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 기사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상위 문서: 자격증

Engineer Chemical Industry [목차] ||<tablealign="center"><:> 화공기사 || → || 화공기술사 ||

개요

화학관련기사중 난도 최상위 기사자격증

화학공학과 출신 대졸자가 딸 수 있는 자격증.

때로는 필기 합격률이 3%까지 떨어지기에 독학으로 따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사실 필기는 문제은행 형식이기에 기출반복으로 합격이 가능하다는건 유명한 사실이다.) 어렵다 보니 일부 대학에서는 화공과 대학생들 상당수가 화학분석기사,대기환경기사 등을 화공기사 대신 취득하고 졸업한다. (화공기사 없이 졸업하는 학생은 많으나 밑에 항목에 나열된 것처럼 취업에 특별히 우대가 없기 때문에 취득할 이유가 없어서 안따는 경우가 대다수다.) 특별히 어려운 해가 아니라면 대개의 경우 32~40% 정도의 필기 합격률과 45~50% 정도의 실기 합격률을 보인다.

간혹 새로운 문제들로 채워서 어렵게 출제되는데 2016년 1회차 시험의 실기시험 필답형의 난이도가 살인적으로 나와서 합격률 3%라는 기염을 토했다. 2016년 5월 27일 기준(최종합격 발표일) 응시자 845명 중 합격자 32명으로 합격률이 3.79%, 합격자 점수 평균 62.62가 나왔다. 하지만 이후 2회차 시험에서 정말 말도 안되게 낮은 난이도로 시험이 출제됐다. 살인적인 합격률을 보완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1, 2, 4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필기

필기 과목은 화공열역학, 단위조작 및 화공양론, 공정제어, 공업화학, 반응공학 총 5과목이다. 실질적으로는 공업화학 (유기공업화학+무기공업화학), 단위조작 및 화공양론을 감안하면 7과목인 셈. 각 문제는 20문제씩으로 여타 자격과 동일하게 과목당 40점 이상에 평균 60점을 넘어야 합격이 가능하다.

대개의 과목은 화학공학과 커리큘럼에서 3~6학점 정도로 다룬다.

단위조작은 필기에서는 비중이 적다. 약 6~9학점 분량인데 비해 10문제 정도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기 필답형 40점이 거의 단위조작에서만 나오므로 공부를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공정제어는 화공기사에서 과락 제조기에 속한다. 그러나 나오는 기출 범위는 좁으므로 점수를 올릴 수 있다.

공업화학도 과락이 많이 나온다. 분량이 많아서 암기를 많이 해야 한다.

전공자의 경우 이미 개념 공부가 잘 되어있다면 7개년 20회분쯤 기출을 풀어보고 요약집을 만들어 외우는 정도로 공부가 마무리된다. 150시간 정도는 공부시간을 잡아야 한다.

실기

작업형 시험의 특성상 실기 접수 경쟁이 첫 날 오전 9시부터 치열하다. 작업형 시험은 소수의 인원에 한정된 지역에서만 치뤄져 다른 기사에 비해 적은 응시인원에도 불구하고 매 회차 마다 피해자가 발생한다. 가령 서울 거주자가 광주에 가서 시험을 본다거나, 부산 사람이 경기도 고사장에 가서 시험을 보는 등이다. 하지만 첫 날 접수에 실패한다고 해도 1시간 뒤에 고사장을 더 열거나 그 다음 날 오전에 확충하는 등 추가로 고사장을 여는 곳이 있으니 수시로 확인하는 게 좋다.

필답형 문제는 주로 단위조작이며 열전달, 유체역학, 물질전달에 대해 공부하면 된다.

작업형

학교 실험실을 빌리거나 학원을 통해서 한 번 해보면 무난하다. 비중병 히팅멘틀, 둥근플라스크, 가지관, 리비히 냉각기, 삼각플라스크로 구성된 실험장비를 이용해 단증류를 진행하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 절차는 아래와 같다.

※ 저울 측정은 딱 1번씩만 가능하고, 밀도는 소수 다섯째 자리에서 반올림, 나머지 값들은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 시험 과정 중 실험기구를 깨뜨리면 5점이 감점되고 변상을 해야 한다. --멘탈도 같이 깨져서 시험에 악영향을 미친다-- 조심할 것.

1. 비중병의 질량(A)을 측정한다. 2. 비중병에 증류수를 담고, 무게(B)를 측정한다. 3. 밀도표를 이용해 비중병의 부피((B-A)/밀도 = C)를 계산한다. 4. 지급받은 시약을 비중병에 담고, 무게(D)를 측정한다. 5. 시약의 밀도를 계산하고((D-A)/C) 밀도표를 이용하여 내삽을 통해 시약의 조성을 구한다. 6. 시약밀도를 바탕으로 용액을 제조한다. 7. 둥근 플라스크(끓임쪽을 넣고 측정 :E)와 삼각플라스크의 질량(F)을 측정한다. 8. 용액 일부를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질량(G)을 측정한 뒤(수용액 질량), 장치를 설치한 후 증류를 실시한다. 이 때 장비의 모든 틈새에 테프론테이프와 파라필름을 붙여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라필름이 고온에서 잘 녹는 것에 유의할 것 9. 85도를 넘지 않는 온도[* 이보다 온도가 높을 경우, 물이 같이 증류되어 망한다.]를 유지하면서 증류를 실시하고, 비중병에 2회 이상 들어갈 유출액이 나오면 증류를 중지한다. 10. 증류를 멈춘 후, 장치를 분리한 뒤, 둥근 플라스크와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한다.(25도까지 낮춰서 측정해야 한다.) 11. 둥근 플라스크의 조성과 삼각 플라스크의 조성을 비중병을 이용해 측정한다. 12. 답안지의 표를 모두 채우고, Rayleigh 식(문제지에 주어진다)을 통해 수용액 조성, 수용액 양(G-E), 잔류액 조성 등을 이용해 이론 잔류액 양을 계산한 후 이론조성값을 구하면 끝.

오차가 5% 이내로 나야 감점이 없으며, I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조작이 필요하다. 눈금의 높이를 사람마다 다르게 읽는 것을 이용한 것.

파라필름, 가위는 공용으로 쓸 수 있게 제공해 주지만 매우 불편하므로 개인용을 갖고가는 게 낫다.

유용성

화학공장을 다루는 업종(석화,정유,정밀화학,도료,화약,중간체 등)에서는 약간 우대하기는 한다. 한화케미칼 채용상담시 100점 만점에 1점 정도의 가산점이라고 한다.

사기업 취업시 활용도는 가스기사, 위험물산업기사 등이 더 높다.

다만 공공기관 화공직, 7~9급 화공직공무원 응시자한텐 화공기사는 사실상 필수 자격증이다. 같은 계열인 환경직공무원 에게도 가산점이 있다. 거기다 화공,안전,환경의 기사문제들은 전공시험에서 보니 두루두루 알아놔야 한다.

기타

화공기사 관련 문제집에 오타나 잘못된 설명이 많기에 책만 믿으면 안 된다. 관련 카페에 가입해서 틀린 정보를 수정하면서 학습해야 한다.

유사 자격증 및 상위 자격증

상위 자격증으로는 화공기술사가 있고, 안전관리 분야의 화공안전기술사도 있다. 둘 다 연간 한 자릿수 합격자를 배출한다. 예전엔 하위 자격증으로 '화공산업기사'가 있었지만, 응시자 저조로 2012년 폐지됐다. 유사 자격증으로는 화학분석기사가 있다. 이쪽은 분석화학 위주라 화학공학과보단 화학과 출신이 취득하기 유리하다. 또한 '생물공학기사'라는 자격이 존재한다.

분류:기사 분류:화학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