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발음"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Redirected page to 국제 음성 기호)
 
Tags: Mobile web edit Mobile edit
 
(One intermediate revision by one other user not shown)
Line 1: Line 1:
#redirect [[국제 음성 기호]]
__toc__
== 발음과 음성 ==
[[발음]]을 [[영어]]로 [[pronunciation]]이라고 하는데, [[음성]]인 [[voice]]와는 구별된다. 모든 언어에서도 마찬가지겠지만, 발음에 따라 의미가 확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을 하는 건 어느 나라에서나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bitch, beach. 발음은 매우 비슷하지만 전자는 욕이고 후자는 해변이다. 남성 [[생식 기관|성기]]를 의미하는 [[음경|penis]]는 영어로 페니스라 읽기 쉽지만, 피너스라고 읽는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penis는 페니스로 발음한다.]
 
 
또한, 영어 단어라도 다른 유럽나라에서 같은 영어 단어를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발음을 학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ermanic는 [[영어]]로 '절마닉'이라고 하지만 [[독일어]]론 '게르마닉'이라고 발음하고, 우리에겐 게르만족이 익숙한 것처럼, 발음은 정확한 뜻 전달과 구별을 위해 필수로 공부해야 하는 분야이다.
 
== 억양 ==
그러나 [[억양]]과는 구분지을 필요가 있다. 영어를 예로 들자면 가장 보편화된 미국식 억양과 본고장인 영국식 억양이 정석이라며 이를 정확히 구사하는 게 곧 실력이라는 시각이 한국에선 매우 당연시되는데, 실제로는 화자의 출신 지역에 따른 억양을 존중해주어야 하는 것이 맞다. 물론 발음은 상대방이 알아듣도록 최대한 정확하게 발음해야 하지만, 대화 자체가 문제 없이 진행된다면 크게 신경 쓸 부분은 아니다.[* 애초에 외국어 실력을 판가름할 수 있는 기준은 어휘와 문법이다. 제 아무리 발음을 원어민처럼 유창하게 해도 어휘와 문법의 수준이 낮다면 (학문적인) 영어를 잘 한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억양이 원어민과는 다르더라도 수준 높은 어휘와 문법을 구사한다면 당연히 영어 실력자로서 인정받는다. 대표적인 인물이 [[반기문]] 前 [[유엔]] 사무총장.] 그리고 상대방의 억양을 무시하고 조롱하는 행위는 [[인종차별]]로 비화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youtube(mG7GBGcABYQ)]
 
[youtube(-mVDrL61xtM)]
 
 
[[국제 음성 기호]] ([[IPA]])
 
 
[[Category:언어학]]
[[Category:음성학]]
[[Category:언어]]
[[Category:학문]]

Latest revision as of 16:24, 10 July 2021

발음과 음성

발음영어pronunciation이라고 하는데, 음성voice와는 구별된다. 모든 언어에서도 마찬가지겠지만, 발음에 따라 의미가 확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을 하는 건 어느 나라에서나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bitch, beach. 발음은 매우 비슷하지만 전자는 욕이고 후자는 해변이다. 남성 성기를 의미하는 penis는 영어로 페니스라 읽기 쉽지만, 피너스라고 읽는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penis는 페니스로 발음한다.]


또한, 영어 단어라도 다른 유럽나라에서 같은 영어 단어를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발음을 학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ermanic는 영어로 '절마닉'이라고 하지만 독일어론 '게르마닉'이라고 발음하고, 우리에겐 게르만족이 익숙한 것처럼, 발음은 정확한 뜻 전달과 구별을 위해 필수로 공부해야 하는 분야이다.

억양

그러나 억양과는 구분지을 필요가 있다. 영어를 예로 들자면 가장 보편화된 미국식 억양과 본고장인 영국식 억양이 정석이라며 이를 정확히 구사하는 게 곧 실력이라는 시각이 한국에선 매우 당연시되는데, 실제로는 화자의 출신 지역에 따른 억양을 존중해주어야 하는 것이 맞다. 물론 발음은 상대방이 알아듣도록 최대한 정확하게 발음해야 하지만, 대화 자체가 문제 없이 진행된다면 크게 신경 쓸 부분은 아니다.[* 애초에 외국어 실력을 판가름할 수 있는 기준은 어휘와 문법이다. 제 아무리 발음을 원어민처럼 유창하게 해도 어휘와 문법의 수준이 낮다면 (학문적인) 영어를 잘 한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억양이 원어민과는 다르더라도 수준 높은 어휘와 문법을 구사한다면 당연히 영어 실력자로서 인정받는다. 대표적인 인물이 반기문유엔 사무총장.] 그리고 상대방의 억양을 무시하고 조롱하는 행위는 인종차별로 비화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youtube(mG7GBGcABYQ)]

[youtube(-mVDrL61xtM)]


국제 음성 기호 (I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