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리넠스"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580 bytes added ,  02:16, 11 October 2018
no edit summary
Line 500: Line 500:
[[우분투]]의 [[아파치]] 웹 서버의 폴더 및 파일은 기본적으로 www-data가 소유자 및 소유그룹이다.
[[우분투]]의 [[아파치]] 웹 서버의 폴더 및 파일은 기본적으로 www-data가 소유자 및 소유그룹이다.


== HDD 암호화를 위해 Cryptsetup 사용 ==
==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위해 LUKS 사용 ==
[[리넠스]]([[Linux]])에서는 [[전체 디스크 암호화]]([[full disk encryption]])를 [[렄스]]([[LUKS]], [[Linux Unified Key Setup]])로 한다. 리넠스 [[커널]]에서 지원하는 암호화가 [[dm-crypt]]이며, 그 [[front-end]]가 [[cryptsetup]]이고, cryptsetup에 [[쏠트]]([[salt]])를 넣는 등 개선한 것이 [[LUKS]]이다.
 
 
[[프리BSD]]([[FreeBSD]])에서는 [[겔리]]([[geli]], [[젤리]])를 쓴다. geli는 [[FreeBSD]]의 [[GEOM]]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오픈BSD]]([[OpenBSD]])나 [[넽BSD]]([[NetBSD]])에서는 쓸 수 없다.
 
 
[[리눅스]]의 경우 Cryptsetup 패키지를 설치하여 컴퓨터를 전체 암호화해서 사용한다. [[우분투]]나 [[리눅스 민트]]의 경우 Cryptsetup 패키지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시 Cryptsetup으로 전체 암호화를 할 수 있다.  
[[리눅스]]의 경우 Cryptsetup 패키지를 설치하여 컴퓨터를 전체 암호화해서 사용한다. [[우분투]]나 [[리눅스 민트]]의 경우 Cryptsetup 패키지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시 Cryptsetup으로 전체 암호화를 할 수 있다.  


Line 522: Line 528:




=== Cryptsetup 암호 변경 ===
=== LUKS 암호 변경 ===
[[우분투]] 설치시에 전체 암호화를 선택했다면 사용자 폴더를 별도로 암호화할 필요는 없다. 아무 설정도 안 건드리고 설치했다면 sda5가 암호화됐을 것이다. 다른 파티션이 암호화됐다면 처음에 부팅할 때 암호 해제할 때 sdx#이라고 나온다. 거기서 x# 부분을 봐두면 된다. x는 알파벹이고, #은 숫자이다.
[[우분투]] 설치시에 전체 암호화를 선택했다면 사용자 폴더를 별도로 암호화할 필요는 없다. 아무 설정도 안 건드리고 설치했다면 sda5가 암호화됐을 것이다. 다른 파티션이 암호화됐다면 처음에 부팅할 때 암호 해제할 때 sdx#이라고 나온다. 거기서 x# 부분을 봐두면 된다. x는 알파벹이고, #은 숫자이다.


Line 541: Line 547:


https://help.ubuntu.com/community/ResizeEncryptedPartitions
https://help.ubuntu.com/community/ResizeEncryptedPartitions


== 리눅스 업데이트시 /boot 여유 공간이 부족할 때 ==
== 리눅스 업데이트시 /boot 여유 공간이 부족할 때 ==
301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