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씰크 로드"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15,934 bytes added ,  15:22, 12 May 2019
no edit summary
 
(6 intermediate revisions by one other user not shown)
Line 1: Line 1:
{{Template:바로 가기}}
{{Template:바로 가기}}
<div style="float: right; margin-left: 12px;">__TOC__</div>


= 개요 =
== 개요 ==
'''씰크 로드'''([[Silk Road]], http://silkroadvb5piz3r.onion/ )는 [[딮 웹]]에서 [[빝코인]]으로 마약, 총기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웹싸이트이다. 운영자 DPR(Dread Pirate Roberts, 본명 Ross William Ulbricht)이 샌 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서 [[FBI]]에 체포되었다.
'''씰크 로드'''([[Silk Road]], http://silkroadvb5piz3r.onion/ )는 [[딮 웹]]에서 [[빝코인]]으로 마약, 총기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웹싸이트이다. 운영자 DPR(Dread Pirate Roberts, 본명 Ross William Ulbricht)이 샌 프란시스코(San Francisco)에서 [[FBI]]에 체포되었다.




외신에 의하면 씰크 로드의 로그 인 페이지에 있는 캡차(CAPTCHA, 봍에 의한 자동 가입 방지용 이미지) 이미지가 토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바로 연결되어 있어 아이슬런드(Iceland)에 있는 캡차 이미지 서버를 찾아내고 그것을 기반으로 실크 로드 운영자를 체포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Korean Hidden Wiki/토르 네트워크]]참조하기 바란다.
외신에 의하면 씰크 로드의 로그 인 페이지에 있는 [[캡차]] ([[CAPTCHA]], 봍에 의한 자동 가입 방지용 이미지) 이미지가 토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바로 연결되어 있어 아이슬런드(Iceland)에 있는 캡차 이미지 서버를 찾아내고 그것을 기반으로 실크 로드 운영자를 체포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톨]] ([[Tor]])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Line 11: Line 12:




== 실크로드와 비트코인 ==
* 실크로드와 비트코인 (1)
2018-08-29
때는 2011년 3월 1일.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소]]인 [[마운트곡스]]가 설립된 지 약 9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비트코인]]을 위한 [[거래소]]가 생겼다고는 하나, 여전히 비트코인은 몇몇 괴짜들의 취미에 불과했다. 물론 몇몇 사람들이 ‘비트코인으로 생활하기’ 같은 단기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고, 주변에 비트코인 거래를 홍보하는 사람도 있긴 하였다. 그러나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진지하게 고려해보기엔 비트코인만의 메리트가 부족하였다. 7년이 지난 지금도 [[암호화폐]]보다 [[현금]]이 더 편한데, 당시는 어땠을지 상상해보라.
2010년에 비트코인으로 [[피자]]를 결제한 첫 사례가 있다고는 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벤트성에 가까웠던 일이다. 피자가게에서 비트코인을 받은 것도 아니고, 결제를 비트코인으로 한 것도 아니고, ‘피자를 두 판 대신 시켜주면 1만 비트를 주겠다’였으니 말이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초창기 비트코인 커뮤니티에서는 비트코인을 실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등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 마니아들은 하루빨리 비트코인을 실생활에서 써보고 싶어 했고, 비트코인으로 물건을 살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라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소망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그리고 매우 낯선 모습으로 찾아오고 만다.
다시 2011년 3월 1일로 돌아가 보자. 마운트곡스 포럼에 비트코인으로 체계적이고 활발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는 글이 게시되었다.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실크로드가 개설된 지 약 3주 정도 지났는데 굉장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사이트에 대하여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굳이 의견을 물어볼 필요가 있었을까? 초창기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소망 중 하나가 비트코인 결제의 활성화였으니 말이다. 해당 글에는 100여 개의 답글이 달렸는데, 당시 마운트곡스 포럼 멤버가 5,343명에 불과했음을 고려하면 얼마나 많은 관심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엇’을 파는지가 문제였다. 실크로드가 판매하던 물건에 비하면 비트코인으로 피자를 사먹거나 자동차 기름을 채운 사례는 흥밋거리조차 되지 못했다. 실크로드의 정체를 알게 되자 호기심을 가진 사람도 있는 반면, 실크로드에 대해 반감을 표출한 사람도 있었다.
‘비트코인으로 피자도 먹고 자동차 기름도 채웠다지만, 이제는 마약이라니? 비트코인의 제일 활발한 사용처가 마약거래라고?’
실크로드에서는 정상적인 물건만 거래되지 않았다.
실크로드는 무서운 해적 로버츠(Dread Pirate Roberts)라는 닉네임을 사용한 사람이 개설한 거래 사이트였다. 실크로드는 Tor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Tor 브라우저를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했으며. ‘판매할 수 있는 물건’이라면 종류를 불문하고 판매가 가능하였다. 의약품을 팔아도 좋았고 식품을 팔아도 되며 책이나 전자제품을 파는 것도 가능했다. ‘팔릴만한 물건’이라면 뭐든지 좋았다.
모를 리 없겠지만, 번거롭게 Tor 브라우저를 써가면서까지 ‘사고 싶은 물건’이 무엇일지 상상해보라. 향정신성 효과를 가져 몇 십 년 전에 생산이 중단된 제품이라거나, 먹을 수는 있는데 치명적인 맹독을 지닌 식품, 책은 책인데 테러리스트가 발간한 폭탄 제조법, 누군가에게서 훔친 휴대폰 등, 분명 누군가의 수요는 있는데 거래를 시도하는 순간 인생에 붉은 줄이 그이게 될 물건들이 거래되었다.
많고 많은 불법 상품 중에서도 실크로드의 주 거래 상품은 마약이었다. 대마, 코카인, LSD, 엑스터시, 헤로인, 메스암페타민, 환각 버섯 등등 종류를 불문하고 마약으로 불리는 모든 제품이 거래 대상이었다. 2013년 3월 실크로드의 판매 상품 10,000건 중 70%가 마약이었고, 2014년 10월에는 13,756건의 불법 약물이 실크로드에 등록되어 있었다.
무서운 해적 로버츠는 적어도 실크로드가 다른 다크 넷 시장과는 달리 아동 포르노와 도난품 그리고 살상 무기같이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물건’의 판매를 금하는 점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였으나. 실상은 비 마약류 상품 대한 수요가 없던 상황과 실크로드 운영자의 의견이 합쳐졌다고 보는 것이 옳다.
2부에서 계속...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1587
* 실크로드와 비트코인 (2)
2018-09-05
결과론적인 말이지만, 비트코인이 없었다면 실크로드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고 딥웹의 암거래 시장도 활성화되지 못했을 것이다. 실크로드가 전 세계의 마약 거래자(그리고 언론과 사법기관)의 관심을 끈 비결에는 실크로드의 다양한 거래 서비스가 한몫을 하긴 했으나, 실크로드의 핵심은 비트코인에 있었다.
실크로드의 거래 방법은 이베이나 중고나라의 거래 시스템과 유사했다. 실크로드는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를 연결해 주는 역할과 에스크로 결제만 지원했을 뿐, 실크로드 측에서 직접 마약을 판매한다거나 운송을 담당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실크로드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 비결은 거래 중개와 에스크로 결제 서비스에 있었다.
마약을 비롯해 암시장 거래에서는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 물론 신뢰가 중요하지 않은 거래가 어디 있겠냐마는, 평범한(?) 거래에서는 상대가 잠입 수사 중인 마약단속국 요원인지 저질 상품을 되파는 마약중독자인지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 그러나 마약 거래는 다르다. 상품에 대한 신뢰 못지않게 거래자에 대한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결국 대부분의 마약 거래는 신뢰 가능한 제3자의 소개를 거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며, 거래 규모가 커질수록 사법기관의 수사망에 발각될 가능성도 증가한다.
그러나 실크로드는 마약 거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성공하였다. 우선 실크로드는 에스크로 서비스를 사용하여 판매자가 쉽게 사기를 치기 어렵도록 만들었다. 또한 판매자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선 고가의 등록비를 지불해야 하는 시스템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번거로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은 많은 마약 판매상의 주목을 끄는데 성공하였다.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은닉 포장, 샘플 제공, 전 세계 배송과 같은 서비스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했다. 더 좋은 품질과 높은 순도 그리고 희소성 있는 마약을 취급할 필요성도 생기게 되었다. 그 결과 구매자는 실크로드 내의 다양한 판매자를 ‘비교’해가며 선택하는 것이 가능했다.
실크로드의 [[에스크로]] 서비스 구조
그런데 이런 서비스들을 구축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결제 방식을 사용했다간 얼마 못 가 사법기관에 발각될 것이 뻔했다. 계좌를 통한 입출금이나 신용카드 결제는 위험성이 너무 높았다. 그들에게는 자금 세탁이 용이하고 익명성이 보장되며 송금이 간편한 화폐가 필요했다. 그리고 이 모든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화폐가 바로 비트코인이었다.
실크로드가 탄생하기 전까지만 해도 비트코인의 [[익명성]]은 부차적인 장점에 불과했다. 실크로드 이전만 하더라도 비트코인을 활용한 자금 세탁(비트코인 믹싱)은 그다지 잘 알려지지도 않았고 굳이 해야 할 필요도 없었다. 비트코인이 가졌던 가치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사상과 신념’에 대한 값어치에 불과했다. ‘비트코인이 바꿀 경제’에 대한 믿음이 약해진다면 비트코인의 가치도 같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초창기 비트코인 거래 대부분이 ‘비트코인의 실질가치’보다는 ‘비트코인이 바꿀 미래’에 중점을 뒀음이 이를 반증한다.
반면 실크로드에게 ‘[[사토시 나카모토]]’의 철학은 중요하지 않았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익명성과 신뢰성의 보장이지, ‘탈중앙화 같은 신념’에는 아무런 가치를 느끼지 못했다. (물론 본인들을 [[무정부주의]]자로 포장하기 위해서 몇 번씩 써먹긴 하였다). 대신 실크로드는 비트코인의 익명성과 신뢰성 보장 기술이, 마약 거래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하였다.
[[실크로드]]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신념을 믿던 사람들에게는 황당한 소식이었으나, 비트코인은 실크로드를 통해 기술적 가치를 증명하는데 성공하였다. [[마운트곡스]]가 설립된 이후로도 확실한 사용처가 없던 비트코인은 드디어 ‘제대로 된’ 사용처를 확보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투자 목적이 아닌 물물교환을 위한 화폐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3부에서 계속...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1621
* 실크로드와 비트코인 (3)
2018-10-01
실크로드를 보여주는 Charles Schumer
실크로드에서 비트코인의 편리함과 익명성이 인정받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인터넷으로 마약을 살 수 있다는 ‘정보’는 곧 공공연한 입소문이 되었다. 자극적인 기삿거리를 노리고 있던 언론사들의 눈에 실크로드가 포착되는 건 시간문제나 다름없었다.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마약을 살 수 있는 지하 웹사이트’라는 기사가 2011년 6월 1일 GAWKER에서 보도되었다. 기사에서는 실크로드 사용자와의 인터뷰와 실크로드에 대한 소개, 실크로드에서 어떤 물건들이 어떻게 판매되는지, 실크로드에서 비트코인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자세히 소개하였다.
GAWKER가 실크로드를 처음으로 보도한 것인지는 불명하나, GAWKER의 보도 이후로 거의 모든 언론이 실크로드에 대해 다루기 시작했음은 분명하다. ‘인터넷으로 전 세계에서 마약을 살 수 있다’, ‘[[마약]]을 거래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리뷰를 남긴다’, ‘새로운 사이버 머니인 비트코인으로 마약이 거래된다’, ‘다른 사이트에서는 [[총기]]나 [[폭발물]]도 거래되고 있다’ 등등 2018년인 지금에 봐도 꽤나 자극적인 글 소재다. 어떤 언론사라도 이런 매력적인 기삿거리를 놓치고 싶진 않을 것이다.
한 번쯤 이름을 들어봤을 법한 언론사들도 보도를 시작하자, 정치인과 사법기관은 실크로드에 대해 행동을 빨리 취할 필요가 생겼다. 2011년 6월 5일, 뉴욕 주 상원의원 Charles Schumer은 ‘추적 불가능한 통화로 익명 거래되는 온라인 마약 시장’의 폐쇄할 수 있는 법안을 발의했다. 미 법무부에서도 실크로드의 위험성을 직시하여 FBI와 DEA(마약 단속국,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에게 실크로드 사건을 배정했다. 미 법무부에서 실크로드를 멕시코 마약 카르텔과 동급의 위험으로 취급한 셈이다.
그러나 “실크로드에서 정말 마약을 살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신이 필요했다. 뜬소문이거나 언론을 통해 과장된 이야기라면 공권력의 낭비가 될 수 있으니 말이다. FBI는 확신을 위해 실크로드에서 직접 마약을 구매하고, 품질을 분석하기로 결정했다. 2011년 11월부터 약 100건의 마약을 실크로드를 통해 주문했으며, 품질 분석 결과 실크로드에서 판매되는 마약이 길거리 마약에 비해 고순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실크로드(와 [[비트코인]])에 대한 [[언론]]과 [[사법기관]]의 관심은 비트코인을 폭등시킨 주 요인이 되었다. GAWKER에서 실크로드를 보도하기 전날의 비트코인 가격은 $8.74, [[상원의원]] Charles Schumer의 발언이 있던 날에는 $16.70, 그리고 GAWKER의 보도로부터 1주일이 지난 6월 8일에는 $29.60을 기록했다. (이후 비트코인의 가격은 하락하기 시작했으며, 약 1년 반이 지난 시점에 $30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실크로드로 인해 비트코인에 대한 언론과 정부의 시선이 바뀌게 되었다. [[실크로드]] 사건이 터지기 전인 2011년 4월만 하더라도 타임즈에서는 비트코인을 ‘온라인 캐시 비트코인은 [[정부]]와 [[은행]]에 도전할 수 있다’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비트코인의 이미지는 ‘디지털 시대의 혁신적 화폐 개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실크로드에 대한 보도가 이뤄지며, 비트코인은 ‘[[범죄]]에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 ‘추적이 불가능한 [[익명성]]’, ‘디지털 [[암시장]]의 [[화폐]]’로 인식되었다. 심지어 비트코인은 정부에서 제일 싫어하는 [[범죄]]인 [[마약]]거래와 [[탈세]]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었으니, 정부 입장에서 비트코인을 곱게 보기가 어려웠다.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1734


== 다크웹의 오픈마켓 '실크로드' ==
== 다크웹의 오픈마켓 '실크로드' ==
Line 55: Line 185:




=== FBI의 불법 해킹 논란 ===
 
== FBI의 불법 해킹 논란 ==
이 사건에서 가장 논쟁이 많은 부분은 FBI가 아이슬란드에 있는 ‘실크로드’ 서버에 접근할 때 합법적인 한계를 넘어섰는지 여부라고 이 다큐멘터리는 지적한다. ‘실크로드’는 온라인에서 익명성이 완전히 보장되는 브라우저 ‘토르(Tor)’를 사용했다. 그러나 FBI는 ‘실크로드’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에서 우연히 서버의 IP 주소를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 사건에서 가장 논쟁이 많은 부분은 FBI가 아이슬란드에 있는 ‘실크로드’ 서버에 접근할 때 합법적인 한계를 넘어섰는지 여부라고 이 다큐멘터리는 지적한다. ‘실크로드’는 온라인에서 익명성이 완전히 보장되는 브라우저 ‘토르(Tor)’를 사용했다. 그러나 FBI는 ‘실크로드’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에서 우연히 서버의 IP 주소를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Line 61: Line 192:


* 출처: http://jmagazine.joins.com/newsweek/view/306817
* 출처: http://jmagazine.joins.com/newsweek/view/306817
== 외부 링크 ==
* 실크 로드의 새 주소 <s>http://silkroad2eipagnk.onion/</s>
* 실크 로드 포럼 http://silkroad5v7dywlc.onion/
* Silk Road http://silkroad6ownowfk.onion/
* Silk Road 2.0 http://silkroadagyq7ilu.onion/


== 딥 웹의 불법 사이트 -실크 로드- 운영자 검거 및 폐쇄 ==
== 딥 웹의 불법 사이트 -실크 로드- 운영자 검거 및 폐쇄 ==
Line 75: Line 197:


Posted: 10/02/2013 12:19 pm EDT  |  Updated: 10/02/2013 3:54 pm EDT
Posted: 10/02/2013 12:19 pm EDT  |  Updated: 10/02/2013 3:54 pm EDT
[보안 필터 작동]
[보안 필터 작동]
Share on Google+
Share on Google+
silk road fbi
silk road fbi


GET TECHNOLOGY NEWSLETTERS:
GET TECHNOLOGY NEWSLETTERS:
SUBSCRIBE
SUBSCRIBE
FOLLOW:
FOLLOW:
Silk Road Ensemble, Online Drug Market, Silk Road, Silk Road Close, Silk Road Closed, Silk Road Drugs, Silk Road Shutdown, Technology News
Silk Road Ensemble, Online Drug Market, Silk Road, Silk Road Close, Silk Road Closed, Silk Road Drugs, Silk Road Shutdown, Technology News


Federal authorities said Wednesday they had seized a website that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opular places on the Internet for buying drugs and other illicit goods and services.
Federal authorities said Wednesday they had seized a website that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opular places on the Internet for buying drugs and other illicit goods and services.


In a criminal complaint, the FBI said they had charged Ross William Ulbricht, also known as "Dread Pirate Roberts," with operating the site, "Silk Road," since January 2011.</ref>윗 사진은 딥 웹으로 실크 로드 주소에 접속하면 나오는 페이지.
In a criminal complaint, the FBI said they had charged Ross William Ulbricht, also known as "Dread Pirate Roberts," with operating the site, "Silk Road," since January 2011.</ref>
 
윗 사진은 딥 웹으로 실크 로드 주소에 접속하면 나오는 페이지.


-이 페이지는 FBI 와 IRS 에 의해 중단되었음-
-이 페이지는 FBI 와 IRS 에 의해 중단되었음-
Line 94: Line 224:




검거의 과정, DPR 의 실수
=== 검거의 과정, DPR 의 실수 ===


FBI의 요원인 Agent-1 (뽀대나지 않노?)은 2년전인 2011년 1월달에 실크로드의 첫 발자취를 발견함. 환각버섯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포럼에서 Altoid 라는 게이가 쓴 글이 시발점이되었다 (Anonymous market online?) 알토이드는 자신의 글에 "실크로드 라는 사이트에 한번 가봤는데, 너네들은 이 사이트가 어떤지 알고싶어" 라고 올리고 에이전트-1은 딥웹속에 존재하는 "다크웹"의 존재를 처음으로 접한다. 얼마 후에 알토이드는 다른 글을 올리게 되는데 실크로드는 너네들의 정보가 알려질수 없는 가상의 화폐를 이용해야 한다. 익명성이 보장되고 자신의 발자취조차 남겨지지 않는 그런 사이트를 접한 유저들의 의하여 비록 아는 사람만 아는 사이트지만, 인기는 폭발적이였다.
FBI의 요원인 Agent-1 (뽀대나지 않노?)은 2년전인 2011년 1월달에 실크로드의 첫 발자취를 발견함. 환각버섯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포럼에서 Altoid 라는 게이가 쓴 글이 시발점이되었다 (Anonymous market online?) 알토이드는 자신의 글에 "실크로드 라는 사이트에 한번 가봤는데, 너네들은 이 사이트가 어떤지 알고싶어" 라고 올리고 에이전트-1은 딥웹속에 존재하는 "다크웹"의 존재를 처음으로 접한다. 얼마 후에 알토이드는 다른 글을 올리게 되는데 실크로드는 너네들의 정보가 알려질수 없는 가상의 화폐를 이용해야 한다. 익명성이 보장되고 자신의 발자취조차 남겨지지 않는 그런 사이트를 접한 유저들의 의하여 비록 아는 사람만 아는 사이트지만, 인기는 폭발적이였다.
Line 115: Line 245:




음모론의 한 부분
=== 음모론의 한 부분 ===


실크로드의 FriendlyChemist라는 판매자가 DPR에게 이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자신의 "공급자"에게 빚진 돈을 갚아야 하는 액수의 15만달러를 주지 않으면 전부 공개해버리겠다는 협박메세지를 보낸다. DPR은 그 공급자와 직접 대화를 하겠으니 연락처를 달라고 하고 실크로드의 자체 메세징 기능을 이용해 FriendlyChemist의 공급자인 RedandWhite 라는  유저와 대화를 한다. 여기서 DPR 는 통수를 시전하는데 자신의 사이트 운영방침인 "완전한 익명성"을 공격하는 사람은 절대 용서할수 없다고 하며 고액의 보수와 FriendlyChemist의 신상정보를 줄테니 FriendlyChemist를 처치해달라고 했음. DPR은 약 8개월 전에도 깔끔하게 이런식으로 처리한적 있다고 자랑까지 곁들어갔다. 후에 RedandWhite 가 일처리가 끝났다고 메세지를 DPR에게 보냈지만 그 시점에 그 지역에서 (BC, 캐나다) 살인사건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없다. FBI 가 DPR의 정보를 캐내려고 위장행동을 했거나 아니면 사기꾼들이 짜고 통수쳤다는 썰.
실크로드의 FriendlyChemist라는 판매자가 DPR에게 이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자신의 "공급자"에게 빚진 돈을 갚아야 하는 액수의 15만달러를 주지 않으면 전부 공개해버리겠다는 협박메세지를 보낸다. DPR은 그 공급자와 직접 대화를 하겠으니 연락처를 달라고 하고 실크로드의 자체 메세징 기능을 이용해 FriendlyChemist의 공급자인 RedandWhite 라는  유저와 대화를 한다. 여기서 DPR 는 통수를 시전하는데 자신의 사이트 운영방침인 "완전한 익명성"을 공격하는 사람은 절대 용서할수 없다고 하며 고액의 보수와 FriendlyChemist의 신상정보를 줄테니 FriendlyChemist를 처치해달라고 했음. DPR은 약 8개월 전에도 깔끔하게 이런식으로 처리한적 있다고 자랑까지 곁들어갔다. 후에 RedandWhite 가 일처리가 끝났다고 메세지를 DPR에게 보냈지만 그 시점에 그 지역에서 (BC, 캐나다) 살인사건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없다. FBI 가 DPR의 정보를 캐내려고 위장행동을 했거나 아니면 사기꾼들이 짜고 통수쳤다는 썰.
Line 127: Line 257:
DPR은 결국 화요일 오후 3시 15분 샌프라시스코의 한 공용도서관에서 검거되었다. 돈세탁, 마약운반, 살인청부, 컴퓨터 해킹 등의 이유로 입건됨.
DPR은 결국 화요일 오후 3시 15분 샌프라시스코의 한 공용도서관에서 검거되었다. 돈세탁, 마약운반, 살인청부, 컴퓨터 해킹 등의 이유로 입건됨.


-----------------------------------------------------------------------------------------------------------------------
 


실크로드: 옥션과 이베이 같은 온라인 거래 사이트. 사이트 자체는 불법이 아니지만 소비자와 판매자들이 하는 행동에 의해 불법적으로 인식된다 (예: 웹하드서비스, 사이트 자체는 합법적이나 유저들이 불법적으로 업로딩/다운로딩 하는 자료들 때문에 생겨난 인식)
실크로드: 옥션과 이베이 같은 온라인 거래 사이트. 사이트 자체는 불법이 아니지만 소비자와 판매자들이 하는 행동에 의해 불법적으로 인식된다 (예: 웹하드서비스, 사이트 자체는 합법적이나 유저들이 불법적으로 업로딩/다운로딩 하는 자료들 때문에 생겨난 인식)
Line 163: Line 293:


[빗코인 로고, 은행에 종속된 일반 화폐와 달리 사용자들만의 경제속에 흘러다니는 화폐다. 빗코인만의 경제구조도 여타 구조와 다르지 않게 인플/디플 등의 현상이 있다)
[빗코인 로고, 은행에 종속된 일반 화폐와 달리 사용자들만의 경제속에 흘러다니는 화폐다. 빗코인만의 경제구조도 여타 구조와 다르지 않게 인플/디플 등의 현상이 있다)




Line 184: Line 311:
실크 로드는 2013년 7월 25 일 현재까지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실크 로드는 2013년 7월 25 일 현재까지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엄청난 규모의 DDos 공격과 해킹 시도 등이 있었지만 모두 무사히 막았습니다.
[그동안 엄청난 규모의 DDos 공격과 해킹 시도 등이 있었지만 모두 무사히 막았습니다.


실크 로드 서버에는 매우 많은 양의 비트코인 또한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커들의 해킹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실크 로드 서버에는 매우 많은 양의 비트코인 또한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커들의 해킹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Line 190: Line 317:
하지만 아직까지 그 어떤 해커도, 어떤 정부기관도 실크로드를 해킹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 어떤 해커도, 어떤 정부기관도 실크로드를 해킹하지 못했습니다.]


    실크로드의 설립자는 자유주의를 신봉하고 미국 정부의 규제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실크로드의 설립자는 자유주의를 신봉하고 미국 정부의 규제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원 의원 "Charles Schumer"는 실크로드 웹사이트를 막아버리는 것을
    [도메인 차단] DEA 와 미국 연방당국에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실크로드는 TOR 네트워크에서 숨겨진 서비스로 호스팅되고 있기 때문에 ,
    도메인 차단이 불가능했습니다.




미국의 상원 의원 "Charles Schumer"는 실크로드 웹사이트를 막아버리는 것을
[도메인 차단] DEA 와 미국 연방당국에 요청했습니다.


    <<< 실크로드 역사상 최초로 실크로드 관련 범죄로 유죄 처분을 받은 사람 >>>
하지만 실크로드는 TOR 네트워크에서 숨겨진 서비스로 호스팅되고 있기 때문에 ,
도메인 차단이 불가능했습니다.


    2013년 2월 , 호주의 먀약 거래상 [코카인과 MDMA 판매자] 가
    실크로드 역사상 최초로 실크로드 관련 범죄로
    유죄 판결 처분을 받은 첫 번째 사람이 되었다.
    걸린 경로는, 밀수입을 하다 호주 관세청이 적발해 통제배달로 배달 후,
    밀수한 사람의 건물을 전부 압수수색해서 , 결국 실크로드 판매자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의 고유 실크로드 별칭 발견됨.]




    실크로드에서 거래되는 물품은 2013년 7월 기준 약 15,000개의 상품이 거래중이며,
<<< 실크로드 역사상 최초로 실크로드 관련 범죄로 유죄 처분을 받은 사람 >>>
    그 중 11,870개가 마약입니다.
    마약의 종류는 약 340여가지입니다.
    [대표적인 마약들과 무수한 합성마약들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 물품들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밀수품으로 간주되고 규제되고 있습니다.


2013년 2월 , 호주의 먀약 거래상 [코카인과 MDMA 판매자] 가
실크로드 역사상 최초로 실크로드 관련 범죄로
유죄 판결 처분을 받은 첫 번째 사람이 되었다.
걸린 경로는, 밀수입을 하다 호주 관세청이 적발해 통제배달로 배달 후,
밀수한 사람의 건물을 전부 압수수색해서 , 결국 실크로드 판매자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의 고유 실크로드 별칭 발견됨.]




    실크로드는 아동 포르노 , 대량살상무기 , 암살 서비스 , 훔친 카드 판매 등을 금지합니다.
실크로드에서 거래되는 물품은 2013년 7월 기준 약 15,000개의 상품이 거래중이며,
    [하지만 다른 TOR 사이트에서 거래가능합니다.]
그 중 11,870개가 마약입니다.
마약의 종류는 약 340여가지입니다.
[대표적인 마약들과 무수한 합성마약들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 물품들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밀수품으로 간주되고 규제되고 있습니다.




    실크로드의 안전결제[에스크로] 시스템


    [위 사진은 계정 account 페이지 스크린 샷 입니다.]
실크로드는 아동 포르노 , 대량살상무기 , 암살 서비스 , 훔친 카드 판매 등을 금지합니다.
[하지만 다른 TOR 사이트에서 거래가능합니다.]


    [사진설명 :escrow (usd) 는 미국 달러로 헷지된 안전결제 입니다.
    escrow (btc) 는 헷지가 되지 않고 비트코인으로 된 안전결제 입니다.
    빨강색은 본인의 비트코인 주소입니다.
    파란색은 본인의 비트코인 잔고를 나타냅니다.
    초록색은 본인의 아이디를 나타냅니다. ]


    [ESCROW = 안전결제 ]
=== 실크로드의 안전결제[에스크로] 시스템 ===


    실크로드는 안전결제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위 사진은 계정 account 페이지 스크린 샷 입니다.]
    소비자가실크로드에서 구매신청을 하게 되면
    비트코인은 바로 판매자한테 가는 것이 아니라 silkroad 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건을 받고 finalize 버튼을 눌러야 판매자한테
    비트코인이 전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판매자가 사기를 치거나 물건을 보내지 않을 경우 resolution Center 로
[사진설명 :escrow (usd) 는 미국 달러로 헷지된 안전결제 입니다.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escrow (btc) 는 헷지가 되지 않고 비트코인으로 된 안전결제 입니다.
빨강색은 본인의 비트코인 주소입니다.
파란색은 본인의 비트코인 잔고를 나타냅니다.
초록색은 본인의 아이디를 나타냅니다. ]


[ESCROW = 안전결제 ]


    [실크로드는 구매자를 존중해줍니다.
실크로드는 안전결제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이 시스템을 악용해서 실크로드 판매자들을 대상으로 사기를 치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소비자가실크로드에서 구매신청을 하게 되면
    이런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크로드 판매자들은 FE [finalize Early] 를 요구합니다.
비트코인은 바로 판매자한테 가는 것이 아니라 silkroad 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물건을 받기 전에 Finalize 를 눌러주게 되면 판매자에게 돈이 먼저 가게 됩니다.]
그리고 물건을 받고 finalize 버튼을 눌러야 판매자한테
비트코인이 전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판매자가 사기를 치거나 물건을 보내지 않을 경우 resolution Center 로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헷지된 안전결제와 헷지되지 않은 안전결제의 차이점


    헷지된 안전결제와 헷지되지 않은 안전결제의 차이점은
[실크로드는 구매자를 존중해줍니다.
    헷지된 안전결제는 비트코인 시세가 거래중에 아무리 변해도 초반에 주문들어간
이 시스템을 악용해서 실크로드 판매자들을 대상으로 사기를 치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치만큼의 USD 로 헷지되어서 거래가 종료되고 그 시점의 USD 가치와 동일한
이런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크로드 판매자들은 FE [finalize Early] 를 요구합니다.
    가치의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물건을 받기 전에 Finalize 를 눌러주게 되면 판매자에게 돈이 먼저 가게 됩니다.]


    예를 들면


    1g 필로폰을 $100 , 거래당시 비트코인 가치는 1비트코인당 = $100 이었습니다.
==== 헷지된 안전결제와 헷지되지 않은 안전결제의 차이점 ====
    그래서 1 bitcoin 을 넣어 주문했습니다.
    그런데 물건을 받고 거래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비트코인 가치는
    1비트코인당 $50 이 되었습니다.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판매자가 USD 로 헷지된 거래를 하고 있었다면
    판매자는 주문시 가치인 $100 만큼의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주문 완료시점의 환율이 1비트코인당 50달러라면 2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실크로드는 USD 헷지 안전결제에 대해서 4%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헷지된 안전결제와 헷지되지 않은 안전결제의 차이점은
    실제로는 수수료 4% 의 수수료를 제외한 1.92 비트코인을 수령하게 됩니다.]
헷지된 안전결제는 비트코인 시세가 거래중에 아무리 변해도 초반에 주문들어간
비트코인 가치만큼의 USD 로 헷지되어서 거래가 종료되고 그 시점의 USD 가치와 동일한
가치의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면


1g 필로폰을 $100 , 거래당시 비트코인 가치는 1비트코인당 = $100 이었습니다.
그래서 1 bitcoin 을 넣어 주문했습니다.
그런데 물건을 받고 거래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비트코인 가치는
1비트코인당 $50 이 되었습니다.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판매자가 USD 로 헷지된 거래를 하고 있었다면
판매자는 주문시 가치인 $100 만큼의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주문 완료시점의 환율이 1비트코인당 50달러라면 2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실크로드 판매자들
[실크로드는 USD 헷지 안전결제에 대해서 4%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수수료 4% 의 수수료를 제외한 1.92 비트코인을 수령하게 됩니다.]






    1. 내국인 전용 판매자 [국내배송만 하는 판매자]
=== 실크로드 판매자들 ===
1. 내국인 전용 판매자 [국내배송만 하는 판매자]


    내국인 전용 판매자들은 미국 판매자는 오직 미국으로만,
내국인 전용 판매자들은 미국 판매자는 오직 미국으로만,
    호주 판매자는 오직 호주로만 배송합니다.
호주 판매자는 오직 호주로만 배송합니다.
    판매자본인이 파는나라 에서만배송합니다. [오직 국내배송]
판매자본인이 파는나라 에서만배송합니다. [오직 국내배송]




    2. 해외 및 내국인 판매자 [국내배송 및 해외배송 둘다 하는 판매자]
2. 해외 및 내국인 판매자 [국내배송 및 해외배송 둘다 하는 판매자]


    해외 및 내국인 판매자들은 자신이 배송하는 국가 이외의 지역으로도 물건을 판매합니다.
해외 및 내국인 판매자들은 자신이 배송하는 국가 이외의 지역으로도 물건을 판매합니다.
    하지만 일부 나라는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나라는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핀란드, 이스라엘, 호주 등 세관 검색이 매우 심한 나라는 판매자가 배송을 거부합니다.]
[핀란드, 이스라엘, 호주 등 세관 검색이 매우 심한 나라는 판매자가 배송을 거부합니다.]
    그리고 해외 배송은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FE [finalize Early]를 요구합니다.
그리고 해외 배송은 대부분의 판매자들이 FE [finalize Early]를 요구합니다.
    이유는 그만큼 국내배송에 비해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그만큼 국내배송에 비해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 실크로드 이용 팁  @@
@@ 실크로드 이용 팁  @@


    실크로드 판매자들 중 국내배송만하는 판매자라고 해도
실크로드 판매자들 중 국내배송만하는 판매자라고 해도
    따로 메세지를 보내서 쇼부를 치게 되면 해외배송도 가능합니다.
따로 메세지를 보내서 쇼부를 치게 되면 해외배송도 가능합니다.




    실크로드 FEEDBACK[피드백 시스템] SYSTEM
=== 실크로드 FEEDBACK[피드백 시스템] SYSTEM ===


    => 실크로드는 구매자들이 평가나 후기를 남길 수 있습니다.
=> 실크로드는 구매자들이 평가나 후기를 남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판매자의 배송기법이나 위치에 대해서 말하게 되면 관리자가 삭제조취합니다.]
[하지만 판매자의 배송기법이나 위치에 대해서 말하게 되면 관리자가 삭제조취합니다.]




Line 312: Line 436:
=== 토르 사이트 목록 ===
=== 토르 사이트 목록 ===


* jhiwjjlqpyawmpjx.onion
* http://jhiwjjlqpyawmpjx.onion


=> [[TorMail]] [[토르메일]] 공식 토르 주소입니다.
=> [[TorMail]] [[토르메일]] 공식 토르 주소입니다.
Line 318: Line 442:




* silkroadvb5piz3r.onion
* http://silkroadvb5piz3r.onion


=> SilkRoad [실크로드] 공식 실크로드 주소입니다.
=> SilkRoad [[실크로드]] 공식 실크로드 주소입니다.
[실크로드 : 세계 최대 익명 온라인 거래 사이트 ]
[실크로드 : 세계 최대 익명 온라인 거래 사이트 ]


아래는 실크로드에 대한 위키디피아 주소입니다.
아래는 실크로드에 대한 위키디피아 주소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Silk_Road_(marketplace)]
 
https://en.wikipedia.org/wiki/Silk_Road_(marketplace)




* dkn255hz262ypmii.onion
* http://dkn255hz262ypmii.onion


=> 실크로드 커뮤니티 포럼 공식 주소입니다.  
=> 실크로드 커뮤니티 포럼 공식 주소입니다.  
Line 334: Line 459:




* 5onwnspjvuk7cwvk.onion
* http://5onwnspjvuk7cwvk.onion


=> BlackMarket Reloaded [블랙마켓 리로디드] 공식 주소입니다.
=> [[BlackMarket Reloaded]] [[블랙마켓 리로디드]] 공식 주소입니다.


[실크로드 다음가는 익명 온라인 거래 사이트 입니다.]
[실크로드 다음가는 익명 온라인 거래 사이트 입니다.]
Line 343: Line 468:
http://bitcoinkorea.blogspot.de/2013/07/blog-post_25.html?m=1
http://bitcoinkorea.blogspot.de/2013/07/blog-post_25.html?m=1


== 빝코인 횡령 혐의로 압수수색에 참여한 FBI 수사관들 체포 ==
씰크 로드 [[압수수색]]에 참여한 FBI 수사관 두 명이 압수수색 중 [[빝코인]] 수십억원어치를 빼돌린 혐의로 재판 중이다.
== 씰크 로드 운영자의 살인 청부 시도 ==
* #11325 2019-5-7 오전 2:19 [삭제]
일반적으로 [[살인청부]] 목표물이 죽은 사진을 보내주면 증명이 되겠지만, [[씰크 로드]] 운영자가 살인 청부 했다가 돈만 날린 사건에서처럼, 목표물이 이미 FBI한테 확보되어서 [[가짜]] [[시체]] [[사진]] 만들면 속아서 [[돈]]을 지급할 수 밖에 없음.
그 외에는 목표물의 시체 사진을 보내주면 [[에스크로]] 해주는 사람이 [[살인 청부]]를 달성했다고 보고 돈을 지급해도 되겠지.
http://jqu6my2mlqp4zuui.onion/p?id=11325
== 다크웹 시장 ==
다크웹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익명의 사징은 [[Silk Road]] 였다. 2011년 만들어진 Silk Road 는 아마존같은 플랫폼을 사용하여 추적할 수 없는 디지털 화폐인 비트코인을 사용하여 물건을 사고 판다. Silk Road 의 친소비자 접근 방식과 익명의 보장은 이곳이 재빨리 밀수품 천국이 되게 했다.
2013년 폐쇄될때까지 이곳은 판매자 1,400명, 등록 사용자 957,079 명이었고 2억 1400만불 120만건의 거래가 있었다고 FBI는 말한다 according to the FBI.
Silk Road가 사라진 후  [[Agora]] 와 [[AlphaBay]] 같은 수많은 불법 시장이 그 자리를 차지했고 실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http://blog.donga.com/zmon21/archives/40138


https://www.fbi.gov/newyork/press-releases/2015/ross-ulbricht-aka-dread-pirate-roberts-sentenced-in-manhattan-federal-court-to-life-in-prison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차일즈 플레이]] ([[Childs Play]])
* [[차일즈 플레이]] ([[Childs Play]])
* [[플레이펜]] ([[PlayPen]])
* [[플레이펜]] ([[PlayPen]])
* [[프리덤 호스팅]] ([[Freedom Hosting]])
* [[프리덤 호스팅]] ([[Freedom Hosting]])
* [[일렠트럼]] ([[Electrum]], [[일렉트럼]])
* [[빝코인 코어]] ([[Bitcoin Core]])
* [[베라크맆트]] ([[VeraCrypt]])
* [[싸이퍼셰드]] ([[CipherShed]])
* [[지피지4usb]] ([[gpg4usb]], [[gpg4유에스비]], [[지피지4유에스비]])
* [[로힝야]]
* [[대학교]]
* [[다크넽]] ([[darknet]])
== 참조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실크 로드의 새 주소 <s>http://silkroad2eipagnk.onion/</s>
* 실크 로드 포럼 http://silkroad5v7dywlc.onion/


* Silk Road http://silkroad6ownowfk.onion/


== 참조 ==
* Silk Road 2.0 http://silkroadagyq7ilu.onion/
<references />


[[category:심층 웹]]
[[category:심층 웹]]
[[category:경제]]
[[category:경제]]
[[category:KHW]]
[[category:KHW]]
565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