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산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목차]

적국의 재산

敵産.

한국에서 적산이라고 하면 해방일본인들이 남기고 떠난 재산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적산가옥.

1945년 8.15 해방 뒤에 일본인 사업가나 관리자들이 자기네 나라로 철수하자 노동자나 지역 인민위원회가 공장과 사업체를 관리하였으나[자주관리운동)][* [[1]]과 [[2]]도 참고해 볼 것.], 그해 12월 6일에 미군정은 군정법령 33호를 공포해 일본인 재산을 귀속시킨 뒤 노동자 관리위원회를 와해시키고 자본가들을 관리인으로 임명해 관리토록 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전쟁을 거쳐 이승만 정권은 귀속재산처리법을 제정해서 대부분의 적산을 사기업에 불하하였는데, 이 과정이 상당히 불투명했고 특히 대부분의 토지와 공장이 헐값에 넘어갔다. 대한민국 재벌 중에 적산불하로 한몫 잡아서 성장한 곳들이 다수이다.

일본인들은 별수없이 돌아갔던 것일 뿐이지 소유권 자체를 포기하려고 했던 건 아니었기 때문에 일본의 상황이 어느정도 안정되고, 한일수교 얘기가 나오게 되었을때 말 그대로 기를 쓰고 찾으려고 했다. 한일수교 이전에는 일본 정부에서 종종 "한국 정부가 몰수한 일본인 자산에 대한 청구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말도 나왔었다. 그러나 한일기본조약을 맺으면서 일본 정부가 일본인들이 한반도에 남긴 이른바 '적산'에 대한 청구권을 포기하면서 이 문제는 끝났다.

예시

이 중 지금도 건재한 것들을 꼽아보자면 다음과 같다.

* SK그룹최종건 창업주가 __선경직물[* 만주단과 토직물의 합작사.]을 불하받아__ 형성한 기업집단이다. ~~여긴 뭐 불하 전문 재벌이니까...~~
* 한화그룹은 현암 김종희 창업주가 자신의 직장인 조선화약공판 인천공장을 불하받아 형성한 기업집단이다.
* CJ대한통운의 전신인 대한통운은 조선미곡창고(조선미창)이 정부에 불하되었다가 1968년 동아그룹에 인수되어 민영화된 것이다.
* 신세계그룹의 뿌리인 미쓰코시백화점 경성점은 해방 뒤 정부에 불하되었다. 1954년부터 정부에 불하되었다가 3년 뒤 조선방직, 1962년부터 동방생명을 거쳐 이듬해 삼성으로 넘어갔다.
* 한국타이어의 전신인 조선다이야는 일제 시기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만들었다.
* 한진중공업의 뿌리는 1937년에 일본인이 세운 조선중공업이었다.
* 넥센타이어의 뿌리는 1942년에 일본인이 세운 흥아고무공업이었다.

* 현 현대제철 인천제철소는 일제 시기 세워진 조선이연금속이 해방 뒤 가동 중단 상태로 1953년에 정부에 불하되어 재가동시켰으며, 1968년 민영화 뒤 1978년에 현대그룹으로 넘어갔다.
* 두산인프라코어의 전신인 조선기계공작소는 해방 뒤 정부에 불하되었다가 1968년 신진그룹으로 인수되어 민영화되었으나, 1976년 대우그룹으로 넘어갔다가 1999년 대우그룹 해체 이후 2005년에 두산그룹으로 넘어갔다.
* 대구텍의 전신인 대한중석은 해방 뒤 정부에 불하되어 한동안 공기업이었다가 1994년 거평그룹에 인수되어 민영화되었으나, 1998년 거평 부도 이후 1999년 이스라엘 IMC그룹이 먹었다가 2006년부터 워렌 버핏이 인수하였다.
* 조선저축은행식산은행 지점 몇 군데를 붙여 삼호방직에 불하되었다.
* 해태제과식품은 해방 뒤 박병규 등 4명이 나카오카제과 용산공장을 인수해 새로 창립한 기업이다.
* 오리온그룹의 주축인 오리온(주)는 해방 이후 정부에 불하된 풍국제과를 동양제당이 인수해 재창립한 기업이다. 
* 삼표시멘트의 전신인 동양시멘트도 동양제과가 오노다시멘트[* 이 회사는 1998년 닛폰시멘트와 합쳐서 다이헤이요시멘트가 되었다.] 삼척공장을 불하받아 재탄생한 기업이다.
* 샘표식품은 박규회 창업주가 일본인 소유였던 미쓰야장유 양조장을 불하받아 창업하였다.
* 간장 메이커 몽고식품은 김홍구 창업주가 일본인 소유였던 야마다장유를 불하받아 창업하였다.
*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신 중 하나가 1941년에 세워진 조선주택영단이었다. 이 회사는 1962년부터 대한주택공사가 되었다.
* 세아베스틸의 전신인 대한중기공업은 김연규 전 회장이 자신의 직장인 관동기계제작소를 불하받은 기업이다.
* 쌍용그룹 역시 성곡 김성곤 창업주가 삼공유지를 불하받아 형성한 기업집단이다.
* 하이트진로의 전신 중 하나인 하이트맥주는 해방 뒤에 일본인이 경영한[* 정확히는 삿포로맥주 조선지부에 가까웠다.] 조선맥주를 민영익의 증손 민덕기가 불하받았다가 1967년에 현 사주의 선친인 박경규가 인수하였다.
* OB맥주는 두산그룹 2대 총수 연강 박두병이 해방 뒤 쇼와기린맥주를 불하받아 탈바꿈하였다.
* 대선주조는 해방 전에 일본인이 세웠다가 1945년 해방 뒤 민간에 불하되었다.
* 동일방직도 해방 뒤 서정익 창업주가 동양방직공사를 불하받아 재창립한 기업이다.
*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은 일제 때 세워진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였다.

견적의 다른 말

일반적으로 주어진 조건과 설계도서로부터 공사비를 산출하는 일을 적산 또는 견적이라고 한다. 공사를 하기 전에 대략적인 가격이 정해져야, 발주자는 발주를 낼 수 있고 수급자는 이에 응할 수 있다. 발주자, 수급자 모두 나름대로 적산을 해서 둘의 가격이 맞으면 계약이 이루어지게 된다.

발주자업무용 적산(기계설비)

공공기관의 기계직 담당자 A가 있다고 하자. 기계실 보일러가 고장나 교체해야 할 경우, 이는 대략 천만원이 넘는 공사이기 때문에 입찰을 내야 한다. '국가를 상대로 하는 계약' 규정에 의해 기준가격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급자들이 응찰하게 된다. 너무 높은 가격을 설정하면 기관에 손해가 될 수 있고, 너무 낮은 가격을 설정하면 아무도 응찰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A는 품셈과 물가정보지를 활용해서 실제 공사에 필요한 비용에 근접하게 적산을 하게 된다.

분류:동음이의어/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