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암호화"

From Hidden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Line 9: Line 9:


사실 이건 정확하게 말하면 [[암호화]]([[encryption]])가 아니라, [[부호화]]([[encoding]])이다. A라는 [[부호]]([[code]]) 체계를, B라는 부호 체계로 단순히 바꾼 것이기 때문이다. 암호화를 하면, 다른 사람은 이 [[암호]]([[cryptogram]])를 [[해독]]([[decryption]], [[복호화]])할 수 없지만, 부호화는 그 부호 체계만 알면 쉽게 다시 재변환이 가능하다. 암호화와 부호화의 목적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사실 이건 정확하게 말하면 [[암호화]]([[encryption]])가 아니라, [[부호화]]([[encoding]])이다. A라는 [[부호]]([[code]]) 체계를, B라는 부호 체계로 단순히 바꾼 것이기 때문이다. 암호화를 하면, 다른 사람은 이 [[암호]]([[cryptogram]])를 [[해독]]([[decryption]], [[복호화]])할 수 없지만, 부호화는 그 부호 체계만 알면 쉽게 다시 재변환이 가능하다. 암호화와 부호화의 목적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 같이 보기 ==
* [[로키넽]] ([[로키]], [[Lokinet]], [[LOKI]], [[Loki]])
* [[웰컴 투 비디오]] ([[Welcome to video]])


[[Category:암호화]]
[[Category:암호화]]

Revision as of 12:08, 24 November 2019

Base64 등으로 이미지부호화(encoding)하면 이미지 파일을 텍스트 파일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다시 이미지로 변환도 가능하다.

텍스트 파일이므로 외부 이미지를 불러오는 게 아니라, 그냥 HTML 파일에 포함시켜서 웹 페이지에 직접 이미지를 띄울 수도 있다.

물론 텍스트 분량이 장난 아니게 길다.

구글 등에서 base64 image encode 등으로 검색하면 이미지 파일을 Base64 형태의 텍스트 파일로 변환해주는 웹싸이트나 프로그램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실 이건 정확하게 말하면 암호화(encryption)가 아니라, 부호화(encoding)이다. A라는 부호(code) 체계를, B라는 부호 체계로 단순히 바꾼 것이기 때문이다. 암호화를 하면, 다른 사람은 이 암호(cryptogram)를 해독(decryption, 복호화)할 수 없지만, 부호화는 그 부호 체계만 알면 쉽게 다시 재변환이 가능하다. 암호화와 부호화의 목적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