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리눅스 마스터"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277 bytes added ,  20:35, 27 December 2018
12
(12)
 
(3 intermediate revisions by 2 users not shown)
Line 1: Line 1:
{{Template:바로가기}}
{{Template:바로 가기}}
<div style="float: right; margin-left: 12px">__TOC__</div>
<div style="float: right; margin-left: 12px">__TOC__</div>


Line 15: Line 15:
응시자격은 1차는 제한이 없고, 2차는 1차 시험 합격자에 한해 1차 시험 합격일(합격자 발표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응시가 가능하다.
응시자격은 1차는 제한이 없고, 2차는 1차 시험 합격자에 한해 1차 시험 합격일(합격자 발표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응시가 가능하다.


[[학점은행제]]에서 2급은 5학점을 인정해주고, 1급은 14학점을 인정해준다.
2급은 5학점을 인정해주고, 1급은 14학점을 인정해준다.
 
 
 
 
 
 
 
 


= 시험 방식과 과목 =
= 시험 방식과 과목 =
2급과 1급 시험이 있으며 각 시험은 1차와 2차 시험을 치러야 한다.
2급 1차는 리눅스 일반에서 100% 나오며 60분 동안 컴퓨터로 보는 50문제 사지택일 필기에서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2급 2차는 리눅스 운영 및 관리에서 60%가 나오며, 리눅스 활용에서 40%가 나온다. 100분 동안 80문제를 사지택일 필기로 풀면 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지만 과목당 40% 미만이면 [[과락]]이다.


1급 1차는 리눅스 실무의 이해에서 20%,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서 40%,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에서 40%가 나온다. 100분 동안 사지택일 필기로 100문제를 풀면 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지만 과목당 40% 미만이면 [[과락]]이다.


1급 2차는 문제 해결 능력 실기 평가이며, "사용자 관리, 파일시스템 관리, 장치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관리, 시트템보안 등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능력평가"와 "웹, 파일, 메일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 보안 등에 관한 실무 능력평가"를 본다. 단답, 서술식 필기가 40%이며, 관리 및 설정의 실기가 60%이다. 필기는 10문항, 실기는 5-7문항이며 두 과목을 합쳐 100분 동안 본다. 과락은 없고,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은 [[아시아눅스]]가 깔린 컴퓨터로 본다. 실기 시험을 [[레드 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기반인 아시아눅스로 봐서, [[우분투]], [[리눅스 민트]], [[칼리 리눅스]] 등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만 써본 사람은 일부 [[명령어]]와 [[디렉터리]] 구조가 달라 좀 어색할 수도 있다.


== 2급 1차 ==
2018년 2월 기준으로 리눅스 마스터 1급 2차는 [[쎈트OS]] ([[CentOS]]) 6.9 또는 [[페도라]] ([[Fedora]]) 13 버전으로 시험을 진행한다.
리눅스 마스터 2급은 1차와 2차 시험 두가지로 나뉜다. 2급 1차는 집에서 접수 후 원하는 날짜에 컴퓨터로 시험을 치른다.
 
 
2급 1차는 객관식 사지선다형인 필기인데 특징으로 집에서 컴퓨터로 볼 수 있다. [[족보]]가 다 떠다니고 있으므로 그냥 한쪽 창에서 찾아가면서 풀 수 있다. 2급 1차는 리눅스 일반에서 100% 나오며 60분 동안 컴퓨터로 보는 50문제 사지택일 필기에서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2급 1차는 온라인 시험이기에 "입금=합격"인 시험이다. 애당초 난이도가 의미가 없는게 시간도 60분으로 널널한데다가 문항은 50문항 밖에 안된다. [[과락]]은 60점인데, 이는 30문제만 맞추면 합격한다는 소리다. 보통 http://www.comcbt.com/cbt/ 와 같은 온라인 [[CBT]]의 경우 우클릭을 막거나 혹은 창을 내릴 수 없게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서 부정 행위를 그나마 억제하려고 하는데 이 시험은 그런 것도 없다. 따라서 문제를 통째로 긁어서 구글에 검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다. 굳이 그렇게 하 지않더라도 옆에 기출문제본을 펴넣고 ctrl+f로 찾아다녀도 과락은 충분히 넘긴다. 그래도 은근히 100점맞기는 어려운게 CBT에 기출문제에 없는 문제들이 생각보다 다량으로출제된다. 이 때는 정말 알고있는 지식으로만 승부볼수 밖에 없다. 물론 그런거 다틀려도 80점은 그냥 넘기므로 불합격 하는건 정전이 나거나 졸도를 하지않는한 불가능 하다.




[[리눅스마스터]] 1급의 2차 시험 때에는 컴퓨터 앞에서 시험을 본다. 참고로 운영체제는 바록 그 [[아시아눅스]]이다. 사실 어떻게 보면 1급 1차 시험보다 1급 2차 시험이 더 쉽다고도 할 수 있는데 man 페이지나 설정 파일을 직접 찾아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2급 2차 ==
리눅스 마스터 2급은 1차와 2차 시험 두가지로 나뉜다. 2급 1차는 객관식 사지선다형인 필기인데 특징으로 집에서 컴퓨터로 볼 수 있다. 족보다 떠다니고 있으므로 그냥 한쪽 창에서 찾아가면서 풀 수 있다. 2급 2차는 객관식 사지선다형으로서 시험장에서 봐야 한다. 1차는 집에서 접수후 원하는 날짜에 컴퓨터로 시험을 치르고 2차는 시험장에 가서 필기로 시험을 친다.
2급 2차는 객관식 사지선다형 필기시험으로서 시험장에서 봐야 한다. 2급 2차는 리눅스 운영 및 관리에서 60%가 나오며, 리눅스 활용에서 40%가 나온다. 100분 동안 80문제를 사지택일 필기로 풀면 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지만 과목당 40% 미만이면 [[과락]]이다.


2급 1차는 온라인 시험이기에 "입금=합격"인 시험이다. 애당초 난이도가 의미가 없는게 시간도 60분으로 널널한데다가 문항은 50문항 밖에 안된다. 과락은 60점인데, 이는 30문제만 맞추면 합격한다는 소리다. 보통 이런 온라인[[http://www.comcbt.com/cbt/|CBT]]의 경우 우클릭을 막거나 혹은 창을 내릴수 없게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서 부정행위를 그나마 억제하려고 하는데 이 시험은 그런것도 없다. 따라서 문제를 통째로 긁어서 구글에 검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다. 굳이 그렇게 하 지않더라도 옆에 기출문제본을 펴넣고 ctrl+f로 찾아다녀도 과락은 충분히 넘긴다. 그래도 은근히 100점맞기는 어려운게 CBT에 기출문제에 없는 문제들이 생각보다 다량으로출제된다. 이 때는 정말 알고있는 지식으로만 승부볼수 밖에 없다. 물론 그런거 다틀려도 80점은 그냥 넘기므로 불합격 하는건 정전이 나거나 졸도를 하지않는한 불가능 하다.


2급 2차는 80문제를 100분 안에 푸는 객관식 사지선다형으로서 시험장에서 봐야 한다. 그 80문제중에서도 60%인 48문제가 1과목으로 리눅스 운영및 관리이고 나머지 32문제가 2과목으로 리눅스 활용으로 나누어져있다. 과락은 전체 60%에 각 과목 40%로 워드나 컴활과 같다. 1과목은 터미널명령어가 거의 8할 이상이 나오므로 터미널명령과 그 옵션을 주구장창 외워야한다. 2과목은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등이 나온다. 즉 1과목은 리눅스에 대한 시험이 나오고 2과목은 리눅스와 관련된 것이 시험에 나온다고 보면된다. 문제자체가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는 없으므로 공부만 해간다면 전공자 비전공자 가릴거 없이 할만한 시험이다. 덤프와 똑같이 나오는 문제는 없다고 보면되지만 덤프를 많이 푸는게 합격에 지름길이긴 하다. 그러므로 덤프를 많이 풀어본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
2급 2차는 80문제를 100분 안에 푸는 객관식 사지선다형으로서 시험장에서 봐야 한다. 그 80문제중에서도 60%인 48문제가 1과목으로 리눅스 운영및 관리이고 나머지 32문제가 2과목으로 리눅스 활용으로 나누어져있다. 과락은 전체 60%에 각 과목 40%로 워드나 컴활과 같다. 1과목은 터미널명령어가 거의 8할 이상이 나오므로 터미널명령과 그 옵션을 주구장창 외워야한다. 2과목은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등이 나온다. 즉 1과목은 리눅스에 대한 시험이 나오고 2과목은 리눅스와 관련된 것이 시험에 나온다고 보면된다. 문제자체가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는 없으므로 공부만 해간다면 전공자 비전공자 가릴거 없이 할만한 시험이다. 덤프와 똑같이 나오는 문제는 없다고 보면되지만 덤프를 많이 푸는게 합격에 지름길이긴 하다. 그러므로 덤프를 많이 풀어본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


== 1급 1차 ==
1급 1차는 필기만 보며 객관식 사지선다형이다. 100분 동안 100문제를 푼다. 과목은 리눅스 실무의 이해, 리눅스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이다.
1급 1차는 필기만 보며 객관식 사지선다형이다. 100분 동안 100문제를 푼다. 과목은 리눅스 실무의 이해, 리눅스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이다.


1급 1차는 리눅스 실무의 이해에서 20%,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서 40%,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에서 40%가 나온다. 100분 동안 사지택일 필기로 100문제를 풀면 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지만 과목당 40% 미만이면 [[과락]]이다.
== 1급 2차
1급 2차는 단답형, 서술형인 필기(40%)와 관리 및 설정을 하는 실기인 실무형(60%)으로 나누어져 있다.
1급 2차는 단답형, 서술형인 필기(40%)와 관리 및 설정을 하는 실기인 실무형(60%)으로 나누어져 있다.
[[리눅스마스터]] 1급의 2차 시험 때에는 컴퓨터 앞에서 실기 시험을 본다. 사실 어떻게 보면 1급 1차 시험보다 1급 2차 시험이 더 쉽다고도 할 수 있는데 man 페이지나 설정 파일을 직접 찾아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급 2차는 문제 해결 능력 실기 평가이며, "사용자 관리, 파일시스템 관리, 장치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관리, 시트템보안 등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능력평가"와 "웹, 파일, 메일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 보안 등에 관한 실무 능력평가"를 본다. 단답, 서술식 필기가 40%이며, 관리 및 설정의 실기가 60%이다. 필기는 10문항, 실기는 5-7문항이며 두 과목을 합쳐 100분 동안 본다. 과락은 없고, 60점을 넘기면 합격이다. 실기 시험은 예전엔 [[레드 햍 리눅스]] ([[Red Hat Linux]]) 계열인 [[아시아눅스]]가 깔린 컴퓨터로 봤다. 2018년 2월 기준으로 [[아시아눅스]] 대신에 [[센트OS]] 6.9 또는 [[페도라]] 13 버전을 쓴다. 실기 시험을 [[레드 햍]] ([[Red Hat]]) 계열인 [[CentOS]]와 [[Fedora]]로 봐서, [[우분투]], [[리눅스 민트]], [[칼리 리눅스]] 등 [[데비안]] ([[Debian]]) 계열의 [[리눅스]]만 써본 사람은 일부 [[명령어]]와 [[디렉터리]] 구조가 달라 좀 어색할 수도 있다.


= 리눅스 실무의 이해 =
= 리눅스 실무의 이해 =
Line 114: Line 91:
- FSF(Free Software Foundation)에 의해 만들어진 라이선스다.
- FSF(Free Software Foundation)에 의해 만들어진 라이선스다.


- 리눅스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부느이 프로그램들이 이 라이선스에 기준을 두고 있다.
- 리눅스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이 라이선스에 기준을 두고 있다.


- 이 라이선스 기반의 프로그램은 누구나 소프트웨어의 복제, 재배포, 개작을 할 수 있다.
- 이 라이선스 기반의 프로그램은 누구나 소프트웨어의 복제, 재배포, 개작을 할 수 있다.
Line 135: Line 112: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다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대화형 구조.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다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대화형 구조.
*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
[[소스 코드]]가 [[바이너리]]로 [[컴파일]]되지 않고, 즉석에서 읽어서 해석해서 실행되는 [[스크맆트]]([[script]])사용된다.
[[소스 코드]]가 [[바이너리]]로 [[컴파일]]되지 않고, 즉석에서 읽어서 해석해서 실행되는 [[스크맆트]]([[script]]) 방식으로 사용된다.
* 리눅스 세션(session)의 설정(customization)
* 리눅스 세션(session)의 설정(customization)
셸은 리눅스의 세션에 대한 변수들을 정의하여 사용자가 리눅스 환경을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쓰게 해준다. 예를 들어, 키보드 조작, 화면 표시 기능, 프로세스의 동작 환경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셸은 리눅스의 세션에 대한 변수들을 정의하여 사용자가 리눅스 환경을 자신이 원하는 상태로 쓰게 해준다. 예를 들어, 키보드 조작, 화면 표시 기능, 프로세스의 동작 환경 등을 설정할 수 있다.
Line 152: Line 129: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란 개방형 시스템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개방형은 시스템의 종류나 구현 바업, 시스템의 규모 등의 조건에 제약 받지 않고,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도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란 개방형 시스템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개방형은 시스템의 종류나 구현 바업, 시스템의 규모 등의 조건에 제약 받지 않고,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도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 1. physical layer ====
물리 계층


==== 2. data link layer ====
[[전송 계층 보안]]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SSL]], [[HTTPS]])이 이름에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이 들어간다고 4번째 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작동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TLS는 5번째 계층인 [[쎄션 계층]] ([[session layer]])에서 작동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 TLS/SSL. WHAT?! 개념과 동작원리
2010.01.12
 
http://guguru.tistory.com/2
 
 
==== 7. application layer ====
응용 계층
 
==== 6. presentation layer ====
표현 계층
 
==== 5. session layer ====
쎄션 계층


==== 3.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 4. transport layer ====
==== 4. transport layer ====
전송 계층
전송 계층


==== 5. session layer ====
세션 계층


==== 6. presentation layer ====
==== 3. network layer ====
표현 계층
네트워크 계층
 
==== 2. data link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


==== 7. application layer ====
==== 1. physical layer ====
응용 계층
물리 계층


=== 네트워크 설정 ===
=== 네트워크 설정 ===
Line 214: Line 202:
/etc/rc.d/rc1.d
/etc/rc.d/rc1.d


단일 사용자 모드. 보통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에 특정 설정을 할 때 사용하낟. 시스템이 이 모드에 있을 때는 다른 사용자들은 로그인할 수 없다.
단일 사용자 모드. 보통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에 특정 설정을 할 때 사용한다. 시스템이 이 모드에 있을 때는 다른 사용자들은 로그인할 수 없다.


* runlevel 2
* runlevel 2
Line 253: Line 241:
로 시작해서
로 시작해서
  exit 0
  exit 0
로 끝나야 한다. 만약 / 디렉터리에 있는 swapfile이라는 스왑 파일을 부팅시마다 스왑 파일로 불러오려면 #!/bin/sh -e와 exit 0 사이에
로 끝나야 한다. 만약 / 디렉터리에 있는 swapfile이라는 이름의 스왑 파일을 부팅시마다 스왑 파일로 불러오려면 #!/bin/sh -e와 exit 0 사이에
  swapon /swapfile  
  swapon /swapfile  
라는 내용을 적어주면 된다.
라는 내용을 적어주면 된다.
140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