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리눅스 마스터"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2)
(12)
 
Line 25: Line 25:


1급 2차는 문제 해결 능력 실기 평가이며, "사용자 관리, 파일시스템 관리, 장치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관리, 시트템보안 등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능력평가"와 "웹, 파일, 메일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 보안 등에 관한 실무 능력평가"를 본다. 단답, 서술식 필기가 40%이며, 관리 및 설정의 실기가 60%이다. 필기는 10문항, 실기는 5-7문항이며 두 과목을 합쳐 100분 동안 본다. 과락은 없고,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은 [[아시아눅스]]가 깔린 컴퓨터로 본다. 실기 시험을 [[레드 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기반인 아시아눅스로 봐서, [[우분투]], [[리눅스 민트]], [[칼리 리눅스]] 등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만 써본 사람은 일부 [[명령어]]와 [[디렉터리]] 구조가 달라 좀 어색할 수도 있다.
1급 2차는 문제 해결 능력 실기 평가이며, "사용자 관리, 파일시스템 관리, 장치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관리, 시트템보안 등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능력평가"와 "웹, 파일, 메일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 보안 등에 관한 실무 능력평가"를 본다. 단답, 서술식 필기가 40%이며, 관리 및 설정의 실기가 60%이다. 필기는 10문항, 실기는 5-7문항이며 두 과목을 합쳐 100분 동안 본다. 과락은 없고,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은 [[아시아눅스]]가 깔린 컴퓨터로 본다. 실기 시험을 [[레드 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기반인 아시아눅스로 봐서, [[우분투]], [[리눅스 민트]], [[칼리 리눅스]] 등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만 써본 사람은 일부 [[명령어]]와 [[디렉터리]] 구조가 달라 좀 어색할 수도 있다.
2018년 2월 기준으로 리눅스 마스터 1급 2차는 [[쎈트OS]] ([[CentOS]]) 6.9 또는 [[페도라]] ([[Fedora]]) 13 버전으로 시험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