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IP 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521 bytes removed ,  20:07, 12 September 2018
no edit summary
(Created page with " * 관련 문서: 컴퓨터 관련 정보, 인터넷 관련 정보 [include(틀:다른 뜻1,other1=IP를 약자로 쓰는 다른 단어들,rd1=IP(동음이의어))] [i...")
 
Line 1: Line 1:
* 관련 문서: [[컴퓨터 관련 정보]], [[인터넷 관련 정보]]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표준어|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이든, 모든 기계는 이 특수한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신하여 메시지가 전송되고 수신자를 향하여 예정된 목적지로 전달된다. IP 주소를 줄여서 '''IP'''라고 부르기도 하나 [[IP]]는 인터넷 규약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구별해야 한다.
[include(틀:다른 뜻1,other1=IP를 약자로 쓰는 다른 단어들,rd1=IP(동음이의어))]
[include(틀:회원수정)]


[목차]
IP 주소는 [[LAN]]이나 [[WAN]], [[인터넷]]에서만 사용되는 전화번호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이런 번호는 사람이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가 이런 역할을 하며 이런 서비스를 "도메인 이름 분석" (domain name resolution) 혹은 "이름 분석" (name resolution)이라고 한다.


== 개요 ==
오늘날 주로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는 IP 버전 4([[IPv4]]) 주소이나 주소가 부족해짐에 따라 길이를 늘린 IP 버전 6([[IPv6]]) 주소가 점점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흔히는 프로토콜에서 각 장치를 나타내는 IP 주소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컴퓨터]]의 경우 사용하는 [[운영체제]]도 서로 다르고, [[프로그램]]의 경우 아예 구현된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이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려면 공통된 통신 규약(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컴퓨터 통신의 태동기였던 1960년대에는 장비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었고, 다른 회사의 장비 사이에는 통신이 힘들거나 아예 불가능했다. 이 때문에 관련 프로토콜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ISO]]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77년에 [[OSI 7계층]] 모델을 발표한다. 한편, 인터넷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만들고 있던 IETF는 독자적으로 Internet Protocol Suite를 발표, ISO의 X.200이 이해관계자들(IBM/DEC/Intel/Apple.. etc) 사이의 다툼으로 지연되는 사이 TCP/IP가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된다.
이 때문에 OSI 7계층과 Internet Protocol Suite의 4계층이 나뉘어졌으며, 이 두 계층은 서로 비슷하기는 하나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IP는 OSI의 Layer 3(Network Layer)와 Internet Protocol Suite의 Layer 3(Internet Layer)에 위치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 문서 참조.


[[호스트]]에서 호스트까지의 통신, 즉 보내는 컴퓨터에서 받는 컴퓨터까지의 통신을 책임진다. 하는 작업을 아주 이해하기 쉽게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편지 봉투에 보내는 주소, 받는 주소를 작성하고 [[우표]]를 붙여서 우체통에 넣는 일과 우편함에 들어온 편지를 꺼내서 나한테 온 편지가 맞는지 확인하는 정도의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제대로 설명하려고 하면, IP의 역할(flow control 외), Network layer에서의 보안, IP packet(datagram) 구조 등은 관련학부 및 대학원 한학기 이상 분량이다. 이 글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 정도를 다루기로 한다.


원래 설계하던 시기에는 주 작업 이외에도 몇 가지 부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는데, 실제 상위 계층에서 다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이라서 현재는 그냥 [[공기]] 취급. IP를 통하지 않고 현 인터넷을 통해 통신한다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계층이다. 다만  LAN 환경 등에서는 MAC 주소 기반 통신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 등, IP가 만능은 아니다.
== IP 할당 ==
고정된 IP 주소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DHCP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받는 방법도 있다.
 
== IP version 4 주소 ==
{{본문|IPv4}}
IP version 4 주소, 줄여서 IPv4 주소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이다. 이 주소의 범위는 32[[비트]]로 보통 0~255 사이의 십진수 넷을 쓰고 [[온점|.]]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0.0.0.0부터 255.255.255.255까지가 된다. 이론적으로 42억9496만7296개의 IP가 존재한다. 중간의 일부 번호들은 특별한 용도를 위해 예약되어 있다. 이를테면 127.0.0.1은 localhost(로컬 호스트)로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사실 127로 시작하는 모든 IPv4 주소가 마찬가지이다)
 
== IP version 6 주소 ==
{{본문|IPv6}}
모든 단말에 주소를 부여하기에 32비트로는 부족해짐에 따라 [[IP]]의 새로운 버전인 버전 6에서는 주소 길이를 128비트로 늘렸다. IPv6 주소는 보통 두 자리 16진수 여덟 개를 쓰고 각각을 [[콜론 (기호)|:]] 기호로 구분한다.


간혹 IP 알아냈다고 해서 컴퓨터를 해킹한다는 사람이 있다. 이는 간단한 Dos 공격이지만, 애초에 그런 트래픽이 발생하면 [[ISP]]에서 막는다. 자세한 건 [[툴키디]] 참고.


== IP 주소 ==
== IP 주소 ==
Line 139: Line 141:


[[ARP]] 문서 참조.
[[ARP]] 문서 참조.
== AS 번호 ==
'''A'''utonomous '''S'''ystem '''N'''umber






[[자율 시스템 번호]]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
* [[인터넷 프로토콜]]
* [[MAC 주소]]
* [[서브넷 주소]]
 
[[category:인터넷 프로토콜]]
[[분류:네트워크]][[분류:통신]][[분류:통신 기술]]
[[분류:네트워크]][[분류:통신]][[분류:통신 기술]]
[[분류:이더넷/프로토콜]]
[[분류:이더넷/프로토콜]]
234

edits

Navigation menu