 터키 (출신) 유대인의 대다수는 세파르딤에 속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건국 이후 오스만 투르크 제국 내에 있던 유대인 대부분은 이스라엘로 이주하였고, 프랑스령 알제리에 살던 유대인들은 알제리 전쟁때까지 프랑스령 알제리 영토에 남아있다가 1962년 알제리 독립 후 거의 다 프랑스로 피난가서 재정착하였다.

현황

세파르드 유대인들은 이스라엘 말고도 프랑스에 30~40만명, 미국에 20~30만명, 브라질에 4만명, 터키에는 2만 6천명이 남아있으며, 유명 관광지인 그리스 로도스 섬 구시가지에는 오늘날에도 오스만 투르크 지배 시절 이주하고 유대인 구역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홀로코스트가 벌어지던 와중에도[* 당시 로도스 섬은 추축국 중의 하나였던 이탈리아의 영토였다.] 무사히 살아남았던 현지 유대인들의 후손들이 지금도 거주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과거에 세파르드 유대인의 후손이었다는게 증명된다면 스페인에 이민와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코르도바세비야를 중심으로 다시금 세파르드 유대인들이 조금씩 이민와서 유대인 관광객들을 위한 박물관과 편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스페인에 거주하는 세파르드 유대인 인구는 4만명 안팎이지만, DNA 연구 조사 결과 스페인 인구의 20%는 기독교로 개종한 세파르드 유대인 조상을 두고 있다고.[* [[1]]][* 같은 조사에서 스페인 인구의 11%는 기독교로 개종한 아랍인 혹은 베르베르인 조상을 두고 있는 걸로 나와있다. 물론 근세 스페인에서 종교재판이 하도 엄격하게 벌어진 나머지 개종자들이 자신들의 족보를 대대적으로 손보았기 때문에, 오늘날의 스페인인들은 자신들의 가문이 유대계였던 무슬림계였던 신경쓰지 않는 듯하다. 물론 수백년전 일이기도 하고]

이스라엘로 이주한 세파르드 유대인들은 주로 오스만 투르크 영토에 살던 유대인들의 후손으로써, 엄연히 따지면 미즈라힘과 기원이 같지만 아쉬케나짐을 우대하고 아랍계 유대인들을 차별하는 이스라엘 사회 특성상 미즈라힘들과 같이 안 엮이려 든다.[* 이를테면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사람이 자신을 "북"아프리카 사람이라고 강조하는 것과 비슷하다.]

출신 인물

* 솔로몬 이븐 가비롤 - 카발라의 창시자로 추정되는 중세 스페인의 세파르딤. 
* 엘리아스 카네티 - 불가리아 출신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이탈리아 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에바 그린 - 어머니가 알제리 세파르딤
* 니콜라 사르코지 - 외할아버지가 그리스 세파르딤이었으나 결혼을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 다비드 게타 - 아버지가 모로코 세파르딤이탈리아인의 혼혈.
* 조이스 조나탕 - 어머니가 튀니지 세파르딤 
* 아미르 하다드 - 프랑스 태생의 이스라엘 가수.

분류:유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