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토어"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15,527 bytes added ,  21:59, 3 April 2020
no edit summary
 
(13 intermediate revisions by 3 users not shown)
Line 3: Line 3:


= 개요 =
= 개요 =
[[토어]]([[Tor]], [[톨]], [[The Onion Router]], [[양파 라우터]])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며 온라인 상에서의 익명을 보장하고 검열을 피할수 있게 해준다. 처음에는 [[미국 해군 연구국]]([[Office of Naval Research]] ([[ONR]]))의 산하 기관인 [[미국 해군 연구소]]([[Naval Research Laboratory]] ([[NRL]]))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나중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EFF 프로젝트]]에서 관리되고 있다. [[EFF]]는 2005년 11월까지 토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었고, 현재도 웹 호스팅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매년 토어의 개발 및 유지비의 80-90%를 미국 정부에서 지원한다.
[[토어]]([[Tor]], [[The Onion Router]], [[양파 라우터]])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며 온라인 상에서의 익명을 보장하고 검열을 피할수 있게 해준다. 처음에는 [[미국 해군 연구국]]([[Office of Naval Research]] ([[ONR]]))의 산하 기관인 [[미국 해군 연구소]]([[Naval Research Laboratory]] ([[NRL]]))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나중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EFF 프로젝트]]에서 관리되고 있다. [[EFF]]는 2005년 11월까지 토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었고, 현재도 웹 호스팅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매년 토어의 개발 및 유지비의 80-90%를 미국 정부에서 지원한다.


https://techcrunch.com/2015/11/24/tor-turns-to-crowdfunding-to-lessen-its-dependence-on-government-money  
https://techcrunch.com/2015/11/24/tor-turns-to-crowdfunding-to-lessen-its-dependence-on-government-money  
Line 12: Line 12:




토어는 트래픽 분석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양파 라우터를 거쳐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나가는 연결이 익명으로 처리되며, 숨겨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토어 브라우저 번들]]은 [[트래픽]] 분석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양파 라우터를 거쳐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나가는 연결이 [[익명]]으로 처리되며, 숨겨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록시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The Onion Router의 약칭이다. 네트워크의 우회와 익명화를 위해 사용하는 툴 중 하나이며, 비슷한 것으론 [[프리넷]]과 [[I2P]],[[울트라서프]]등이 있지만 세계적 대세는 Tor이다.
[[프록시]]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The Onion Router의 약칭이다. 네트워크의 우회와 [[익명화]]를 위해 사용하는 툴 중 하나이며, 비슷한 것으론 [[프리넽]]과 [[아이2피]], [[울트라서프]] 등이 있지만 세계적 대세는 Tor이다.




[[토어 브라우저]]([[Tor Browser]], [[톨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https://www.torproject.org/download/download-easy.html.en 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토어 브라우저]] ([[Tor Browser]]) 프로그램은 https://www.torproject.org/download/download-easy.html.en 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Line 34: Line 34:


[[다크넽]]에서 돈을 주고 받는 행위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의 신원을 숨기기 위해 [[빝코인]]이라는 온라인상의 [[암호화폐]]를 사용한다.
[[다크넽]]에서 돈을 주고 받는 행위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의 신원을 숨기기 위해 [[빝코인]]이라는 온라인상의 [[암호화폐]]를 사용한다.
= 익명 네트워크 '토어', 이렇게 쓰면 망한다 =
* 익명 네트워크 '토어', 이렇게 쓰면 망한다
2017/01/08
주의사항은 다음 9가지다. 휴대전화 2단계 인증. [[토르]]에서 쓰던 계정을 다른 브라우저에서 쓰기. 토르에서 개인정보 게재. 토르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 전송. 윈도에서 토르 사용. 인터넷 사용 흔적 남기기. 토르에서 구글 검색. 토르에서 HTTP 웹사이트 접속. 토르에서 접속한 특정 서버에 다른 브라우저로 동시 접속하기.
https://www.zdnet.co.kr/view/?no=20170108033245
* TOR Anonymity: Things Not To Do While Using TOR
May 23, 2018
9 Things you shouldn’t do while using Tor
1. Don’t use your mobile phone for 2-Step verification on Tor
2. Don’t operate user accounts outside TOR
3. Don’t post your personal information
4. Don’t send unencrypted data over TOR
5. Don’t use TOR with Windows
6. Don’t forget to delete cookies and local website data
7. Don’t use TOR for Google Search
8. Don’t use HTTP website on TOR
9. Don’t connect to the same server with and without TOR simultaneously
https://fossbytes.com/tor-anonymity-things-not-using-tor/
= 토어 브라우저 주의사항, 꿀팁, FAQ 정리 =
* 토어 브라우저 주의사항, 꿀팁, FAQ 정리
May 9, 2019
==플러그인, 확장기능을 설치해도 되는가?==
토르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모든 토르 사용자를 다 똑같아 보이게 만듦으로써 개개인의 익명성을 유지시켜 준다(Laperdrix et al., 2019). 확장기능을 설치하면 그게 일종의 핑거프린트로 작용해 익명성이 다소 낮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도의 익명성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확장기능을 설치하지 말고 기본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렇게까지 높은 익명성이 필요하지 않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웹서핑의 쾌적성을 위해 uBlock Origin (uBO) 같은 걸 설치해서 써도 상관없다. 다만 웹사이트가 이런 광고, 트래커 차단기에서 정확히 어떤 필터가 활성화돼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이걸 쓰더라도 되도록이면 기본 상태로만 쓰고 Korea 필터를 따로 활성화시키지는 않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많은 사람들이 쓰는 보안 OS인 테일즈Tails 리눅스에는 uBO가 설치된 토르 브라우저가 기본 탑재돼 있다.
==microSD카드에 테일즈를 설치==
만약 공격자가 집을 물리적으로 수색할 위험이 있다면 진짜 테일즈를 잘 숨겨 놓는 것도 관건이 된다. USB가 아닌 microSD카드에 테일즈를 설치해 놓으면 공격자가 쉽게 찾을 수 없는 기상천외한 곳에 숨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연한 말이지만 microSD 카드 자체를 구입할 때도 은밀하게 이동해서 현금으로 구입해야 한다. microSD카드는 다이소에서 2천원에 파는 어댑터를 이용해 컴퓨터의 USB 슬롯에 꽂을 수 있다.
==공유기의 문제==
공유기의 문제. 테일즈로 부팅된 컴퓨터는 원래 컴퓨터와 앞 3자리는 같고 뒤 3자리만 다른 맥주소와 빈칸()의 호스트네임을 가진다. 공유기 관리자는 맥주소와 호스트네임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통신사에서 무료 제공받은 공유기를 사용하거나 공유기 없이 통신사 모뎀에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면 본인이 테일즈를 정확히 언제 썼는지에 대한 정보가 통신사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참고로 KT의 인터넷 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에는 “서비스 이용시간/이용기록, 이용정지기록, 이용정지/해지 사유, 결제기록, 착/발신 전화번호, 개통정보, 위치정보(기지국 위치, GPS 정보), 접속 IP/MAC, 접속로그, 이용컨텐츠, 쿠키 등 서비스 이용정보, 기타 요금 과금에 필요한 데이터, 위의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해지 후 6개월 까지” 보유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이피타임 등 본인이 별도로 구입한 공유기를 이용해 통신사 모뎀, 통신사 공유기 등 통신사 장비와 개인 컴퓨터 사이를 가로막아야 한다. 예를 들어 원룸 벽에 나 있는 인터넷 구멍에 랜선을 꽂으면 인터넷이 되는 구조인 경우, 컴퓨터를 벽에 직접 꽂지 말고 일단 개인 소유 공유기를 벽에 연결한 뒤 컴퓨터는 그 공유기에 꽂아서 사용해야 한다.
==NoScript 플러그인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설정==
NoScript 플러그인을 이용한 자바스크립트 설정. 이건 웬만하면 안 하는 게 좋다. NoScript 설정값에 대해서는 토르 브라우저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first-party isolation (FPI)이 적용되지 않는다. FPI란 사이트별로 쿠키 등 오프라인 데이터 저장소를 분리함으로써, 가령 wired.com에 접속한 상태로 탭을 추가로 열어 nytimes.com에 들어가는 식으로 동시에 여러 사이트에 들어가더라도, 그 각 사이트에 달려 있는 구글 등 서드파티 트래커가 지금 wired.com에 들어온 사람과 nytimes.com에 들어온 사람이 동일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게 해 주는 기능을 말한다. 그러나 NoScript는 FPI를 존중하지 않기 때문에, wired.com에 들어가서 NoScript 설정에서 googletagmanager.com 스크립트를 차단해 놓고 그 상태로 nytimes.com에 들어간다면, 서드파티 트래커들은 아까 wired.com에 들어온 토르 유저의 NoScript 설정과 지금 nytimes.com에 들어온 토르 유저의 NoScript 설정이 동일하다는 사실을 토대로 둘이 동일인일 거라고 추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본인이 정확히 뭘 하고 있는 건지 확실히 알고서 하는 경우가 아닌 한, NoScript 설정을 직접 건드리는 것은 비추한다.
참고로 NoScript 설정을 Temp. Trusted로 해 놓으면 토르 브라우저의 New Identity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는 해당 설정이 초기화되지 않으며 계속해서 Temp. Trusted로 남아 있지만, 토르 브라우저를 완전히 껐다가 다시 켜면 해당 설정이 초기화된다.
https://gogilove.wordpress.com/2019/05/09/tor-faq/


= 토얼 vs. 토어 vs. 토 =
= 토얼 vs. 토어 vs. 토 =
== 일반적인 관점 ==
== 일반적인 관점 ==
Tor가 영어일 때나 /tɔɹ/라고 읽지, 다른 언어일 경우 다르게 읽는다는 주장도 있는데 여기서는 틀린 주장이다. 1990년대 중반에 [[미국 해군 연구소]] ([[United States Naval Research Laboratory]])에서 처음 [[개발]]하였고, 1997년에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으로 넘어갔으며, 2006년 12월부터는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더 토어 프로젴트]] ([[The Tor Project]])에서 맡고있는 Tor를 영어로 안 읽으면 어느 나라 언어로 읽어야 할까?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Tor]]가 [[영어]]일 때나 /tɔɹ/라고 읽지, 다른 [[언어]]일 경우 다르게 읽는다는 주장도 있는데, 틀린 주장이다. 1990년대 중반에 [[미국 해군 연구소]] ([[United States Naval Research Laboratory]])에서 처음 [[개발]]하였고, 1997년에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으로 넘어갔으며, 2006년 12월부터는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더 토어 프로젴트]] ([[The Tor Project]])에서 맡고있는 Tor를 영어로 안 읽으면 어느 나라 언어로 읽어야 할까?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사실 이 [[언어]]들도 다 [[된소리]]가 나는 현상이 있는데 [[남한]]의 [[국립국어원]]에서 [[외국어]]는 실제로 된소리로 [[발음]]되더라도 웬만하면 [[거센소리]]로 적도록 규정하여 거의 대부분 거센소리로만 적는다. [[Paris]]는 [[빠리]]로 발음되지만 [[파리]]로 적고, [[España]] ([[Spain]])는 [[에스빠냐]]로 발음되지만 [[에스파냐]]로 적는다. [[Italia]]도 [[이딸리아]]로 발음되지만 [[이탈리아]]로 적고, [[царь]]도 [[짜리]]나 [[짤이]]에 가깝게 발음되지만 [[차르]]로 적는다.
사실 이 [[언어]]들도 다 [[된소리]]가 나는 현상이 있는데 [[남한]]의 [[국립국어원]]에서 [[외국어]]는 실제로 된소리로 [[발음]]되더라도 웬만하면 [[거센소리]]로 적도록 규정하여 거의 대부분 거센소리로만 적는다. [[Paris]]는 [[빠리]]로 발음되지만 [[파리]]로 적고, [[España]] ([[Spain]])는 [[에스빠냐]]로 발음되지만 [[에스파냐]]로 적는다. [[Italia]]도 [[이딸리아]]로 발음되지만 [[이탈리아]]로 적고, [[царь]]도 [[짜리]]나 [[짤이]]에 가깝게 발음되지만 [[차르]]로 적는다. 이 된소리가 나는 [[외국어]]를 거센소리로 적는 [[남한]] 국립국어원의 규칙에는 사실 아무 이유도 없고, 그냥 지들이 그렇게 정해놔서 그런 거다. [[북조선]]의 [[외래어]] 표기에서는 [[러시아어]] [[трактор]]를 [[뜨락또르]]로 적는 등 된소리로도 잘만 적는 것을 보면, [[한국어]]에 있는 어떤 문제점 때문에 거센소리로 적는 것도 아니다.




Line 61: Line 134:




[[Door]][[언어학]]적으로 [[홑모음]] ([[단모음]], [[monophthong]])이냐, [[이중모음]] ([[diphthong]])이냐 하는 문제는 제껴두고, 들리는대로만 표기하면 [[미국식 영어]]로는 /도어r/, [[영국식 영어]]로는 /도/처럼 들린다.
[[Door]]의 [[모음]] ([[홀소리]])이 [[언어학]]적으로 [[홑모음]] ([[monophthong]], [[홑홀소리]], [[단모음]])이냐, [[이중모음]] ([[diphthong]])이냐 하는 문제는 제껴두고, 들리는대로만 표기하면 [[미국식 영어]]로는 /도어r/, [[영국식 영어]]로는 /도/처럼 들린다.


그럼 [[Tor]]도 /토어r/나 /토/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미국식 영어]]에서 [[종성]]의 r을 어떻게 표기하느냐가 남는데 [[토얼]]이나 [[토어]]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Tor]]도 /토어r/나 /토/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미국식 영어]]에서 [[종성]]의 r을 어떻게 표기하느냐가 남는데 [[토얼]]이나 [[토어]]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Line 100: Line 173:


New, knew, news, tube도 [[미국식 발음]]으로는 /누/, /누/, /눚/, /툽/이고, [[영국식 발음]]으로 /뉴/, /뉴/, /늊/, /튭/인데 그냥 영국식 발음으로 표기하는 사례가 많다. 그래도 요즘에는 [[미국]], [[캐나다]] 등 미국식 발음을 쓰는 국가에 [[어학 연수]]를 가는 사례가 많아서 [[YouTube]]을 [[유튜브]]라고 표기하지 않고 [[유툽]]이라고 표기하는 사람도 많이 보인다. 영국식 발음으로 표기하더라도 1음절인 tube을 2음절로 [[튜브]]로 표기하면 안 되고, 1음절인 [[튭]]으로 표기해야 한다.
New, knew, news, tube도 [[미국식 발음]]으로는 /누/, /누/, /눚/, /툽/이고, [[영국식 발음]]으로 /뉴/, /뉴/, /늊/, /튭/인데 그냥 영국식 발음으로 표기하는 사례가 많다. 그래도 요즘에는 [[미국]], [[캐나다]] 등 미국식 발음을 쓰는 국가에 [[어학 연수]]를 가는 사례가 많아서 [[YouTube]]을 [[유튜브]]라고 표기하지 않고 [[유툽]]이라고 표기하는 사람도 많이 보인다. 영국식 발음으로 표기하더라도 1음절인 tube을 2음절로 [[튜브]]로 표기하면 안 되고, 1음절인 [[튭]]으로 표기해야 한다.


= 역사 =
= 역사 =
Line 273: Line 344:




== 북마크 백업 및 복원 ==
Ctrl + Shift + o로 Library를 띄운다. Import and Backup -> Export Bookmarks to HTML을 선택한다. 그러면 Bookmarks.HTML 파일로 저장된다.
저장한 [[북마크]]를 새 토어에서 불러오려면 Import and Backup -> Import Bookmarks from HTML을 하면 된다.


= 작동 방식 =
= 작동 방식 =
Line 822: Line 897: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0805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0805
== 노스크맆트가 비활성화됨 ==
* #11272 2019-5-5 오전 8:39 [삭제]
현재 [[파이어폭스]] [[버그]] 때문에 [[노스크립트]] 쓸 수 없으니까
[[스크립트]] 쓰는 [[사이트]]는 당분간 접속하지 말기 바람
https://www.reddit.com/r/firefox/comments/bkhtv8/heres_whats_going_on_with_your_addons_being/
이 방법 사용하면 버그 수동으로 고칠 수 있지만 [[FBI]]가 [[범죄자]] 잡으려고 [[기만]][[전술]] 쓴다는 [[말]]도 나오고 있고
찝찝하니 버그 고칠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나음
   
1: [[토어 브라우저]]는 [[업데이트]] 주기 따로라서 노상관일듯    [삭제] 2019-5-5 오전 9:25
   
2: 토어에선 상관없을 듯    [삭제] 2019-5-5 오후 5:25
   
3: [[NoScript]] 안 돼도 Security Settings만 Safest로 돼있으면 괜찮지 않냐??    [삭제] 2019-5-5 오후 11:58
   
4: [[리눅스]]용 [[Tor]] [[브라우저]]에서도 [[노스크맆트]] 비활성화됐다. 만약 이게 필수 '[[애드-온]]'이라면 [[개발자]]측에서 [[Tor Browser]] [[업데이트]] 전에 어떻게 했겠지. 아니면 수정한 버전으로 업데이트 했거나. 토어 개발자가 바보도 아니고 그냥 파이어폭스를 그대로 따라갔겠냐?    [삭제] 2019-5-6 오전 1:24
   
5: 예전엔 [[토어 브라우저]] 수동 업데이트였는데, 지금은 자동 업데이트라 [[NSA]]에서 토어 업데이트로 [[체포]] [[작전]] 펼치면 상당수가 잡힐 듯. 자동 업데이트로 바꾼 이유가 수동 업데이트로 하니까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옛날 버전에서 업데이트 안 해서 잡히는 놈들이 많아서 였는데.    [삭제] 2019-5-6 오전 1:26
6: >5 파이어폭스 업데이트 되면서 노스크맆트가 구형이라 신형 파이어폭스랑 호환되지 않아서 비활성화 된 거 같은데? 토어 브라우저는 파이어폭스 기반이라 같이 비활성화되는 거 같고.    [삭제] 2019-5-6 오전 1:49
7: >6 파이어폭스 add-on을 서명하는데 쓰는 보안 인증서(security certificate)가 만료되면서 거의 대부분의 애드온들이 유효하게 전자 싸인이 되어있지 않다고 비활성화된 거네. HTTPS Everywhere, Torbutton, TorLauncher는 활성화되어 있고, NoScript만 비활성화되어 있어서 난 NoScript 문제인 줄 알았더니.    [삭제] 2019-5-6 오전 1:54
8: >7 [[HTTPS Everywhere]] (Encrypt the Web! Automatically use HTTPS security on many sites.) [[Torbutton]] (Torbutton provides a button to configure Tor settings and quickly and easily clear private browsing data.) [[TorLauncher]]    [삭제] 2019-5-6 오전 1:56
9: >8 [[NoScript]] (Maximum protection for your browser: NoScript allows active content only for trusted domains of your choice to prevent exploitation.)    [삭제] 2019-5-6 오전 1:57
10: [[reddit]] [[링크]]에서는 [[인증서]] 검증 과정 없이 [[애드온]]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가르쳐주네. 그냥 버그 픽스될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나을 듯. 인증서 무효화도 잠재적인 [[보안]] 위험이라 그닥...    [삭제] 2019-5-6 오전 2:08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1272
* #11295 2019-5-6 오전 1:06 [삭제]
[[토어브라우저]] [[안드]] 아예 [[노스크립트]]가 사라짐. 모르고 하다가 [[좆]]될뻔
   
2: [[Orfox]] 얘기하는거냐? Tor Browser for Android 써라.    [삭제] 2019-5-6 오전 1:11
   
5: >2 [[Tor Browser for Android]]도 [[NoScript]] 제거됨. [[Add-on]] 없어도 자체적으로 [[script]] [[차단]]하므로 필요없음.    [삭제] 2019-5-6 오전 1:17
   
3: [[노스크맆트]] 없어도 상관없음. Security Settings만 Safest로 설정되어 있으면 됨.    [삭제] 2019-5-6 오전 1:12
6: security settings 가서 safest 해놔도 안되는데    [삭제] 2019-5-6 오전 1:29
7: >6 Safest 해놓으면 NoScript가 활성화된다는 게 아니라, 보안상 script가 차단된다는 말인데. 한번 스크맆트 있는 싸이트 가서 직접 확인해봐야겠다.    [삭제] 2019-5-6 오전 1:35
8: >7 [[씨발]] [[좆]]되네. Security Settings를 Safest로 해놔도 [[JavaScript]] 실행되네. ㅡㅡ; 난 당연히 별도로 [[차단]]하는 방식인 줄 알았는데, Security Settings 설정을 바꾸면, NoScript 설정이 바뀌는 식으로 작동하는 건가 봄.    [삭제] 2019-5-6 오전 1:40
9: >8 야 [[NoScript]] 문제 고쳐질 때까지는 위험한 [[싸이트]]든 [[접속]]하지 말아라. 수동으로 [[스크맆트]]랑 [[Flash]], [[HTML5]] video tag 등등 각종 [[보안 위협]] 차단하고 쓰던가.    [삭제] 2019-5-6 오전 1:42
10: [[JavaScript]] 쓰는 대표적인 [[보안]] 병신 [[다크웹 싸이트]]가 [[청일 TV Fan Page]]임    [삭제] 2019-5-6 오후 8:32
11: >10 JavaScript가 동작 안 하면 "입장하기" 버튼 왼쪽의 아이콘이 안 보이고, 입장하기 버튼이 눌리지도 않는다.    [삭제] 2019-5-6 오후 8:34
12: >11 원래 입장하기 왼쪽에 손가락으로 V 모양 만드는 아이콘이 떠야 하는 게, 그게 링크 깨진 아이콘 모양으로 뜬다.    [삭제] 2019-5-6 오후 8:35
13: >12 [[청일TV Fan Page]] http://d4wdqjh4kpng5fwp.onion/ 이 새끼가 몰래 이상한 [[script]] 심어놨을 수도 있으니까 조심해라 ㅋㅋㅋ [[유투버]]들은 돈 벌려고 방송 컨텐츠 만드는데 목숨 거는 놈들이니까    [삭제] 2019-5-6 오후 8:36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1295
* #11307 2019-5-6 오후 2:00 [삭제]
tor browser for Android 에서 노스크립트가 작동안되는버그 해결법찾았다.
주소창에 about:config 치고 xpinstall.signatures.required를 true에서 false로 바꾸면 작동된다. 이건 그냥 임시방편이고 고쳐질때까지 가만히있는게 나을듯.
   
1: ㅇㅇ 페도/약/마켓 사이트 당분간 사려라.      [삭제] 2019-5-6 오후 2:49
   
2: 임시로 이렇게 해놓고 쓰던가, 새로운 보안 인증서로 서명한 애드온이 배포될 때까지 기다리던가.    [삭제] 2019-5-6 오후 8:09
   
4: >2 현재 NoScript가 작동 안 하는 게, NoScript 서명하는 데 쓴 security certificate이 만료돼서 그런 것임. 그래서 상당수의 add-on들이 비활성화 됨.    [삭제] 2019-5-6 오후 8:15
   
5: >4 해당 보안 인증서로 전자 서명한 애드온들은 다 비활성화됐음.    [삭제] 2019-5-6 오후 8:15
   
6: >5 위 임시 방편은 유효한 인증서의 서명이 없는 애드온의 xpi 파일도 작동하게 설정을 변경해주는 거고.    [삭제] 2019-5-6 오후 8:17
   
3: [[노스크맆트]]도 없이 [[자바스크맆트]] 막 작동하면 위험하니까, 일단은 이렇게라도 해놓고 쓰는 게 아무 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안전하다.    [삭제] 2019-5-6 오후 8:13
   
7: >3 [[보안]] [[인증서]] 검증 안 하는 것도 위험하니까, 나중에 버그 고쳐지면 다시 원래대로 true로 바꿔놓으면 됨.    [삭제] 2019-5-6 오후 8:19
8: [[Tor Browser for Android]] 뿐만 아니라, [[Tor Browser]]나 [[Orfox]] 등 [[Firefox]] 기반 [[웹 브라우저]]에서는 다 쓸 수 있는 방법이다.    [삭제] 2019-5-6 오후 8:23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1307
* #11305 2019-5-6 오전 10:01 [삭제]
지금 모바일[[토르]] [[노스크립트]] 안되는거임? 난 되는데..
   
1: 난 아예 설정칸 자체가사라져버렸음 뭐냐    [삭제] 2019-5-6 오후 1:08
   
2: [[안드로이드]]에는 Tor Browser for Android랑 Orfox 두 개가 있음.    [삭제] 2019-5-6 오후 8:03
   
3: Tor Browser for Android는 [[NoScript]] 안 되는 거 내가 확인했는데, Orfox는 될 수도 있지.    [삭제] 2019-5-6 오후 8:11
   
4: >3 Orfox도 Firefox 기반인데 안 돼야 정상 아닌가??    [삭제] 2019-5-6 오후 8:17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1305


= 사용 예 =
= 사용 예 =
Line 867: Line 1,082:
* [[오어퐄스]] ([[Orfox]])
* [[오어퐄스]] ([[Orfox]])
* [[넽워크]] ([[network]])
* [[넽워크]] ([[network]])
* [[다크넽]] ([[Darknet]])
* [[다크넽 싸이트]]
* [[다크넽 싸이트]]
*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
*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
Line 877: Line 1,093:
* [[해킹]]
* [[해킹]]
* [[포르노]] ([[pornography]])
* [[포르노]] ([[pornography]])
* [[가상 전용 망]] ([[VPN]])
* [[크롬]]
* [[윈도우즈]]
* [[뱈도어]] ([[backdoor]])
* [[이프레디아OS]] ([[이프레디아]]; [[IprediaOS]]; [[Ipredia]])


= 참조 =
= 참조 =
Line 900: Line 1,121:
[[category:자유 소프트웨어]]
[[category:자유 소프트웨어]]
[[category:다크 웹]]
[[category:다크 웹]]
[[category:토어]]
[[Category:토얼]]
[[Category:토어]]
[[Category:토]]
[[category:KHW]]
[[category:KHW]]
[[category:암호]]
[[category:암호]]
10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