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문서 편집기"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168 bytes added ,  10:41, 2 July 2019
no edit summary
 
Line 13: Line 13:


== 목록 ==
== 목록 ==
=== 윈도우용 ===
=== 크로스 플랫폼 ===
* [[VS코디엄]] ([[VSCodium]]): 그냥 이거 써라.
 
* [[비주얼 스투디오 코드]] ([[Visual Studio Code]]): Atom과 똑같이 Electron 기반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작한 텍스트 에디터.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써블라임 텤스트]] ([[Sublime Text]]): 유료, 외산, 무료 버전도 있으며 가끔 뜨는 라이센스 등록창을 빼면 유료 버전과 기능상 차이점은 없다. 2008년 혜성같이 등장해서 영미권에서는 코드 에디터계를 평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한다. 텍스트 에디터에게 중요한 것은 텍스트 뿐이라는 컨셉 하에, GUI는 최소화되어 있으며 vi 모드를 기본 탑재하고 있어 구세대의 해커들도 많이들 전향하고 있다. euc-kr 한글 출력에 약간 문제가 있지만, 플러그인으로 해결 가능. Windows / OS X / Ubuntu 지원.
 
* [[애텀]] ([[Atom]]): [[GitHub]]에서 제작한 Electron[* 크롬(정확히는 크로미움)을 실행한 후 웹앱을 돌린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실행속도가 느리다.]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 Sublime Text와 비슷하지만 컨셉이 조금 다르다. Sublime Text 유저 층을 조금씩 흡수하고 있으며, API 문서화가 잘 되어있고, GitHub가 밀고 있어서 그런지 플러그인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브래키츠]] ([[Brackets]]): [[어도비]]에서 제작한 텍스트 에디터. 포토샵의 그 어도비 맞다. HTML이나 CSS를 수정하면 바로 반영되는 라이브 프리뷰 기능이 있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 혹은 웹 디자이너에게 유용한 에디터.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nano]]: [[vi]]보다 쉬운 [[에디터]]. 옛날 이름은 [[pico]]였다. [[PC통신]] 시절 [[나우누리]]에서 글을 쓸 때 이 에디터를 쓸 수 있었다. 보통 리눅스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고 윈도용도 있다.
 
 
 
=== 윈도우즈 전용 ===
* [[메모장]]: 윈도에서 notepad.exe하면 실행되는 녀석. 64KB의 열 수 있는 파일 용량제한이 있는 등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했었다. 열 수 있는 파일 용량 제한은 XP 이후로 없어졌다. [[Windows 1.0]]부터 [[Windows 10]]까지 전부 다 있다.
* [[메모장]]: 윈도에서 notepad.exe하면 실행되는 녀석. 64KB의 열 수 있는 파일 용량제한이 있는 등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했었다. 열 수 있는 파일 용량 제한은 XP 이후로 없어졌다. [[Windows 1.0]]부터 [[Windows 10]]까지 전부 다 있다.


Line 34: Line 49:
* Notepad2-mod: 오픈소스, 외산.  Notepad2에서 포크한 프로젝트. 본가쪽은 업데이트가 2012년 이후로 끊겼다. 오픈소스이며, 기본적으로 영어만 지원한다. 영문버전은 한국에서 쓰는데 문제가 있는데, 바로 정규식 문제. Notepad2에서 [[정규표현식]]엔진으로 Scintilla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이 라이브러리는 한글이 들어가면 오동작하는 버그가 있다. 이를 [[구라제거기]]제작자로 유명한 BLUEnLIVE가 한글화와 함께, 몇가지 기능추가, 문제해결을 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다.[[https://teus.me/category/IT/Notepad2|링크]] 파일용량이 2메가 가량 되며 파일도 단 두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실 모든파일을 notepad2로 열어주는 metapath는 없어도 상관없다. 그러면 파일이 단 한개다. 설정파일까지 하면 다시 두개가 되지만은.]usb에 넣어서 들고다니기 좋다.[* 단, 설정파일은 roming폴더안에 저장되기 때문에, notepad.ini파일을 읽어서 따로 저장해서 다녀야 한다.] 용량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notepad++같은 막강한 기능이나 플러그인 기능은 없으나 다르게 생각하면 매우 가볍고 필수적인 기능만 들어가 있다는 것이 장점.
* Notepad2-mod: 오픈소스, 외산.  Notepad2에서 포크한 프로젝트. 본가쪽은 업데이트가 2012년 이후로 끊겼다. 오픈소스이며, 기본적으로 영어만 지원한다. 영문버전은 한국에서 쓰는데 문제가 있는데, 바로 정규식 문제. Notepad2에서 [[정규표현식]]엔진으로 Scintilla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이 라이브러리는 한글이 들어가면 오동작하는 버그가 있다. 이를 [[구라제거기]]제작자로 유명한 BLUEnLIVE가 한글화와 함께, 몇가지 기능추가, 문제해결을 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다.[[https://teus.me/category/IT/Notepad2|링크]] 파일용량이 2메가 가량 되며 파일도 단 두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실 모든파일을 notepad2로 열어주는 metapath는 없어도 상관없다. 그러면 파일이 단 한개다. 설정파일까지 하면 다시 두개가 되지만은.]usb에 넣어서 들고다니기 좋다.[* 단, 설정파일은 roming폴더안에 저장되기 때문에, notepad.ini파일을 읽어서 따로 저장해서 다녀야 한다.] 용량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notepad++같은 막강한 기능이나 플러그인 기능은 없으나 다르게 생각하면 매우 가볍고 필수적인 기능만 들어가 있다는 것이 장점.


=== 크로스 플랫폼 ===
* [[Sublime Text]]: 유료, 외산, 무료 버전도 있으며 가끔 뜨는 라이센스 등록창을 빼면 유료 버전과 기능상 차이점은 없다. 2008년 혜성같이 등장해서 영미권에서는 코드 에디터계를 평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한다. 텍스트 에디터에게 중요한 것은 텍스트 뿐이라는 컨셉 하에, GUI는 최소화되어 있으며 vi 모드를 기본 탑재하고 있어 구세대의 해커들도 많이들 전향하고 있다. euc-kr 한글 출력에 약간 문제가 있지만, 플러그인으로 해결 가능. Windows / OS X / Ubuntu 지원.
* [[Atom(에디터)|Atom]]: [[GitHub]]에서 제작한 Electron[* 크롬(정확히는 크로미움)을 실행한 후 웹앱을 돌린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실행속도가 느리다.]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 Sublime Text와 비슷하지만 컨셉이 조금 다르다. Sublime Text 유저 층을 조금씩 흡수하고 있으며, API 문서화가 잘 되어있고, GitHub가 밀고 있어서 그런지 플러그인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Brackets: [[어도비]]에서 제작한 텍스트 에디터. 포토샵의 그 어도비 맞다. HTML이나 CSS를 수정하면 바로 반영되는 라이브 프리뷰 기능이 있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 혹은 웹 디자이너에게 유용한 에디터.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Atom과 똑같이 Electron 기반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작한 텍스트 에디터. Windows / OS X / Linux 지원.
* [[nano]]: vi보다 쉬운 에디터. 옛날 이름은 pico였다. [[PC통신]] 시절 [[나우누리]]에서 글을 쓸 때 이 에디터를 쓸 수 있었다. 보통 리눅스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고 윈도용도 있다.


=== 기타 운영체제용 ===
=== 기타 운영체제용 ===
Line 56: Line 61:
* [[Gedit]]: gnome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에디터. 기본기능은 메모판과 유사하지만 각종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하여 IDE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원래 리눅스용 프로그램인데, 버전은 낮지만 윈도우용으로도 나와 있다. GNU 프로그램이므로 당연히 무료.
* [[Gedit]]: gnome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에디터. 기본기능은 메모판과 유사하지만 각종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하여 IDE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원래 리눅스용 프로그램인데, 버전은 낮지만 윈도우용으로도 나와 있다. GNU 프로그램이므로 당연히 무료.


* 산 에디터: 무료. 1990년대 초반 (당시) 건국대 전산학과 학생인 박규현씨가 제작한 DOS용 그래픽 기반 한글 에디터.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개발했다고 한다. 쉐어웨어였다가 프리웨어로 전환했다. 다운로드는 [[http://sirjhswin.egloos.com/2203664|여기]]. 박규현씨는 여전히 개발자로 일하는 듯.([[https://raysoda.com|블로그]])
* [[산 에디터]]: 무료. 1990년대 초반 (당시) [[건국대]] [[전산학과]] [[학생]]인 [[박규현]]씨가 제작한 DOS용 그래픽 기반 한글 에디터.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개발했다고 한다. 쉐어웨어였다가 프리웨어로 전환했다. 다운로드는 http://sirjhswin.egloos.com/2203664 여기. 박규현씨는 여전히 개발자로 일하는 듯. https://raysoda.com [[블로그]]


== 기타 ==
== 기타 ==
101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