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트로이 목마"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6,617 bytes added ,  07:57, 11 May 2020
no edit summary
(Created page with "{{컴퓨터 해킹}} '''트로이 목마'''(Trojan horse)는 악성 루틴이 숨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겉보기에는 정상적인 프...")
 
 
Line 9: Line 9:
}}</ref> 이것들은 쉽게 발견되기 힘들지만, 무거워진 CPU와 네트워크 사용으로 느려지는 현상은 나타날 수 있다.
}}</ref> 이것들은 쉽게 발견되기 힘들지만, 무거워진 CPU와 네트워크 사용으로 느려지는 현상은 나타날 수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과는 달리, 트로이 목마는 보통 다른 파일에 삽입되거나 스스로 전파되지 않는다.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과는 달리, 트로이 목마는 보통 다른 파일에 삽입되거나 스스로 전파되지 않는다.
 
 
 
== 개요 ==
{{{+1 Trojan horse}}}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의 한 종류. 이름의 유래는 [[트로이 전쟁]]의 트로이 목마이며, [[트로이의 목마]]가 뭔지 아는 사람들이라면 바로 느낌이 올 것이라 본다. 악성코드 유형별 비율에서 트로이 목마가 차지하는 비율은 35%가 넘으며, 이는 그래프에서 보이지도 않는 [[컴퓨터 바이러스|바이러스]]나 [[웜(악성코드)|웜]]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이다.[[http://xdn-altools.cdn.x-cdn.com/altools/ALYac/etc/alyac_report_1507.pdf|#]]
 
== 역사 ==
최초의 트로이목마는 1951년 UNIVAC이라는 영업용으로 출시된 최초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ANIMAL이라는 게임으로, 트로이목마 악성코드의 목적처럼 특정 악위적인 행동이나 피해를 주는 작동을 하진 않지만, 게임 자체가 트로이목마 형태의 구동방식으로 최초의 트로이목마로 정의되고 있다.
 
== 행동적 특징 ==
||<table bgcolor=white><table bordercolor=gray>[[파일:uVGP0uW.jpg]]||
||<)>,,출처 : 동아일보,,||
말 그대로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시작부터 끝까지 램에 상주하며, 시스템 내부 정보를 공격자의 컴퓨터로 빼돌리는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바이러스와 달리 직접 전파 능력이 없으며, 웹하드, P2P, 메일 등의 간접적 전파 경로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사용자는 트로이 목마가 숨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결국 감염되게 된다. 어떤 의미로는 [[좀비 PC]]와 유사한데, 좀비PC처럼 내부정보 유출 뿐만 아니라 컨트롤까지 가능한 종류가 있고, 단순히 내부 데이터만 유출할 수 있는 타입의 트로이 목마가 있다.
 
위에서 말하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을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원래 있던 정상적인 프로그램에 기생하는것이 아닌 '''설치하는 순간부터 이미 프로그램에 포함돼있다는 것이다.''' 즉 개발자가 친절하게도(?) 개발 단계부터 트로이 목마를 무료로 포함시켜 주는 거다. 출처가 불분명한 [[프리웨어]] 프로그램을 주의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트로이 목마의 거의 99.9%는 불법 파일이나 프로그램등을 [[다운로드]]할때 전파되는 경우이다.''' 누군가가 온라인에 파일을 공유하면 해커가 그 파일에 몰래 트로이 목마를 심어놓고 그 파일을 누군가가 다운받으면 트로이 목마가 파일인것 마냥 위장해서 들어가는 방식이다. 예전에는 메일로 위장해서 들어오는 경우도 있었으나 요즘은 메일로 들어오는 경우는 거의 없고 거의 저런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봐야 된다.
 
즉 이런 것만 줄여도 트로이 목마를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은 워낙에나 보안 프로그램들이 발달해서 트로이 목마가 만에 하나 들어올려 해도 이걸 감지하고 고맙게도 삭제를 해주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당연히 보안 프로그램이 감지하지 못하는 트로이 목마는 분명 있을 것이고 언제까지 보안 프로그램만 믿을 순 없으니 우리가 알아서 예방하고 대처하는 자세가 제일 중요하다.
 
상용프로그램에도 들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99%가 [[불법 공유|불법복제]]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경우는 멀쩡한 정품 프로그램 데이터 안에 트로이 목마도 포함시켜 설치되게 하는 경우다. 아주 드문 경우지만 정품 상용 프로그램에 들어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이런 경우는 고객몰래 마케팅 조사용.
 
== 피해 ==
트로이 목마의 피해는 단순 개인정보 유출, 운영체제 파괴, 속도 느려짐, 시스템 파일 삭제, 부팅 오류 뿐만 아니라 '''[[컴퓨터]] [[하드웨어]] 자체를 먹통으로 만들어 아예 못 쓸 정도로 손상을 시키기도 한다.''' 포멧을 해도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성능이 악화되며 이런 경우에는 컴퓨터 수명 자체가 거의 요절이 난다. 그만큼 일단 컴퓨터에 들어오기만 하면 피해가 걷잡을수 없이 커지게 된다. [[컴퓨터 바이러스]] 같은 경우 대부분 포맷을 하면 컴퓨터 성능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트로이 목마는 일단 걸리면 컴퓨터 성능은 포기해야 된다.
 
일부 트로이 목마의 경우, 트로이 목마 본체를 삭제하면 본체 속에 프로그램 중요 작동소스를 집어넣어서 해당 프로그램을 먹통으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자기 집과 동반자살 하는 경우는 귀여운 편이고, 어떤 건 삭제할려고 시도할 경우 [[컴퓨터]]를 무한부팅 시켜 버리거나, [[커널]]을 파괴하여 동반자살을 하는 경우도 있고 [[시스템]] 자체를 다운시켜버리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컴퓨터 바이러스|바이러스]]와의 차이점 ==
[[컴퓨터 바이러스]]와 다른 점이 있다면, 다행히도 바이러스와 달리 살아있는거 마냥 다른기기를 전부 전염시키고, 자가복제를 하거나 다른 정상적인 파일에 자기 자신을 덮어 씌우거나 하지 않고, 해당하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 하나만 삭제--를 성공하기만--하면 더 이상의 피해는 없다.
 
== 기타 ==
가끔 퍼블리셔에서 지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DRM을 제거한, 소위 크랙이 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보안 프로그램에서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고 뜨는 경우가 있다. 치료하면 그 프로그램이 실행이 안 되고, 보안 프로그램을 꺼두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컴퓨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트로이 목마가 많이 퍼졌을 경우 일일이 백신 돌려서 지우기보다는 [[mzk]]를 쓰자.
 
부팅이 느려지거나 부팅시 이상한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등 시스템 파일이 감염된 것 같다면 제어판의 시스템 복원을 사용해 감염 전 날짜로 복원하자.
 
알약에서 트로이 목마를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알약에서 악성코드 발견으로 치료할 수 있다.
 


== 목적과 사용 ==
== 목적과 사용 ==
Line 90: Line 131:
# Silencer - 1001번 포트 사용. 제거 툴은 나와 있지 않음.
# Silencer - 1001번 포트 사용. 제거 툴은 나와 있지 않음.
# Striker - 2565번 포트 사용. 감염된 컴퓨터를 무조건 고물로 만들어 버림. 이는 시스템 드라이브 등 하드디스크를 모두 파괴하여 아예 부팅이 안 되게 하는 트로이이기 때문.
# Striker - 2565번 포트 사용. 감염된 컴퓨터를 무조건 고물로 만들어 버림. 이는 시스템 드라이브 등 하드디스크를 모두 파괴하여 아예 부팅이 안 되게 하는 트로이이기 때문.
== 관련 문서 ==
* '''[[컴퓨터 바이러스]]'''
* [[악성코드]]
* [[스파이웨어]]
* [[랜섬웨어]]
* [[웜(악성코드)|웜]]
* [[안티 바이러스]]


== 각주 ==
== 각주 ==
Line 95: Line 144: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dmoz|Computers/Security/Malicious_Software/Trojan_Horses|트로이 목마}}
* dmoz|Computers/Security/Malicious_Software/Trojan_Horses|트로이 목마


{{악성 소프트웨어}}
{{악성 소프트웨어}}
Line 105: Line 154:
[[분류:사회공학 (보안)]]
[[분류:사회공학 (보안)]]
[[분류:웹 취약점 공격]]
[[분류:웹 취약점 공격]]
[[분류:악성 코드]]
[[분류:악성코드]]
6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