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다(암호화폐)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암호화폐 프로젝트)] [Include(틀:암호화폐)]

||

<-3><:>{{{+1 {{{#black 카르다노 에이다}}}}}} || ||<-3><:>{{{+1 {{{#balck Cardano (ADA) }}}}}} || ||<-3><:> width=300[br]width=300 || || 운영사 ||<-2><(> IOHK / Cardano Foundation || || 도입일 ||<-2><(>2017년10월 1일[* 최초 블록생성은 9월 27일] || || 사용국 ||<-2><(> 전 세계 || || 분류 ||<(> 암호화폐 || || 기호 ||<(> ADA || || 소수점 ||<(> Lovelace || || 유통량 ||<(> 25,927,070,538 ADA[* 259억 ADA] || || 발행량 ||<(> 45,000,000,000 ADA[* 450억 ADA, 사용자 채굴 불가] || || 와이즈 레이팅스 ||<(> B- || ||<-2><:> [허브(공식 홈페이지)][br][재단 트위터] || [목차] [include(틀:-)]

개요

IOHK에서 개발한 카르다노(Cardano)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 최초 발행일은 2017년 10월 1일이다. 총 발행량은 450억 개이며 260억 개가 유통되고 있다. 대표자는 전 이더리움 CEO였던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다.

카르다노는 모바일에서 최적화된 암호화 플랫폼. 모든 인류가 평등한 세상을 꿈꾸고 있다. 개발도상국 등에 존재하는 3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신분증 없이도 재화나 자산 관련된 혜택을 누리게 하는 게 목표.

소개

카르다노는 기본적으로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이다.

카르다노는 2015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이며 이더리움에서 영감을 얻은 카르다노 팀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을 만들기로 한다. 여러 학술조사와 암호화 연구를 통해 암호화폐 개발 언어로 적합한 하스켈언어를 선택하였으며 맨땅에 헤딩 마인드로 처음부터 설계하였다. 하스켈은 함수형 언어이며 카르다노 백서에 제시된 수학적 표현을 완벽하게 설명하고 입증한다. 정적 코드 분석이 가능한 강력한 입력 기능이 가능하다.

카르다노는 회계(Accounting)와 컴퓨팅(computing)을 분리하고 있다. 이것은 카르다노 셰틀먼트 레이어(Cardano Settlement Layer, CSL, Cardano-SL)와 카르다노 컴퓨팅 레이어(Cardano Computing Layer, CCL, Cardano-CL)로 나뉜다.

CSL은 카르다노의 회계를 구현한다. 즉, CSL은 누가 동전을 소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의부터 시작한다.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하는 비트코인과는 달리 CSL은 도메인 특화 언어(Domain-specific)를 사용한다. 자금 결제 작업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것으로 이 언어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트랜잭션을 수행하면서 여전히 쉽게 액세스가 가능하다.

CCL은 카르다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나타낸다. 이것은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며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완전한 기능을 갖춘 분산적인 컴퓨터로 CCL은 여전히 직행중인 작업이며 카르다노 팀은 보안 및 명확함(Clarity)면에서 레이어를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개발자를 위한 플랜으로 솔리디티(Solidity)와 플루터스(Plutus) 카르다노 관련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두 지원한다.

카르다노는 우로보로스(Ouroboros)라는 PoS 증명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우로보로스는 피어 리뷰를 통해 검토된 프토로콜이며 이것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PoS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우로보로스는 CSL과 CCL의 트랜잭션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카르다노는 또한 온 체인(On-Chain) 거버넌스를 구현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주요 개선 사항과 포크에 대해 투표할 권한을 갖는다. 많은 암호화폐들은 이 다음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명확하지 않는 상황을 갖고 있는 상태로 사람들의 외침에 따라 이끌려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세그윗(SegWit)을 채택할지에 대한 여부에 투표를 했고, DAO해킹 후 이더리움 팀은 해커의 돈을 동결시켜야하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해 투표를 조직했다. 카르다노도 그러한 투표들을 실시하는 간단하고 편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가 적극적인 토론에 참여하고 공정한 투표로 프로젝트의 미래를 정하게 된다.

카르다노 개발에는 카르다노 재단(Cardano Foundation)과 IOHK(InputOutputHongKong) 및 Emurgo 세 가지 조직이 존재한다. 카르다노 재단은 프로젝트 비전을 수립하고 기술을 홍보하며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IOHK는 카르다노의 연구 및 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Emurgo는 카르다노 블록체인 기술을 업무용 비즈니스에 통합하고 관련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를 받는다. 분권화로 인해 3개 기관으로 나눠졌지만 필요 시에는 서로가 협조하고 협력하는 상호 운용관계를 가지고 있다.

3세대

카르다노는 3세대 블록체인을 정의하면서 3세대 블록체인의 3가지 정의를 내렸는데 확장성(Scalability),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이다.

확장성

상호 운용성

지속 가능성

기타

* 플랫폼 명칭은 지롤라모 카르다노, 화폐명은 에이다 러브레이스 백작부인에서 따왔다. 로드맵에 byron도 있는 것을 보면 확인사살.
* 로마자 철자가 철자이니 만큼 아다와 동일한 발음으로 읽히기도 한다. 실제로 주요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에이다나 카르다노라는 단어보다 아다로 더 많이 언급된다.

* 2017년 암호화 화폐 버블을 주도했던 소위 아슨스리[* ADA,SNT,스텔라루멘,리플] 의 대장격으로 그야말로 미친듯이 상승하였다.하지만 버블이 끝나고 무려 1/20토막이 나기도 하는등 수많은 사람들에게 부와 몰락을 동시에 안겨준 코인이기도 하다.
  • 김치코인이라고 불릴 정도로 한국사람들이 유난히 좋아했던 코인이였으나, 개발자인 찰스 호킨스 (Charles Hoskinson) 지속적인 먹방사진 등으로 신뢰성을 잃었다.
  • 아직까지 3세대라고 불릴만한 코인은 없다는 전문가의견이 있다. 오직 1세대 비트코인, 2세대 이더리움을 비롯해 기타 암호화폐..

3세대는 현재 입증이 되어있지 않고 단순히 개발자들이 자신의 코인이 뛰어나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관련 사이트

[허브] : 카르다노 공식 홈페이지 [[1]] : 카르다노 로드맵 [우리는 카르다노를 만드는가?] : 카르다노 공식 한글 설명서 [[2]] : 카르다노 실시간 차트와 순위 확인 [정보방] : 텔레그램 정보방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이다, version=97)] 분류:암호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